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학원? 과외? 독학?' 내게 맞는 선행학습법 중요

    중간고사 이후 성적이 가늠되면 혹 불안감이 커지거나, 성취감이 생겼음에도 앞으로 시험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학습 방법을 바꿔볼까 하는 생각이 들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성적에 따라 학습 방법을 과도하게 변화시키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성적보다 여러분이 공부하는 과정 자체에서 느낀 바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공부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본인이 어떤 과목에 취약하고, 어떤 과목에서 선행학습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 알게 됩니다. 우선, 과목을 나눠 약점을 보완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여러 번 반복 학습을 요하는 과목이 선행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수학은 풀이를 익히기 위한 연습을 조금 더 수월히 하기 위해 개념 정도는 선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영어의 경우 선생님들이 문제 내는 유형이 일정하고 그 범위도 알고 있다면 반복 암기를 위해 선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탐구 과목은 사회냐 과학이냐 따라 다르고 세부 분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제 경우, ‘생활과 윤리’는 수업하는 선생님의 성향이 내신 시험에서 강하게 드러났기 때문에 선행을 하지 않고 수업에 큰 비중을 두고 공부했습니다. 반대로 ‘정치와 법’은 내신 시험이 수능 유형과 비슷했고, 문제를 풀며 개념과 풀이를 익히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해 방학 때 수능 문제집으로 개념을 선행했습니다. 탐구 과목은 따로 학원이나 과외를 이용하지 않는 학생이 많을 텐데, 저도 마찬가지여서 수능 문제집을 풀어본 뒤 해당 학기에 이를 위주로 수업을 정리했습니다. 자신의 공부 컨디션을 점검한 뒤엔 어떻게 선행학습을 할지 고민해야 합니다. 대개는 학원 수강, 과외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요약형은 핵심내용을 쓰고 논리적으로 종합해야

    요약형 문항에선 기본적으로 긴 글의 핵심적 내용을 간추려 조리 있게 논술해야 합니다. 논술 문제의 주요 6대 영역에서도 가장 많이 출제되는 핵심 유형 세 가지 중 하나이므로, 논술 합격을 위해 충분히 훈련해야 합니다. 요약은 비교, 비판과 달리 개인의 생각이 개입되는 정도가 작아 상대적으로 단순한 유형으로 보일 수 있으나, 제시문의 성격에 따라 그것을 자기표현으로 환문하고 논리적으로 종합해 재진술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닙니다. 따라서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의 실질적인 논술 실력 성장을 위해 세 단계로 나눠 접근해보고자 합니다. 요약은 단일 문제로 출제되기도 하고, 다른 요구사항의 전제로 출제되기도 합니다. 다양한 유형을 사례로 들어볼까요? (예1)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제시문 (가)를 요약하시오. (예2) (가)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를 평가하시오. (예3) (가)~(다)의 기술 발전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고, 이를 활용하여 (라)~(마)의 상황을 설명하시오. (예4) 사회변동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를 분류하고, 각 입장을 요약하시오. 최근에는 (예1)처럼 요약만 요구하는 문제의 출제 빈도는 줄고 대부분의 대학이 복합적인 문항을 출제합니다. 따라서 단일 유형으로만 본다면 출제 비중이 낮지만 실전에서는 요약형 글쓰기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그 이유는 (예2)~(예4)와 같은 복합 유형 때문입니다. 가령 (예2)에서처럼 제시문을 정리하고 그에 기초해 다른 요구사항을 풀어나가는 문항에서 앞선 정리가 요약에 해당합니다. 또 (예3)차람 여러 제시문을 통합적으로 요약하라고 요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훈련이 필요합니다. 한편 성균관대, 경희대, 한국외국어대 등은 (예4

  • 대학 생글이 통신

    생활과 윤리 수능특강 공부 때 '자료플러스' 주목

    고등학교 3학년이 되면 EBS 수능특강 교재를 학교 내신 시험 범위에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회탐구 과목 중 선택자 수가 가장 많은 과목인 ‘생활과 윤리’ 공부를 할 때 수능특강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이야기해보겠습니다.#기본 공부 방법-수능특강 개념 암기 및 문제 풀기우선, 수능특강에 나온 개념을 암기하고 그 개념을 바탕으로 수능특강 문제를 여러 번 풀어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때 개념을 설명하는 부분의 오른쪽과 왼쪽 날개에 있는 개념도 간과하지 말고 자세히 볼 것을 추천합니다.# 심화 공부 방법 1-기출 문제 풀기수능특강 문제를 푸는 것만으로는 내신을 대비하기엔 충분하지 않습니다. 시중에 있는 기출 문제집을 구해 교육청과 평가원이 지금까지 낸 문제도 함께 풀어보세요. 학교 선생님들도 학생들이 수능에서 좋은 성과를 내길 원하기 때문에 수능과 모의고사 문제를 참고해 학교 시험을 출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심화 공부 방법 2-자료 플러스 및 문제 지문에 집중하기수능특강의 개념 부분에는 중요한 학자들의 책에서 핵심적 부분을 인용한 ‘자료플러스’ 코너가 있습니다. 자료플러스의 자료는 학자의 주장에 대한 일종의 예시로 비치기 때문에 시험 공부를 할 때 학생들이 이 부분을 간과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간혹 자료플러스에만 언급되는 학자의 입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예로, 수능특강 개념 파트에는 단순히 ‘매킨타이어는 개인의 자유와 선택보다는 공동체의 전통과 역사를 더 중시하며, 도덕적 판단에서 구체적이며 맥락적인 사고를 중시할 것을 주장한다’고 언급돼 있습니다. 그러나 그 아래 자료플러스에는 한 걸음 더 나아간

  • 영어 이야기

    위험·문제점 인지하고 있을 때 'aware of~'

    The EU parliament passed a new law on June 14 that requires smartphones to come with batteries that can be easily replaced by the user. The law isn’t specific to mobile phones but covers various types of batteries, including those in laptops and other portable devices. The new rules, albeit undecided on the exact implementation timing, will affect the design, production and waste management of almost all types of batteries sold in the EU. Apple, the world’s No. 1 premium smartphone maker, has been manufacturing iPhones with integrated batteries since 2007 and Samsung, the largest mobile phone maker by volume, has done so with its Galaxy series of smartphones since 2015. "We are aware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battery detachment. We’re closely monitoring the situation. We’ll respond accordingly,” said a Samsung official. 유럽의회는 6월 14일 스마트폰에 사용자가 쉽게 교체할 수 있는 배터리를 함께 제공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휴대폰에만 국한되지 않고 노트북 및 기타 휴대용 장치에 포함된 배터리를 포함해 다양한 유형의 배터리에 적용된다. 정확한 시행 시기는 미정이지만 새로운 규정은 EU에서 판매되는 거의 모든 유형의 배터리 설계, 생산 및 폐기물 관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계 1위 프리미엄 스마트폰 제조사인 애플은 2007년부터 배터리 일체형 아이폰을 생산해왔으며, 세계 최대 휴대폰 제조사인 삼성은 2015년부터 배터리 일체형 갤럭시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배터리 탈착 관련 조항을 인지하고 있다.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말했다.해설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친환경 제품, 제품 재활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오늘 예문은 지난 6월 유럽의회가 휴대폰과 각종

  • 대입 전략

    인문 국수탐 98.5~75.5점, 자연 97.8~72.7점…SKY 인문 평균 93.6점, 자연 평균 94.3점

    6월 모의평가 성적표가 발부됐다. 확정 백분위,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정시 지원전략을 가다듬고 수시 지원 대학 및 학과를 추려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입시 결과는 가장 먼저 참고해야 할 자료다. 대입정보 포털 ‘어디가’는 전국 대학의 지난해 수시, 정시 입시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2023학년도 주요 21개 대학의 정시 합격선을 분석해본다.국수탐 백분위 SKY 인문 합격선 98.5~89.3점‘어디가’는 전국 대학의 수시 및 정시 입시 결과를 50%컷, 70%컷 등의 기준으로 발표한다. 2023학년도 주요 21개 대학의 정시 합격선을 국어, 수학, 탐구(2과목 평균) 백분위 평균(100점 만점) 70%컷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의약학을 제외한 인문은 최고 98.5점(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최저 75.5점(인하대 프랑스언어문화학과) 사이에서 합격선이 형성된 것으로 분석된다. 대학 그룹별로 합격선 분포를 살펴보면 SKY는 최고 98.5점(서울대 정치외교학부), 최저 89.3점(연세대 언더우드학부) 사이에서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SKY를 제외한 주요 10개 대학은 최고 96.0점(한양대 정보시스템학과)에서 최저 86.3점(한국외대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사이 합격선이 형성됐고, 주요 15개 대학은 최고 89.8점(동국대 경찰행정학부)에서 최저 82.0점(홍익대 영어영문학과) 사이로 분석됐다. 주요 21개 대학 합격선은 최고 88.1점(국민대 KMUInternationalBusinessSchool 등)에서 최저 75.5점(인하대 프랑스언어문화학과) 사이로 집계됐다. 주요 10개 대학 대학별 평균을 살펴보면 서울대 96.0점(98.5~90.3), 연세대 91.2점(92.8~89.3), 고려대 94.2점(95.6~93.0), 성균관대 92.0점(93.3~91.1), 서강대 91.0점(91.7~90.3), 한양대 92.8점(96.0~91.0), 중앙대 90.9점(93.0~89.0), 경희대 88.8점(90.7~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처리수 vs 오염수', 과학은 왜 괴담에 밀리나

    지금 우리는 ‘언어의 시장’에서 경쟁하는 두 개의 말을 지켜보고 있다. ‘처리수 대(對) 오염수’가 그것이다. 이들은 서로 언중(言衆)의 선택을 받기 위해 치열하게 세력싸움을 하는 중이다. 어느 쪽이 살아남을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두 말에는 이미 정치적 프레임이 씌워져 있기에 ‘언어의 순수성’을 따질 시기는 지났다. 하지만 적어도 말을 들여다보고 판단할 잣대는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중 하나가 ‘과학의 언어’와 ‘시적 언어’의 구별이다.‘과학’보다 ‘정치’에 휩쓸리기 쉬워언어에도 스펙트럼이 있다. 말과 글을 얼마나 엄격하게 다루느냐에 따라 ‘과학의 언어’에서 ‘시적 언어’까지 광범위한 표현 방식이 존재한다. 가령 ‘눈(雪)’을 설명하면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찬 기운을 만나 얼어서 땅 위로 떨어지는 얼음의 결정체(結晶體)’라고 한다면 그는 과학의 언어로 말한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눈은 ‘어느 먼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도 하고 ‘서글픈 옛 자취’이며 ‘추억의 조각’인가 하면 ‘먼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이기도 할 것이다(김광균의 시 ‘설야’). 이는 ‘시적 언어’로 풀어낸 것이다. 과학의 언어는 엄격하고 정교하며 객관적인 쓰임새를 요구한다. 그에 비해 시적 언어는 수사적 표현이 풍부하고 개인적이며 주관적, 감상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똑같은 대상을 두고 ‘언어의 스펙트럼’에 따라 서로 다른 설명이 가능하다. 우리 국어사전은 어디쯤에 있을까? 은 ‘과학의 언어’로 말한다. 앞서 살핀 ‘눈’에 대한 풀이가 그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국어사전이 언제나 과학의 언어를 견지하는 것은 아니다. 때론 ‘정치적 언어’에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유추 적용할때는 일반화와 구체화 과정 거쳐야

    지난 시간(2023년 6월 5일자 16면)에 제공했던 문제를 차근히 풀어봅시다.<나>지문은 수컷 말코손바닥사슴의 집단적 위기를 말하고 있습니다. 이 사슴은 번식기 수컷들의 목숨 건 투쟁 때문에 유리한 고지에 서기 위해 점차 뿔을 키워왔고, 그로 인해 기동력이 떨어져 늑대 집단에게 잡아먹히고 있습니다. 자, 그렇다면 아래의 논리는 성립할까요?답 : <나>의 경쟁 옹호론은 부당하다.근거 : 왜냐하면 수컷말코손바닥사슴 사례에서 볼 수 있듯 경쟁이 실패하기 때문이다.영역이 다른 논의를 그대로 들고 오면 위험하다는 것은 바로 위 사례에서 알 수 있습니다. 제재가 다른 제시문을 서로 연결해 생각할 땐 유추적용을 활용해야 합니다. 우리는 수컷 말코손바닥사슴이 아닙니다. 수컷 사슴들이 실패했다는 것이 우리의 ‘경쟁’에 대한 위험함을 증명하진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답을 쓰면 ‘오답’으로 처리되겠군요.예시1) <가>는 경쟁을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윈윈’ 게임으로 비유했다. 그러나 <나>의 사례에서 등장한 사슴의 뿔 크기 경쟁처럼 경쟁은 해당 집단의 경쟁력을 약화시킨다. <나>에 등장한 사슴들은 번식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점점 더 뿔 크기를 키우도록 진화했다. 이는 번식 경쟁에서 승리한 소수의 사슴에게는 도움이 됐을지 몰라도, 커다란 뿔로 인해 외부 집단의 포식자로부터 공격받을 가능성을 높여 종족 보존에 악영향을 미쳤다. 이는 결과적으로 <가>에서 주장한 경쟁의 상호이익 증진과 반대 결말을 보여준 것이다.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윈윈 게임은 경쟁을 지양하고 평화적 방법과 협력을 동원했을 때 이룰 수 있

  • 대학 생글이 통신

    6월 모의고사 망쳤어도 기회는 또 있습니다

    6월 모의고사는 잘 봤나요? 6월 모의고사는 처음으로 재수생과 함께 보는 시험이죠. 그리고 평가원에서 출제하는 시험을 정식으로 치르는 것도 처음이었을 거예요. 모의고사 점수가 평소보다 잘 안 나온 학생도 많을 겁니다. 저도 고3 시절 6월에 모의고사 성적이 말도 안 되게 낮아서 놀랐어요. 수학에서 홀수 점수를 맞으면 허수라는 이야기도 있죠. 당시 6월 모의고사에 홀수 문제를 2개 틀려서 짝수 점수를 맞았습니다. 여기에 2점짜리 문제도 틀렸습니다. 몰라서 틀리면 억울하진 않은데, 낮은 난도의 문제를 틀리니 정말 답답했습니다. 국어도 수학과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자신감이 떨어진 저는 정시를 포기했습니다. 제가 가장 가고 싶었던 서울대학교가 경제학부 일반전형 면접에서 어려운 수학 문제를 낸다는 것도 좋은 핑계였죠. 수능을 포기하고 교과 전형으로 하나, 수능 전에 면접을 보는 전형을 하나 지원했습니다. 수시에 합격하면 정시는 지원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두 학교에 지원한 뒤 당당하게 수능 공부를 접었습니다. 1주일에 3일 정도 면접 학원에 다녔고, 다른 날에는 수학 면접 공부를 했습니다. 수학 면접에 수학1, 수학2, 확률과 통계가 포함되기는 하지만 증명 문제가 많아 수능에 크게 도움이 되진 않았던 것 같습니다. 9월 모의고사도 예상대로 망했습니다. 하지만 상관하지 않았습니다. 어차피 정시로 지원할 수 없었고, 코로나로 널널해진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통과할 정도가 나왔기 때문이죠. 대망의 수능 날이 왔습니다. 1교시에 국어를 푸는데 ‘와 역대급으로 망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문학을 마지막으로 풀어서 시간이 30분 남았는데 헤겔과 경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