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과 놀자

    시간·길이의 표준단위, 더 정확한 기준 위해 변화

    우리가 무언가를 비교하고 분석하려면 기준이 필요하다. 전 세계의 시간 기준을 통일하기 전에도 각 지역마다 시간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 소통했다. 시간은 자연에서 규칙성을 찾아 그것을 기준으로 정했다. 해와 별들의 움직임 같은 것 말이다. 매일 해가 뜨고 지는 지구의 자전 주기로 하루(날일, 日)를 만들고, 밤과 낮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태양을 중심으로 한 지구의 공전 주기를 기준으로 1년(해년, 年)을 나누고, 태양의 남중고도를 이용해 계절을 ...

  • 생글기자

    불가피한 동물 실험, '3R 원칙' 지키자

    지난해 국내에서 각종 동물 실험에 동원된 동물이 488만 마리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생쥐 등 설치류가 65%를 차지했고, 어류 조류 포유류 등이 실험에 동원됐다. 동물보호단체들은 동물 실험의 비윤리성을 지적한다. ‘랄프를 구해줘’라는 단편 영화가 있다. 화장품 실험을 받다 한쪽 눈의 시력과 한쪽 귀의 청력을 잃은 토끼의 모습이 충격을 줬다. 동물 실험은 생명을 해친다는 비윤리적 측면이 있지만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

  • 생글기자

    인어공주 예고편이 일으킨 '블랙 워싱' 논란

    월트디즈니가 공개한 ‘인어공주’ 실사판 예고편에서 주인공인 에리얼 역을 흑인 배우 핼리 베일리가 맡은 것을 두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영화는 1989년 개봉한 디즈니의 대표적 애니메이션을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내년 5월 개봉 예정이다. 논란은 지난해 디즈니가 베일리를 에리얼 역에 캐스팅했다는 소식이 나왔을 때부터 일었다. 일부 팬은 원래 백인이던 주인공 역을 흑인 배우가 맡은 것은 인어공주 원작을 파괴하는 억지라고 비...

  • 테샛 공부합시다

    메이드 인 아메리카 공세…한국에 미칠 영향은?

    테샛(TESAT)을 공부할 때 수험생이 가장 까다로워하는 영역이 시사 경제다. 시사 영역은 범위가 넓은 데다 이슈가 시시각각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험생은 생글생글 테샛면에 주기적으로 게재되는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를 활용해 공부하면 유익하다. ○풍선 효과(Balloon Effect) =풍선의 한 곳을 누르면 풍선의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불거져 나오는 것처럼 문제 하나가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나는...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영국 모방해 산업화…전쟁보상금 덕에 창업 열풍

    독일의 약진 원인으론 여러 가지가 꼽힌다. 첫 번째가 ‘후발자의 이점’이다. 일찍이 알렉산더 거셴크론이 독일과 러시아의 산업화 사례를 관찰한 뒤 설파한 것이 ‘후진성 가설’이다. 후진 사회들은 역설적으로 ‘대도약’이 가능했다는 것인데, 앞선 사회의 경험에서 배우거나 선발 사회가 개척한 기술과 지식을 공짜로 또는 값싸게 획득할 수 있어 빠르고 효율적인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었다는 논...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0월 10일 (769)

    1. 채권을 발행한 국가의 ‘부도 위험’이 높아질 때 함께 상승하는 수치는? ①CDS 프리미엄 ②GDP 디플레이터 ③이자보상배율 ④잠재성장률 2. 한계기업이란 ‘이것’이 1 미만인 상태가 3년 연속 지속되는 회사를 뜻한다. 이것에 들어갈 단어는? ①CDS 프리미엄 ②GDP 디플레이터 ③이자보상배율 ④잠재성장률 3. 모기업이 제품의 개발·생산·유통·판매&m...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772)

  • 숫자로 읽는 세상

    삼성전자, 초격차 기술로 TSMC에 '선전포고'

    삼성전자가 2027년 1.4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정을 도입한다. ‘초격차’ 기술로 고객사를 늘려 선두 주자인 TSMC를 따라잡는다는 전략이다.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은 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시그니아호텔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에서 “2025년 2㎚, 2027년에 1.4㎚ 공정을 도입하겠다”고 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