-
디지털 이코노미
기술 발전할수록 CEO 연봉이 오르는 이유는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42년 많은 미군이 영국에 주둔했다. 모든 것이 부족하던 시기 미군들은 담배와 스타킹, 초콜릿 등을 가지고 왔다. 그리고 그들의 봉급은 영국 군인보다 세 배나 높았다. 이는 영국 여성들의 눈길을 사로잡기 충분했다. 당시 영국의 데이트 시장은 순식간에 판도가 바뀌었다. 짧은 기간 동안 약 300만 명의 젊은 영국 남성이 그들보다 세 배나 수입이 많은 미국 남성으로 대체된 것이다. 오늘날 엄청난 연봉을 받는 최고경영자...
-
시네마노믹스
손해 안보려는 마음 파고들어…쇼맨은 부를 얻었죠
바넘이 광고를 통해 비판적인 여론을 극복하는 과정에는 오늘날 행동경제학자들이 꼽는 인간의 불합리적 판단과 이를 공략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가 담겨 있다. 오늘날 경제학계의 주축으로 올라선 행동경제학은 200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심리학자 대니얼 카너먼이 그 토대를 제공했다. 카너먼은 동료 심리학자인 아모스 트버스키와 함께 1979년 ‘전망 이론:리스크 상황에서 인간의 판단에 대한 분석’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한다. 그...
-
경제 기타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드는데 집중해달라"
경제계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한목소리로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드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이 과감하게 투자에 나서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한국 경제가 한 단계 더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당부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불안정한 국제 정세, 저성장 고착화 우려 확대 등 위기 요인이 많지만 차기 정부가 어떤 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이를 오히려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게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납세 의무' 강조 속에 부각되는 '납세자 권리', 무엇이 우선인가
민주 사회에서 권리와 의무는 보통 함께 간다. 참정권, 선거권이 대표적이다. 동전의 양면 같지만 그래도 100%의 완전 등가적 가치는 아니다. 투표는 일종의 국민적 의무지만, 본질은 권리에 더 가깝다. 역시 ‘4대 국민 의무’ 가운데 하나인 국방(병역) 의무도 ‘입대할 권리’와 나란히 비교하기 어렵다. ‘교육을 받을 권리’도 ‘(학교에 가야 할) 교육의 의무’...
-
경제 기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바로 세우겠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61)가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윤 후보는 10일 완료된 개표 결과 1639만4815표(48.56%)를 얻어 1614만7738표(47.83%)를 받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제쳤다. 윤 후보는 ‘대통령 당선인’으로 신분이 바뀌었으며 취임(5월 10일)하기 전까지 현직 대통령에 버금가는 경호를 받게 된다. 두 후보의 경쟁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치열했다. 두 사람의 득표 ...
-
커버스토리
매출·고용 인원 모두 앞선 쿠팡…대형마트들 "왜 우릴 규제하죠?"
대형마트(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들은 2012년 3월부터 한 달에 두 번 문을 닫아왔습니다. 10년 됐지요. 의무휴업제는 대형마트로 빨려 들어가는 소비를 동네 상권과 전통시장으로 유도하자는 목적으로 시작됐습니다. 의도는 좋았습니다. 대형마트가 두 번 문을 닫으면 동네 상권과 전통시장 상황이 좋아질 것이라는 ‘상생 경제’ ‘동반 성장’ 아이디어에서 비롯됐죠. 이제 결산을 해볼 때가 됐습니다. 학계...
-
숫자로 읽는 세상
해마다 100조원씩 늘어나는 재정적자…2025년 나라 빚, GDP의 60% 달할 듯
“본인들 집안 살림을 매달 빚내서 하지는 않을 것 아닙니까. 자기집 살림이라 생각하고 나라 재정을 운용해줬으면 합니다.” 한 경제부처의 고위관계자가 8일 차기 정부에 바란다며 한 말이다. 문재인 정부는 2020년 이후 100조원 이상의 막대한 빚을 지며 국가 재정을 지탱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적자 구조는 한동안 지속되며 국가 경제에 지울 수 없는 후유증을 남길 것이란 지적이다. 차기 정부가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대...
-
오철 교수의 복싱 경제학
정부가 없으면 시장도 없다
시장은 시장의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거래하는 장소이다. 우리는 이런 시장을 기초로 한 경제 시스템을 '시장경제(market economy)'라고 부른다. 우리는 시장경제에서 시장의 자율성이 중요하고, 시장경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간섭이 없을수록 좋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자주 접하게 된다. 맞는 말이고 필자도 동의한다. 그러다 보니 우리는 가끔 매우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된다. 바로 정부가 없으면 시장도 존재할 수 없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