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웅산수지'…이름 표기를 둘러싼 국제 갈등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자 1991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수지 여사. 그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2004년 제5회 광주인권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나 당시 가택연금 상태라 방한하지 못했다. 이후 9년 만인 2013년 한국을 방문해 상을 받았다. 하지만 훗날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족 박해에 개입한 책임을 물어 2018년 5·18기념재단에서 광주인권상을 철회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아웅 산 수 치’, 신...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그런 거까지 구별해? 응, 그래야 정확하게 알아

    19세기의 초기 연구는 체외로 발산되는 열량이 체표 면적에 비례한다고 보았다. 즉 그 둘이 항상 일정한 비(比)를 갖는다는 것이다. 체표 면적은 (체중) 0.67 에 비례하므로, 기초 대사량은 체중이 아닌 (체중) 0.67 에 비례한다고 하였다. 어떤 변수의 증가율은 증가 후 값을 증가 전 값으로 나눈 값이므로, 체중이 W에서 2W로 커지면 체중의 증가율은 (2W)/(W)=2이다. 이 경우에 기초 대사량의 증가율은 (2W) 0.67 ...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하루 15시간 울며 공부해 5개월 만에 합격했어요"

    공인중개사 최보람 집토스 쌍문점 지점장 단일 자격증 시험 중 응시자가 가장 많은 공인중개사 시험은 수학능력시험과 토익, 9급 공무원 시험과 더불어 '4대 시험'으로 불린다. 공인중개사가 되기 위해 도전하는 이들은 매년 급증하고 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인생 2막을 준비하는 4050세대의 수능이라 불렸지만 20~30대 응시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공인중개사는 기획 부동산, 전세 사기 등 나쁜 뉴스의 중심에 있는 직업이기도 하다...

  • 영어 이야기

    tender가 동사로 쓰일 땐 '입찰 참여'가 돼요

    Kakao is expected to launch its own tender offer to raise its stake once the court makes a decision on the injunction, industry sources said. The IT behemoth was known to have completed preparation for the takeover bid regardless of the court’...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季布一諾 (계포일락)

    ▶ 한자풀이 季: 계절 계 布: 베 포 一: 한 일 諾: 승낙할 락 계포가 한 번 한 약속이란 뜻으로 약속을 하면 반드시 지킴을 이름 - <사기(史記)> 계포(季布)는 초나라 출신의 한나라 장수다. 항우 밑에서 무장으로 있으면서 여러 싸움에서 유방을 괴롭혔다. 그러나 항우가 유방에게 패해 죽자 졸지에 쫓기는 몸이 됐다. 숨어 지내던 계포는 다시 한나라에 등용돼 낭중(郞中) 벼슬을 지내다 하동태수가 됐다. 그는 비록 두 ...

  • 대학 생글이 통신

    쉬운 과목·어려운 과목 분리해 복습하면 효과적

    오늘은 복습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제가 고민했던 것들을 참고해 각자에게 맞는 방법으로 적용해보길 바랍니다. 처음 배운 것을 100% 완벽하게 이해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수업에서 전부 이해했다고 생각했더라도 시간이 조금 지난 뒤 다시 그 내용을 들여다보거나 응용하는 문제를 풀 때면 막히는 경우가 있었을 것입니다. 저는 복습할 때 잘 이해했다고 느낀 과목과 어렵게 느낀 과목을 분류했습니다. 잘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과목은 일단 빠르게 읽어내려...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분량 대비 난이도와 자기 특성을 견주어 볼 것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어느새 추운 겨울이 지나고 봄이 왔습니다. 모두 새 학기 잘 적응하고 있겠지요? 저는 논술전형에 관한 문의가 많아져 몸도 마음도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고3뿐만 아니라 고1, 2학생들도 벌써부터 문의를 해오곤 합니다. 그만큼 입시에서의 불안이 커졌다는 얘기겠죠? 수능에서 공통으로 시험을 치르고 학생부종합의 문턱은 점점 높아지고 있어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논술 전형에서 합격하는 제 제자들도 아마 비슷한 마음으로 시작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년의 시행착오…베트남人 이름 부르기

    우리말에서 누군가를 부르거나 가리킬 때의 규범은 엄격하다. 경어법이 복잡한 데다 상황에 따라 맞는 관습을 좇아야 한다. “김 씨” 할 때 그가 아랫사람이면 대접해 부르는 말이지만, 윗사람이라면 쓰지 못한다. 이를 벗어나면 예의에 어긋나게 되고, 때론 사회적 갈등을 빚기도 한다. 외국인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직함을 나타낼 때 주의해야 한다. 우리처럼 성(姓)과 이름(名)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