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자연의 섭리가 숨어있는 '피보나치 수'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 - 자연의 섭리가 숨어있는 '피보나치 수' 1, 1, 2, 3, 5, 8, 13, 21, 24, 34…과 같이 '이웃하는 두 항의 합이 그 다음 항의 값과 같다'는 규칙으로 진행되는 수열을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한다. 이는 '피사의 레오나르도 다빈치'라 불리는 이탈리아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에 의해 처음 제기됐는데 따져볼수록 다채로운 자연현상이 그 안에서 나타나는 신비로운 수열이다. 신의 비율인 황금...

  • 학습 길잡이 기타

    자기소개서…성장과정과 환경문항 접근법

    현민의 스토리면접 (6) 면접이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으로 최근 중국에서 일어난 일을 소개해 보겠다. 지난 5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중국 최고 감찰기구인 중앙기율검사위원회의 왕치산 서기의 말이 화제가 되고 있다. “사실 나는 한국드라마('별에서 온 그대')가 왜 중국을 점령하게 됐는지, 또 왜 바다를 넘나들며 미국 심지어 유럽에서까지 유행하고 있는지 깊이 생각해봤다. 한국드라마의 핵심과 정신은 바로 전통문화의 승화...

  • 학습 길잡이 기타

    <20> 논술 유형 탐구 (3) - 설명하기

    새 교실과 새 친구들에 적응이 되셨겠지요? 이번 주부터 이 연재의 제목답게 첨삭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학교에서 논술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경우 첨삭에 대한 갈증이 심한 것 같더군요. 논술은 무엇보다 첨삭이 중요한데 말이지요. 지면 관계상 문제를 지면에 제공해드리진 못하지만, 연재 말미에 나와 있는 이메일 주소로 첨삭을 신청하시면 제가 문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이메일 주소에 <첨삭 신청>이라고 적어주세요. 그 문제를 1주일 동안 푸신 ...

  • 학습 길잡이 기타

    <228> 이항정리의 확장

    최준원 <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 학습 길잡이 기타

    (33) (사람은) 잃을 것을 걱정한다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

    ▶ 공자가 비루한 사람과는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한 말이에요. “부귀를 얻기 전에는 얻을 것을 걱정하고, 이미 얻고 나서는 잃을 것을 걱정하니, 만일 잃을 것을 걱정한다면 못하는 짓이 없게 된다”는 구절의 일부로 『논어』의 '양화'편에 실려 있어요. 우리는 가끔 '저리도 많이 가진 사람이 어찌 저런 나쁜 일을 서슴지 않고 하지?'라고 생각할 때가 있어요. 이 의문에 '부귀에만 뜻을 두는 자는 못하는 짓이 없다.'라는 옛말이 어느 정도의...

  • 학습 길잡이 기타

    하나고 조계성 쌤의 재미난 수학세계-배시원 쌤의 신나는 영어여행

    이탈리아의 천재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갈릴레이는 무한집합을 포함하여 어떤 경우라 할지라도 전체는 부분보다 크다고 믿었다. 간단하게 홀수와 짝수로 구성되어 있는 정수의 집합을 생각해보자. 그림과 같이 정수의 집합은 두 부분집합의 합집합, 즉 홀수의 집합과 짝수의 집합의 합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정수의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수는 홀수의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수나 짝수의 집합을 구성하고 있는 원소의 수에 비해 두 배는 되어 보인다....

  • 학습 길잡이 기타

    자기소개서, 왜 그리 중요할까요

    면접이란 무엇일까? 이에 대한 답으로 청소년기 학생이 스스로 자신에 관해 기술한 자기소개서를 살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자기소개서는 청소년기에 학생 자신이 스스로 선택한 분야, 그리고 그 분야에 최선을 다해 노력한 흔적을 기록함으로써, 자신이 지원한 대학과 해당 학과에서 열심히 공부하여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인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한 서류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이 자기소개서(이후 '자소서')에 관한 뉴스가 신문을 장식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19> 논술 유형 탐구- 비교하기 (2)

    이번 시간에는 지난 시간에 배운 비교하기 유형을 문제를 풀어보면서 확인해 보도록 합시다. 우리는 기본이 되는 4개의 유형 중, 이제 두 번째 유형을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당신이 착한 사람이라면 좋겠다. 당신도 아마 내가 착한 사람이기를 바랄 것이다. 우리 둘은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이 선한 마음을 가지고 타인을 위해 희생할 수 있는 굳은 의지를 갖고 있기를 바라고 있다. 하지만, 모든 구성원들이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