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풀이
天: 하늘 천
衣: 옷 의
無: 없을 무
縫: 꿰멜 봉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흔적이 없다
인위적 기교가 없이 자연스러움을 이름
- <태평광기(太平廣記)>
천상(天上)의 직녀(織女)가 인간계의 청년 곽한(郭翰)을 사랑하여 천제(天帝)의 허락을 얻어 밤마다 지상으로 내려왔다. 그런데 직녀가 칠석(七夕)이 되자 견우를 만나느라 오지 않다가 5일쯤 후에야 다시 내려왔다. 곽한이 물었다. “직녀님, 견우님과의 상봉은 어떠셨는지요.”
곽한의 질문에 직녀는 웃으며 말했다. “천상은 여기와 다릅니다. 천상에서는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는 것이 정교(情交)여서 이 세상의 정교와는 다릅니다. 행여 질투하는 마음이 있으면 버리십시오.”
곽한이 멋쩍어 다시 물었다. “그렇지만 오랫동안 발길을 끊지 않았습니까?”
직녀가 다시 웃으며 답했다. “천상의 하룻밤은 이 세상 5일에 해당합니다.”
그날 밤 직녀는 곽한을 위해 천상의 요리를 가져왔는데, 모두 이 세상에는 없는 것뿐이었다. 또 그녀의 옷을 보니 어디에도 솔기(천의 끝과 끝을 봉합했을 때 생기는 선)라곤 눈에 띄지 않았다. 신기하게 생각하며 물어보니 직녀가 말했다. “저희가 입는 천의(天衣)라는 것은 원래 실이나 바늘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곽한은 직녀의 옷에 반해 입을 다물지 못했다. 10세기 북송 태종 때 편찬된 설화집 <태평광기(太平廣記)>에 나오는 얘기다.
천의무봉(天衣無縫)은 하늘나라 사람의 옷은 솔기나 바느질한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시가(詩歌)나 문장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흠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성격이나 언행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조금도 꾸민 데가 없음을 이르기도 한다.
천의무봉은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대교약졸(大巧若拙)과 뜻이 닿는다. 뛰어난 기교를 가진 사람은 그것을 자랑하지 않기에 겉으로는 졸렬하게 보인다는 뜻이다. 크게 강직하면 굴종하는 것 같고(大直若屈), 큰 웅변은 더듬는 듯하다(大辯若訥)는 말과 대구로 많이 쓰인다.
天: 하늘 천
衣: 옷 의
無: 없을 무
縫: 꿰멜 봉
선녀의 옷에는 바느질한 흔적이 없다
인위적 기교가 없이 자연스러움을 이름
- <태평광기(太平廣記)>
천상(天上)의 직녀(織女)가 인간계의 청년 곽한(郭翰)을 사랑하여 천제(天帝)의 허락을 얻어 밤마다 지상으로 내려왔다. 그런데 직녀가 칠석(七夕)이 되자 견우를 만나느라 오지 않다가 5일쯤 후에야 다시 내려왔다. 곽한이 물었다. “직녀님, 견우님과의 상봉은 어떠셨는지요.”
곽한의 질문에 직녀는 웃으며 말했다. “천상은 여기와 다릅니다. 천상에서는 마음과 마음이 서로 통하는 것이 정교(情交)여서 이 세상의 정교와는 다릅니다. 행여 질투하는 마음이 있으면 버리십시오.”
곽한이 멋쩍어 다시 물었다. “그렇지만 오랫동안 발길을 끊지 않았습니까?”
직녀가 다시 웃으며 답했다. “천상의 하룻밤은 이 세상 5일에 해당합니다.”
그날 밤 직녀는 곽한을 위해 천상의 요리를 가져왔는데, 모두 이 세상에는 없는 것뿐이었다. 또 그녀의 옷을 보니 어디에도 솔기(천의 끝과 끝을 봉합했을 때 생기는 선)라곤 눈에 띄지 않았다. 신기하게 생각하며 물어보니 직녀가 말했다. “저희가 입는 천의(天衣)라는 것은 원래 실이나 바늘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곽한은 직녀의 옷에 반해 입을 다물지 못했다. 10세기 북송 태종 때 편찬된 설화집 <태평광기(太平廣記)>에 나오는 얘기다.
천의무봉(天衣無縫)은 하늘나라 사람의 옷은 솔기나 바느질한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시가(詩歌)나 문장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흠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성격이나 언행 등이 매우 자연스러워 조금도 꾸민 데가 없음을 이르기도 한다.
천의무봉은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대교약졸(大巧若拙)과 뜻이 닿는다. 뛰어난 기교를 가진 사람은 그것을 자랑하지 않기에 겉으로는 졸렬하게 보인다는 뜻이다. 크게 강직하면 굴종하는 것 같고(大直若屈), 큰 웅변은 더듬는 듯하다(大辯若訥)는 말과 대구로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