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매주 금~토요일은 서울광장서 책 읽으세요!

    서울시는 ‘세계 책의 날’인 지난 23일부터 매주 금~토요일 책 읽는 서울광장을 조성해 열린 야외 도서관을 운영 중이다. 이에 앞서 작업자들이 서울광장 단장을 새로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오철 교수의 복싱 경제학

    '배고픈 복서'는 챔피언이 될 수 없다, 이유는?

    외환위기가 발생하기 3개월 전인 1997년 8월에 개봉한 '넘버3'라는 영화(송강호·한석규 주연)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니들, 한국 복싱이 왜 잘 나가다가 요즘 빌빌대는지 아나? 다 이 헝그리 정신이 없기 때문에 그런 거야, 헝그리 정신이.” 정말 최근 한국 복싱에서 세계 챔피언이 사라진 이유가 헝그리 정신이 없어졌기 때문일까? 1960년대 대한민국은 가난한 후진국이었다. 당시 우리 부모님들...

  • 시네마노믹스

    레드오션이 된 할리우드 오디션…미아는 블루오션 1인극으로 ★이 되다

    “사람들 속에 누군가가 네가 알아야 할 사람일 수 있잖아. 너에게 날개를 달아줄 그 사람.” 친구들의 거듭된 설득에 미아(에마 스톤 분)는 썩 내키지 않는 파티장으로 향한다. 그러나 예상대로 ‘날개를 달아줄 사람’ 따위는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군중 속에서 느낀 것은 외로움뿐이었다. 설상가상으로 주차해둔 차는 견인돼 사라졌다. 미아는 터덜터덜 혼자 거리를 걷다 들려오는 피아노 선율에 홀린 듯이 어느 ...

  • 숫자로 읽는 세상

    하이브, BTS 매출 의존도 낮추고 게임사업 키운다

    K팝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 하이브가 게임 사업을 분사해 본격적인 육성에 나선다. BTS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기존 음악 레이블 사업에서 게임, 대체불가능토큰(NFT), 메타버스 등 새로운 사업으로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美에 법인 신설해 사업양도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하이브는 미국 내 법인을 신설하고 이 법인에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사업을 양도하기로 했다. 신설법인 이름은 현 게임사업부의 조...

  • 경제 기타

    세상을 따뜻하게 만드는 기술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 스토리로 세상을 따뜻하게 만드는 기술에 대해 다뤘습니다. 장애인과 노인 등 취약 계층을 위한 보조 기구와 서비스에 최첨단 과학 기술이 적용되는 사례를 알아봅니다. 이 밖에 전 세계에 ‘커피 왕국’을 세운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의 도전과 성공 이야기도 담았습니다.

  • 키워드 시사경제

    글로벌 공급망 차질에…신차 평균값 4000만원 돌파

    멋진 차 한 대 새로 뽑는 일이 ‘하늘의 별 따기’가 돼가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생산 차질이 올해 들어서도 이어지면서 신차를 받으려면 길게는 1년 넘게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와중에 차값은 훌쩍 뛰어 ‘카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자동차(car)가 물가 상승(inflation)에 한몫하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해 국내 신차 평균 판매가격은 처음으로 4000만원을 돌파했다...

  • 시사 이슈 찬반토론

    현대 한국 건축의 걸작, 서울 힐튼호텔이 철거된다는데…

    서울 남산 기슭에 밀레니엄힐튼이라는 멋진 고층 건물이 있다. 서울역 주변에 속속 들어선 고층 건물로 가려지긴 했지만 한때 이 일대 랜드마크 구실도 했다. 세계적 힐튼 체인의 5성급 고급 호텔이다. 멋진 행사장과 다양한 고급 식당이 있어 내부도 멋지다. 39년 된 이 현대식 건물은 미국에서 활동해온 저명한 건축가인 김종성 씨가 설계한 것이어서 더 유명해졌다. 이 건물이 철거 상황에 놓이면서 보존을 주장·호소하는 목소리가 높다. 물론 ...

  • 디지털 이코노미

    평균의 개념, 디지털 경제에선 개인 맞춤형 중시

    19세기 초, 평균의 개념이 등장했다. 당시 여러 국가가 대규모 관료체제와 군대를 갖추면서 월별 출생아 및 사망자 수, 연간 수감되는 범죄자 수, 도시별 발병자 수 등 막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만들어 발표했다. 하지만 현대 자료 수집의 초창기였던 당시 그 누구도 이런 자료를 적절히 해석하지 못했다. 인간 관련 자료는 워낙 뒤죽박죽 엉켜 있어 분석이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탓이다. 평균의 개념이 공감받기 시작한 것이 이때쯤이다. 학자들은 평균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