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미국 우주선, 소행성과 충돌 실험 성공

    미국의 ‘쌍(雙)소행성 궤도수정 시험(DART)’ 우주선이 지난달 26일 지구로부터 약 1100만㎞ 떨어진 심우주에서 목표 소행성 다이모르포스와 충돌하는 데 성공했다. 사진은 충돌하기 직전의 소행성 모습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날 우주선이 ‘운동 충격체’가 돼 시속 2만2000㎞(초속 6.1㎞)로 다이모르포스에 충돌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 커버스토리

    금리·환율 제시문이 수능 국어에 나온다면…두 지표와 경제상황 연결 짓는 문해력 필요

    미국 중앙은행(Fed)의 ‘3연속 자이언트 스텝’ 결행에 원·달러 환율이 심리적 저지선인 1400원은 물론이고 장중 1410원대까지 속절없이 무너졌다. 1400원대 진입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3년6개월 만의 일이다. ‘물가 상승률 2%’를 확신할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제롬 파월 Fed 의장의 한마디에 한국 금융시장이 다시 폭풍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모습이다. (중략) 원화 가치의...

  • 생글기자

    청소년이 참여해 정책 제안하는 '현답포럼'

    지난 9월 18일 서울 서대문구의 명지대 방목학술관에서 청소년 정책 현답포럼이 열렸다. 현답포럼은 2017년 제6차 청소년 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계기로 출범한 정책 포럼이다. 대학 청소년지도학과 재학생과 고교생이 주도하고 있다. 현답포럼이라는 이름은 청소년 정책에 관한 현명한 답을 찾아보자는 뜻을 담고 있다. 한국 사회는 저성장 저출산 고령화 등 경제·사회·인구 면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이런 변화는 미래 주역...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평균값정리…복잡한 식을 해결하는 만능도구

    평균값정리는 현재 시행되는 선택형 수능 수학의 공통 출제범위에 해당하는 수학Ⅱ 교과과정에서 배우는 기본 개념 중 하나다. 미분 가능한 함수의 주어진 구간 양 끝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와 같은 기울기를 갖는 접선이 구간 안에 반드시 존재한다는 내용의 정리로, 증명 과정도 교과서에 상세히 기술돼 있다. 평균값정리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이것을 도구로 활용,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형태의 식을 단순화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3일 (768)

    1. 세 차례 연속으로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한 미국 중앙은행(Fed)의 현재 기준금리는 연 몇%인가? ①1.00~1.25% ②2.00~2.25% ③3.00~3.25% ④4.00~4.25% 2. 현재 한국의 최고액권인 5만원 권 도안에 등장하는 인물은 누구일까? ①세종대왕 ②이순신 ③이황 ④신사임당 3. 경제 뉴스에 많이 나오는 3대 원유(原油) 중 하나다. 중동지역에서 생산돼 국내 에너지 가격에 많은 영향을 ...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종 모양의 정규분포, 정점(중간값)의 의미를 이해하자

    16. [A]를 적용하여 <보기>의 상황을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은? <보기> 두 정당의 정치인 갑과 을이 단일 사안에 대해 경쟁하는 다수결 원칙의 선거 상황에서 갑은 정치 성향이 중간인 M의 입장에서, 을은 R 성향인 B의 입장에서 정책을 제시하였다. 유권자는 자신의 정치 성향에 따라 단일한 정점 선호를 가지고 있으며 모두 투표에 참여한다. ① 정치 성향이 M의 왼쪽에 있는 L 성향의 유권자들은 모두 갑에게...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통신사 9차례 오간 200년간 일본은 강국으로 변신…막부, 해양력 강화…경제수도 오사카 인구 40만명

    조선은 1636년 일본 막부의 쇼군(장군)에게 ‘통신사(通信使)’란 정식 사절단을 파견했다. 이후 1811년까지 아홉 차례나 파견했다. 자신들을 ‘상국(上國)의 사신’ ‘대국(大國)의 사신’이라고 부르며 성리학적 지식을 뽐내던 조선 통신사들이 오간 200년간 일본은 강국으로 변신했다. 왜인이라고 경멸하며 눈길을 돌렸던 배타적인 통신사들도 놀라면서 이렇게 기록할 수밖에 없었다. 경...

  • 디지털 이코노미

    혁신은 사회적 이동성 높여 경제성장에 기여

    부모와 자녀의 소득은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 사실이라면 그만큼 사회 이동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다. 경제학자들은 한 국가 내에서 사회 이동 가능성이 확보될수록 그 나라의 소득 불평등 정도가 낮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사실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위대한 개츠비 곡선’이라고 한다. 혁신과 최상위의 불평등 사회적 이동 가능성과 소득 불평등의 관계는 최상위 1% 계층만을 대상으로도 살펴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보면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