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정부는 어떻게 경기를 조절하나?
재정정책 통해 수요 늘리고 줄여 통화정책으로 시중자금 수위조정 경기는 항상 변동한다. 한때 호황을 보이다가 어느 순간 불황의 늪에 빠지면 공장들이 문을 닫고 실업자들이 거리를 헤매곤 한다. 1930년대의 대공황이나 미국발 부동산 거품 붕괴로 야기된 최근의 세계경제 위기가 대표적 사례다. 따라서 어느 나라든지 호황과 불황을 오가는 경기를 일정한 수준에서 안정시키는 것을 중요한 정책의 목표로 삼고 있다. ⊙ 경제안정화 정책의 목표 경제안...
-
경제 기타
간-오자와, 총리직 놓고 격돌··· 日 정치·경제 어떻게 바뀌나
재정 건전 '간' VS 경기부양 '오자와'···후텐마 등 외교현안에도 이견 보여 오는 14일 일본의 집권 여당인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간 나오토 총리(현재 당 대표)와 오자와 이치로 전 간사장이 격돌한다. 의원내각제인 일본에선 다수당 대표가 총리를 맡게 돼 있다. 때문에 오자와 전 간사장이 선거에서 승리하면 총리가 교체된다. 민주당 대표를 뽑는 것을 뛰어넘어 사실상 일본의 '차기 총리'를 선출한다는 점에서 이번 경선은 국내외에서 큰 관심...
-
과학 기타
우리나라 IT · 소재 기술로 만든 미래 첨단 소총 'K11'
세계 최초 이중총열구조··· 보병전투에서 최고의 개인 화기 부상 #2018년 육군 ○○부대 K11 사수 A상병은 중동 지역 평화유지군으로 파병돼 실전에 돌입했다. 통신이 가능하고 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는 헬멧을 착용한 A상병은 폭격으로 폐허가 된 시가지에 진입해 부서진 건물 잔해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갑자기 K11 의 야시장비에 희미한 열상이 잡히자 A상병은 돌무더기 뒤편에 있는 몇명의 사람들과 그들이 보유한 화기 형상을 확인...
-
이공계 유망학과 ⑪-항공·우주공학과
대한민국을 우주 기술 强國으로 이끌 젊은 역군 키운다 하늘을 새처럼 날고 싶은 욕망은 인간의 매우 오래된 꿈이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도 날개를 만들어 새처럼 날아올랐으나 태양의 열기로 날개를 접합한 부위의 촛농이 녹아 떨어져 죽었다는 이카루스의 신화가 나온다. 인류 역사상 가장 손꼽히는 천재로 통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비행기를 만들기 위해 온갖 설계도면을 그렸다. 하지만 직접 하늘을 날았다는 기록은 없다. 18세기 들어 비행기는 아니...
-
나의 대학전공 ⑪ 김영석 쎄트렉아이 제품보증 팀장-항공우주공학과
"항공·우주분야 전문가를 원하는 젊은이들이 꿈을 이루는 통로" 김영석 쎄트렉아이 제품보증 팀장은 학부와 대학원에서 항공우주학을 전공한 엔지니어다. 쎄트렉아이는 국내 기업에서 최초로 상업용 위성을 개발해 수출하는 우주개발 전문 벤처기업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위성 본체와 탑재체,지상체 등 인공위성 3대 핵심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현재 아시아는 물론 유럽에까지 수출 국가를 늘리고 있다. 김 팀장이 이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은 위성이 원하는 임...
-
TESAT 공부하기 기타
공공재는 언제나 무임승차 문제를 일으킨다
문제 1 다음은 신문기사 일부다. ㉠과 ㉡에 들어갈 단어가 순서대로 짝지어진 것은? 통신업계가'와이파이(Wi-Fi) ㉠론'으로 떠들썩하다. 와이파이는 이동통신망보다 속도가 빠르고 요금도 싼 무선 인터넷 서비스다. KT는 2000억원가량을 들여 전국에 1만3000여곳 이상의 와이파이망을 구축해 놓고 있다. 이용객들은 개인 비용으로 무선공유기를 구입해 와이파이망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SK텔레콤이 와이파이는 전파처럼 누구나 ...
-
경제 기타
(20) 독점적 경쟁시장의 가격 결정 원리
독점일까, 경쟁일까? 좌파와 우파가 있다면 좌파에 가깝지만 우파 성향이 다소 있는 중도좌파, 그 반대인 중도우파도 있다. 독점과 완전경쟁이 있다면 독점에 가깝지만 경쟁의 성격이 약간 있는 과점이 있고, 완전경쟁에 가깝지만 독점의 성향이 있는 독점적 경쟁이 있다. 독점적 경쟁시장은 '진입과 탈퇴'의 자유가 있다는 점에서 완전경쟁시장과 닮았다. 진입과 탈퇴의 자유는 제도적으로 진입을 막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초기 투자...
-
경제 기타
흡연인구 줄이기 위해 담뱃값 올려야 할까요
찬 " 담배 값 인상만큼 확실한 금연정책은 없다 " 반 " 서민부담 늘고 외국보다 담배값 싸지 않다 " 정부가 담뱃값 인상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찬반 논란이 일고 있다. 보건당국은 담뱃값을 8000원으로 올려야 선진국 수준인 30%대로 국내 흡연율이 떨어진다며 은근히 여론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가뜩이나 어려운 서민경제에 독이 될 것이라며 이에 반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금연정책의 평가와 향후 흡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