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숫자로 읽는 세상
스타벅스 커피 2000원 오를 때 최저임금은 8000원 뛰었다
최저임금이 지난 20여 년 동안 소비자물가보다 세 배 이상 빠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임금을 과속 인상하면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경영 상황이 임계점에 다다랐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부터 본격 가동하는 고용노동부 산하 최저임금위원회가 또다시 내년도 최저임금을 급격히 인상하면 고용 불안과 경기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물가 79% 오를 때 최저임금 6.3배 뛰어 1일 고용부에 따르면 시간당 최저임금은 1999년 1525원에서 올해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찰스 3세 영국 국왕 대관식 심야 리허설
찰스 3세 영국 국왕의 대관식을 앞둔 지난 3일 런던에서 근위대가 심야 리허설을 진행하고 있다. 찰스 3세 국왕은 6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 대관식에서 영국과 14개 영연방 왕국의 군주가 됐음을 선포했다. 연합뉴스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일본과 협력해 일으킨 정변 '삼일천하'로 끝나…근대 사상의 탄생·근대인의 출현에 공헌 평가
개화파는 학습, 견학, 이론 구축, 정책 제정과 실천 등 많은 작업을 단기간에 추진했다. 주역인 김옥균은 1875년 전후부터 개화 세력을 규합했다. 1879년에는 개화승인 이동인을 일본에 파견해 근대화 상황을 관찰하게 했고, 조사시찰단의 파견을 주선했다. 1881년 음력 12월에는 일본을 방문해 개혁정치의 과정과 결과들을 참관하고, 실력 있는 정치가들과 접촉했다. 이때 ‘탈아론’의 주창자인 후쿠자와 유기치를 만나 생각을 교...
-
경제 기타
상품 많이 팔리는 곳일수록 토지가격 높아져요
우리는 살면서 토지 가격이 비싼 곳에서 만들어졌거나 판매되는 물건이 더 비싸다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반대로 상품 가격이 비싸져서 토지 가격이 올랐을 수도 있는데, 이런 상황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보지 않았을 것이다. 토지시장의 작동 원리를 통해 높은 토지 가격으로 인해 상품값이 비싸진 게 사실인지 알아보자. 토지의 수요와 공급 생산요소로서의 토지는 토지가 주는 서비스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토지시장에서 거래되는 대상도 토지가 주는 서비스가...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최전방에서 기획해 열정으로 엮은 명강의 28편
우유곽의 표준어는 우유갑으로, 우유를 담은 작은 상자를 뜻한다. 책 제목을 우유갑으로 쓰지 않은 이유를 알려두기에 ‘엮은이의 요청과 고유명사화된 개념으로 우유곽이라고 표현한다’고 밝혀놓았다. <우유곽 대학을 빌려드립니다>는 2010년에 발행된 책으로, 강의를 수록한 교수진 중에 이미 고인이 된 분도 있다. 그런데도 꾸준히 판매되는 비결은 이 책을 엮은 최영환 하이데어 대표가 활발한 사회활동을 하면서 강연 때마다 ...
-
커버스토리
떨어지는 경제성장률 전망치 반등시킬 방법은 없을까
우리나라 경제가 올해 얼마나 성장할지 전망한 결과가 불안합니다.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가 떨어지고 있는 것이죠. 1년에 네 차례 주요국 GDP 증가율 전망치를 발표하는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11일 우리나라 GDP가 올해 1.5%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올 1월 전망치(1.7%)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이로써 IMF는 네 차례 연속으로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췄습니다. 그런데 IMF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미국 영국...
-
교양 기타
의사 시인을 감동시킨 비누 두 장
비누 두 장 김기준 여리디 여린 당신의 허리춤에 긴 마취 침 놓고 두려움에 떨고 있는 당신의 눈을 보며 내가 할 수 있는 건 그저 손잡아주며 괜찮아요 괜찮아요 내가 옆에 있잖아요 그 순한 눈매에 맺혀 오는 투명한 이슬방울 산고의 순간은 이토록 무섭고 외로운데 난 그저 초록빛 수술복에 갇힌 마취의사일 뿐일까? 사각사각 살을 찢는 무정한 가위소리 꼭 잡은 우리 손에 힘 더 들어가고 괜찮아요 괜찮아요 내가 옆에 있잖아요 ...
-
경제 기타
토지는 비탄력적으로 공급되는 생산요소죠
생산요소의 공급은 수요와 달리 요소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다루고 있다. 노동과 자본의 공급 과정과 시장의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을 마쳤고, 이제 남은 생산요소는 토지다. 이번주부터 2주간 토지의 공급과 토지시장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자. 자본은 생산된 생산요소지만 토지는 생산을 통해 수량을 조절할 수 없는 본원적 생산요소다. 토지는 앞서 살펴본 노동과 비슷한 특징을 보이기도 하고, 자본과 비슷할 때도 있다. 따라서 토지의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