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근묵자흑 (近墨者黑)

    ▶한자풀이 近: 가까울 근 墨: 먹 묵 者: 놈 자 黑: 검을 흑 먹을 가까이하면 검어진다 주위 환경에 따라 변함을 비유 -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 어울리면 서로 닮는다. 그러니 친구를 보면 그가 누군지를 안다. 진(晉)나라 학자 부현(傅玄)이 편찬한 잠언집 <태자소부잠(太子少傅箴)>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무릇 쇠와 나무는 일정한 형상이 없어 겉 틀에 따라 모나게도 되고 둥글게도 된다. 또...

  • 대학 생글이 통신

    대학 입시 끝났으니 이런 거 한번 해보세요

    벌써 연말이 다가오고, 많은 고등학교 3학년생은 수능과 면접, 논술을 끝내고 대학 입시 결과만을 기다리고 있겠죠. 의무감으로 하던 공부를 잠시 멈추고 뭘 해야 할지 모르는 친구들을 위해 대학교 입학 전까지 남은 3개월 동안 할 만한 것들을 추천해보려고 합니다. 1. 운전면허 따기 한 번쯤은 생각해본 거겠죠? 저는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 방학 때 면허를 따지 못했는데 이 시기를 넘기니까 면허를 따고 싶은 마음도, 시간도 없더라고요. 제 동기들에...

  • 대학 생글이 통신

    고 2, 겨울방학 동안 자기진단 후 기본기 다져야

    2023학년도 대학 수능의 막이 내렸습니다. 이번에는 내년 수능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시작점이 될 수 있는 겨울방학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조언하고자 합니다. 겨울방학은 여름방학보다 ‘시작’하기 좋은 시간입니다. 첫째는 한 해의 커리큘럼을 끝내고 정리하는 시기이기 때문이고, 둘째는 수능 직후 마음을 다잡기 좋은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시기에는 가장 먼저 자기진단이 필요합니다. 특히 수능을 딱 1년 앞뒀다면, 자기 실...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주어진 조건 여러 개일 때 숨은 함수의 정체는?

    수능뿐만 아니라 논술 문제에서도 많은 수의 조건이나 여러 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주어질 때가 있다. 이런 문제는 보통 어떤 특정한 함수를 미리 상정하고 이 함수의 정체를 꽁꽁 숨겨놓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다양한 조건을 주는 방식으로 출제된다. 이와 같은 문제는 마치 조각 퍼즐로부터 전체 그림을 완성하는 것처럼 주어진 각각의 조건으로부터 얻은 개별 결과를 취합해 전체의 모양을 추정해가는 방식으로 해결해야 한다. 당연히 이런 문제는 체감 난이도와 ...

  • 영어 이야기

    도전장을 던질 땐 'throw down the gauntlet'

    When industry sources last week revealed that Samsung Electronics Co. was developing state-of-the-art semiconductors with the industry’s most advanced 3-nanometer process node for big names in the HPC and mobile sectors, it came as a surprise.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손해 입다와 손해 부담의 차이는 뭐지?

    6. (가)를 바탕으로 할 때, <보기>에 대한 반응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 A가 B와 체결한 계약을 지키지 않았다. 그 결과 A는 0원의 이익을 얻었고, B는 100원의 손해를 입었다. 계약법은 A가 B에게 손해 배상 책임을 지게 할 수도 있고 그렇게 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100원의 손해는 A가 부담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B가 부담한다. 만약 A가 손해의 일부만 배상한다면 10...

  • 대입 전략

    주요 대학 정시 영어 합격선 평균 2등급 내외 많아 학과별 합격선 3등급 이내(2.1~3.0) 분포도 다수

    현행 수능체제에서 영어는 절대평가로 치러진다. 정시에서 영어 성적은 감점, 가산, 환산점수 등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평가에 반영한다. 상대평가로 치러지는 국어, 수학, 탐구와 비교하면 영어가 정시에서 당락에 끼치는 영향력은 다소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만만하게 봐서는 곤란하다. 주요 대학의 경우 대부분 2등급을 지원 적정선으로 볼 수 있다. 2022학년도 주요 대학 정시 영어 합격선을 분석하고, 올해 영향력을 진단해본다. 지난해 영어...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자신이 알고 있던 개념 적용은 신중히

    검색 엔진은 빠른 시간 내에 검색 결과를 보여 주기 위해 웹 페이지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덱스를 미리 작성해 놓는다. 인덱스란 단어를 알파벳순으로 정리한 목록으로, 여기에는 각 단어가 등장하는 웹 페이지와 단어의 빈도수 등이 저장된다.(중략)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 엔진은 인덱스에서 검색어에 적합한 웹 페이지를 찾는다. ㉡적합도는 단어의 빈도, 단어가 포함된 웹 페이지의 수, 웹 페이지의 글자 수를 반영한 식을 통해 값이 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