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43) 맛있는 샘물이 먼저 마르고, 높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

    『묵자』의 ‘친사편’에 실려 있는 글로, “단 샘이 먼저 마르고, 높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 신령스러운 거북이 먼저 불에 지져지고, 신령스러운 뱀이 먼저 햇볕에 말려진다. (중략) 그러므로 크게 성한 것은 지키기 어렵다고 한다”의 일부예요. 옛날에는 거북의 배딱지에 구멍을 파 그곳을 지진 후 갈라진 모양을 보고 점을 쳤어요. 강속구를 잘 던지는 투수가 강속구를 많이 던지면 선수 생명이 짧아지는 건 ...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아폴로니우스의 타원 ‘두 점에 이르는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로 이루어진 곡선을 타원이라고 하고 이 두 점을 타원의 초점이라고 한다.’ 고등학교 교과서에 쓰여진 타원의 정의다. 이 정의는 무척 딱딱하게 느껴질 뿐만 아니라 정의를 만족하는 도형의 모양이 좀처럼 머릿속에 잘 그려지지 않는다. 이와 대조적으로 원뿔을 모선보다 작은 기울기로 자를 때 생기는 단면의 모양으로 타원을 정의한...

  • 학습 길잡이 기타

    대입 실전면접 문답과 평가 -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현민의 스토리면접 (15) Ⅰ. 들어가며 면접이란 무엇일까? “면접이란 해당 지원 학과를 잘 이수하고, 열정이 굳건한 학생을 대학교에서 선발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지난 16일 분당 대진고에서 서울대 중심의 자기소개서 및 학교생활기록부 특강을 진행하였다. 한마디 한마디 집중하면서 끄덕이면서 메모하는 적극적인 모습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 학생들이 가장 궁금해했던 것은 ‘자기소개서 양식이 바뀌었는데, ...

  • 학습 길잡이 기타

    <29> 논술 유형 탐구 (5) 복합문제유형 ④

    지난 시간에 했던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유형>에 대한 실전 문제를 하나 살펴보겠습니다. 다음 문제는 2009학년도 경기대 기출문제를 간단하게 요약해놓은 것입니다. 문제. (가)에서 제기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다)의 시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지 (나)의 관점과 연관 지어 논해 보시오. (600~690자) (가) 현대 사회에는 물질만능주의와 이기주의가 팽배해 있다. (나) <나와 그것>의 관계란 나와...

  • 학습 길잡이 기타

    홍상수의 맛있는 과학논술 (8) 생물수학

    홍상수 < S·논술 자연계 논술강사 immanuel78@gmail.com >

  • 학습 길잡이 기타

    (42)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간다

    『주역』의 '계사하'에 실려 있는 글로,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간다. 이로써 하늘로부터 도와서 길하며 이롭지 않음이 없다.”라는 구절의 일부에요. 본래의 의미는 '극에 달하면 변하고, 변하게 되면 새롭게 통하게 되며, 통하게 되면 오래도록 이어진다.'는 뜻이에요. 사람들은 이 글귀를 '궁하면 통한다.'로 줄여 '어려운 처지에 이르게 되면 도리어 해결할 길이 생긴다.'는 뜻으로 사용해요. 하지만 기억해야 해요. 주역은 말...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경주’ 그리스의 철학자 제논(기원전 490년경~기원전 430년경)은당시 반박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역설을 내놓아 많은 사람을 당황하게 했다. 이런 역설 때문에 그는 얼마나 인기가 없었는지 왕에게까지 미움을 받아 무참히 처형되고 말았다. 처형 당시 그는 형장에서 마지막으로 왕에게 직접 전해야 할 중대한 비밀이 있다며 왕에게 가까이 가 왕의 귀를 물어뜯었다.왕을...

  • 학습 길잡이 기타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에티켓·체크리스트

    현민의 스토리면접 (14) Ⅰ. 들어가며 면접이란 무엇일까? “면접이란 평소의 생각을 진실되게 말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왜 그럴까. 인류의 진보는 곧 학문의 진보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학문의 진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표절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학교에서는 학생이 제출한 서류에 대하여 그 표절성을 검증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대학교의 발표내용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고려대는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