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생글 800호 발행, 감사합니다…뿌듯함보다 책임감 느낍니다
생글생글이 800번째 신문으로 독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생글생글이 2005년 6월부터 18년간 국내 최고 중고생 경제·논술신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독자 여러분의 뜨거운 관심과 성원 덕분입니다. 감사합니다. 생글생글은 자유시장경제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최신 국내외 경제 이슈를 경제 원리와 연결해 다양한 콘텐츠로 만들어 제공해왔습니다. 학생은 물론 직장인 독자들까지 “생글생글 덕분에 딱딱하고...
-
키워드 시사경제
'매수 일색' 증권사 보고서, 믿어도 될까요
2차전지 양극재 업체인 에코프로비엠은 올 들어 증시에서 가장 뜨거웠던 종목 중 하나다. 올초 9만3400원이던 주가가 4월 한때 31만5500원까지 폭등하면서 코스닥 시가총액 1위까지 올랐다. 에코프로비엠의 지주회사인 에코프로도 시총 2위 자리를 꿰찼다. 2차전지산업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된 결과이긴 하지만, 단기간에 주가가 과열돼 ‘묻지마 투자’가 몰린다는 지적도 적지 않았다. 지난 3일 한 증권사가 에코프로비엠에...
-
경제 기타
주가 수익·손실 2.5배로 커지는 파생상품이죠
금융위원회가 차액결제거래(CFD) 제도 개선에 나선다. CFD는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도 증권사를 통해 레버리지 투자(빚투)를 할 수 있는 장외파생상품이다. 금융위 등은 최근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發) 무더기 주가 폭락 사태와 관련, 이른바 ‘작전 세력’이 CFD를 악용해 주가 조작 거래 등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략) 금융위는 우선 종목별 CFD 잔액을 공시하도록 제도를 바꿀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는 특정 종목...
-
경제 기타
역사 속 금 이야기
제62호 주니어 생글생글 커버스토리에선 금의 역사를 다뤘습니다. 금을 향한 인간의 욕망과 도전이 역사의 궤적을 어떻게 바꿔 놨는지 일러스트를 곁들여 재미있게 이야기했습니다. 금과 관련된 속담과 격언도 살펴봤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남다른 포부로 세계적인 전자상거래 기업을 일군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스승의 날을 앞두고 주변의 고마운 선생님을 인터뷰해 기사를 작성했습니다.
-
디지털 이코노미
천재 창업자 소멸과 넘치는 자본이 낳은 시장은?
돈이 땀보다 귀해졌다. 자본소득이 경제성장률보다 높았다는 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까지 언급하지 않아도, 누구나 현금보다 주식을 소유하는 것이 부를 증식하는 쉬운 방법이라는 점을 안다. 미국 시장을 기준으로 할 때 좋은 소식은 미국 주식의 절반을 일반 가계가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며, 나쁜 소식은 미국 주식의 89%는 가장 부유한 10%가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창업자의 권력 회복 이유야 어떻든, 이런 현상 덕분에 투자할 곳을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27년째 징수 남산터널 통행료, 철폐가 맞나 계속 받아야 하나
서울 남산 1·3호 터널을 개인 승용차로 지나치려면 통행료를 내야 한다. 매번 2000원이다. 서울시의 통행료 징수는 27년째다. 외국에서도 도심이나 특정 혼잡 지역에서 통행료를 받는 일은 흔하다. 고속도로 등의 통행료와는 성격이 달라 혼잡 부담금 내지는 편의 수익자에 대한 공사비 부과 성격이 강하다. 서울시가 1996년 11월부터 받아온 ‘혼잡’ 통행료를 없앨지를 놓고 고민 중이다. 지난 3월부터 두 달 정도...
-
교양 기타
진짜 성공이란 바로 이런 것
성공이란 랠프 월도 에머슨 날마다 많이 웃게나. 지혜로운 사람에게 존경받고 해맑은 아이들에게 사랑받는 것, 정직한 비평가들에게 인정받고 거짓된 친구들의 배반을 견뎌내는 것, 아름다움의 진가를 발견하고 다른 사람의 장점을 알아보는 것, 튼튼한 아이를 낳거나 한 뼘의 정원을 가꾸거나 사회 환경을 개선하거나 무엇이든 자신이 태어나기 전보다 조금이라도 나은 세상을 만들어 놓고 가는 것, 자네가 이곳에 살다 간 덕분에 단 한 ...
-
과학과 놀자
가벼우면서 출력 커 배터리 재료로 최적이죠
더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한 번 충전으로 500㎞를 달릴 수 있는 전기자동차. 이런 기계를 만들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원소는 무엇일까? 바로 리튬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기계는 리튬 이온 전지로 작동된다. 스마트폰으로 이 글을 읽을 때, 스마트폰 내부의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어떤 화학반응이 일어나고 있을까? 리튬은 원자번호 3번으로, 원자의 크기가 작고 밀도도 0.534g/㎤로 금속 중에서 가장 낮다. 가벼우면서도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