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몽골의 '창씨개명'…고유의 성(姓)을 잃다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으로 제정러시아가 무너지고 얼마 뒤 ‘소련’이 등장했다. 세계 최초로 탄생한 사회주의 국가다. 이어 1921년 소련의 원조로 몽골에 세계 두 번째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몽골 공산정부는 곧바로 ‘창씨개명’ 작업에 들어갔다. 조상 계보에 따른 충성심이 국가에 우선해선 안 된다는 명분하에 성씨(姓氏) 사용을 금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몽골에선 전통적으로 써오던 성(姓)이 사...
-
대학 생글이 통신
새 학기에는 학습계획 세우고 오답노트 정리하세요
새로운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은 설레는 마음과 걱정되는 마음이 공존하는 시기입니다. 새 학기를 맞아 학교생활을 어떻게 하면 좋을지 소개합니다. 첫 번째로, 계획을 세우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저는 중간고사, 기말고사를 기준으로 두 달 계획, 한 달 계획, 주 계획, 하루 계획으로 세분화해 공부했습니다. 큰 틀을 잡아서 두 달 안에 끝내고 싶은 목표를 세우고, 이를 나눠 점점 작은 범위로 좁혀나가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계획을 세울 때는 무리하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정의를 하지 않으면 과학적 탐구 활동이 불가능하다
하루에 필요한 에너지의 양은 하루 동안의 총 열량 소모량인 대사량으로 구한다. 그중 기초 대사량은 생존에 필수적인 에너지로, 쾌적한 온도에서 편히 쉬는 동물이 공복 상태에서 생성하는 열량으로 정의된다. 이때 체내에서 생성한 열량은 일정한 체온에서 체외로 발산되는 열량과 같다. 기초 대사량은 개체에 따라 대사량의 60~75%를 차지하고, 근육량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기초 대사량은 직접법 또는 간접법으로 구한다. 직접법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
대학 생글이 통신
쉬운 문제집 많이 풀기보다 난도 단계적 높여야
수학공부 이렇게 하자(1) 안나 카레니나 법칙을 알고 있나요? 성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모두 충족돼야 하고, 하나라도 충족되지 못하면 실패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법칙은 톨스토이의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첫 문장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그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에서 나왔습니다. 공부에도 안나 카레니나 법칙이 적용된다고 생각합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의 공부 방법은 모두 비슷...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인문논술도 대학마다 다르다
2024학년도 대입 인문논술 분석, 겨울방학 특집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대학별 논술고사의 특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논술은 계열별로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우선 그 계열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용어를 알고 있어야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인문계 대학엔 다양한 학과가 있으며, 학과의 계열별로 문제를 달리 내기도 합니다. 그래서 학교의 계열구분에 대해 알아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두 계열로 나눌 때는 인문계열과 사회계열로 나눕니다. 이러한...
-
대입 전략
총 7334명 선발…73.2%가 수능최저 요구, 주요 10개 대학 내신 합격선 평균 1등급대
주요 21개 대학의 학생부교과 전형은 내신 성적 반영 비중이 최소 70%여서 내신이 당락에 끼치는 영향이 절대적이다. 주요 대학은 대부분 내신 합격선이 1~2등급대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특목·자사고 학생은 지원을 꺼리는 전형이기도 하다. 주로 일반고 내신 최상위권 학생들이 경쟁하는 구도다. 종로학원이 올해 주요 21개 대학 내 학생부교과 전형의 선발 규모를 분석한 결과 일반전형 인문, 자연 기준으로 모집 규모는 총 7334명에 달한...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57회' 납세자의 날, '56주년'이기도 하죠
오는 3월 3일은 제57회 ‘납세자의 날’이다. 이날 배우 김보성 씨를 비롯해 김수현, 송지효, 임원희 씨 등이 아름다운 납세자와 모범납세자로 선정돼 상을 받는다고 한다. 정부는 국세청이 발족(1966년 3월 3일)한 이듬해부터 이날을 ‘조세의 날’로 정해 매년 기념해오고 있다. 2000년부터는 납세자가 주인이라는 의미에서 명칭을 ‘납세자의 날’로 바꿔 기념식을 열고 있다. 태어...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天衣無縫 (천의무봉)
▶한자풀이 天: 하늘 천 衣: 옷 의 無: 없을 무 縫: 꿰멜 봉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흔적이 없다 인위적 기교가 없이 자연스러움을 이름 - <태평광기(太平廣記)> 천상(天上)의 직녀(織女)가 인간계의 청년 곽한(郭翰)을 사랑하여 천제(天帝)의 허락을 얻어 밤마다 지상으로 내려왔다. 그런데 직녀가 칠석(七夕)이 되자 견우를 만나느라 오지 않다가 5일쯤 후에야 다시 내려왔다. 곽한이 물었다. “직녀님, 견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