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하려고 하면 도달하지 못하고, 조그만 이익을 보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의 일부예요. 공자가 제자인 자하에게 해준 말이에요.
일을 빨리 하면서도 한 치의 오차가 없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에요. 서두르다 보면 분명 한두 가지 빠뜨리거나 실수하기 마련인데, 그 작은 실수가 전체 일을 망치기도 하지요.
또 큰 이익을 얻기 위해서는 약간의 손해를 감수할 줄 알아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과감한 결단력과 앞일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 선견지명(先見之明)이 무엇보다 필요해요.
▶ 한마디 속 한자 - 速(속) : 빠르다, 빨리하다, 빨리
▷ 速攻(속공) : 농구·배구·축구 따위의 구기 경기에서, 지체함이 없이 재빠른 동작으로 공격함. 또는 그런 공격.
▷ 速戰速決(속전속결) : 1. 싸움을 오래 끌지 아니하고 빨리 몰아쳐 이기고 짐을 결정함. 2. 어떤 일을 빨리 진행하여 빨리 끝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허시봉 < 송내고 교사 hmhyuk@hanmail.net49 >
![[재미있는 수학] '장미 그림'으로 시각화…통계로 세상 구한 나이팅게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524.3.jpg)
![[재미있는 수학] 숫자 대할 때 1이 자주 나타나는 이유는 뭘까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069705.3.jpg)
![[재미있는 수학] 2차 관계식은 도형의 완벽함 그려내는 마법 주문](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308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