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생글이 통신
강의 많이 듣기보다 내 것으로 만드는 시간 필요
새 학기 대비 입시 준비 팁(1)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대학 입시도 더 가까워졌다. 이에 따라 부담이 커지고 고민도 많아질 텐데, 새 학년을 맞이하며 공부 계획을 어떻게 수립하면 좋을지 몇 가지 팁을 소개한다. # 공부시간 최대한 확보하기 어떻게 보면 당연하겠지만 지키기 어렵습니다. 보통 하교 후 학원에 다니는 고등학생들은 수업을 계속 들으면서도 정작 배운 내용을 복습하지 못해 성적이 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성적이 떨어졌다며...
-
대입 전략
총 3683명 선발·주요 전공은 2317명 수준…수능성적 반영 비중 평균 76.6%로 높은 편
교사는 진로 선호도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직업 중 하나다. 중·고교 교사가 되려면 국어, 수학, 영어 등 각 전공 교육학과 또는 교직과정이 설치된 일반학과를 졸업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이후 각 시·도교육청이 시행하는 임용고시에 합격하면 공립 중·고교 교사로 임명된다. 2024학년도 주요 10개 대학 및 거점국공립대 사범계열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교대 및 초등교육과는 입...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모든 함수가 비례(반비례)하는 것이 아니라고?
19세기의 초기 연구는 체외로 발산되는 열량이 체표 면적에 비례한다고 보았다. 즉 그 둘이 항상 일정한 비(比)를 갖는다는 것이다.(중략) 1930년대에 클라이버는 생쥐부터 코끼리까지 다양한 크기의 동물의 기초 대사량 측정 결과를 분석했다. 그래프의 가로축 변수로 동물의 체중을, 세로축 변수로 기초 대사량을 두고, 각 동물별 체중과 기초 대사량의 순서쌍을 점으로 나타냈다. 가로축과 세로축 두 변수의 증가율이 서로 다를 경우, 그 둘의 증가율...
-
대입 전략
교대·초등교육, 4182명 선발…정시 비중 평균 42%, 작년 수시이월 12.9% 감안 최종 정시 비중 50%대
초등학교 교사는 문과생 사이에서 전통적으로 인기가 높은 직업 중 하나다. 교사가 되려면 교대 또는 일반대 초등교육과를 졸업한 뒤 시·도교육청별로 실시하는 임용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2024학년도 교대 및 초등교육과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 교대는 전국에 10개, 일반 4년제 대학 초등교육과는 세 곳이 있다. 교대는 서울교대(서울) 경인교대(인천) 공주교대(충남) 광주교대(광주) 대구교대(대구) 부산교대(부산) 전주교대(전북) 진주교...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良藥苦口 (양약고구)
▶한자풀이 良: 좋을 양 藥: 약 약 苦: 쓸 고 口: 입 구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바른말은 귀에 거슬린다는 의미 - <사기(史記)> 천하를 통일한 시황제가 죽자 진(秦)나라는 순식간에 혼란에 빠졌다. 서슬 퍼런 철권통치에 시달린 백성들이 각지에서 진나라 타도를 외치며 봉기를 일으켰고, 그런 민심에 편승한 군웅들이 국토를 분할해 세력 경쟁을 벌였다. 그중 대표적 인물이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이다. 2세 황...
-
대학 생글이 통신
틀린 문제는 풀릴 때까지 시도해 유형을 익혀둬야
수학공부 이렇게 하자(2) 지난번에 이어 지양해야 할 수학 공부 방식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 틀린 문제 답만 표시하고 넘어가기 우리가 수학 문제를 왜 푸는 걸까요? 무엇을 모르는지 알고, 모르는 것을 없애나가기 위해서입니다. 다시 말해 문제를 틀리기 위해 푸는 것입니다. 그런데 간혹 채점만 하고 맞든 틀리든 다음 문제를 푸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보통 학원 숙제를 빨리 처리하고 싶은 학생들이 그렇게 합니다. 그러나 이렇게 문제를 풀면 ...
-
영어 이야기
silver lining은 어둠 속에서 만나는 빛이랍니다
The semiconductor industry is reeling from a chip supply glut amid a broader global economic slowdown. However, as the saying goes, every cloud has a silver lining. In this case, it’s chip designers who are in high demand at a time when some ch...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원과 접선은 왜 서로 수직일까?
정답은 매우 간단하다. ‘수직이 아니면 안 되기 때문’이다. 좀 더 부연해서 설명하면, 이미 ‘원’과 ‘접선’이라는 용어의 개념과 정의에 문제의 정답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론을 부정하면 해당 개념과 정의에 근본적으로 위배됨을 보이면 된다. 이와 같이 직관적으로 익숙하면서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 명제를 증명할 때 결론을 부정해 모순을 이끌어내는 ‘귀류법&rsq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