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이중총열구조··· 보병전투에서 최고의 개인 화기 부상

#2018년 육군 ○○부대 K11 사수 A상병은 중동 지역 평화유지군으로 파병돼 실전에 돌입했다.
[Science] 우리나라 IT · 소재 기술로 만든 미래 첨단 소총 'K11'
통신이 가능하고 전장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볼 수 있는 헬멧을 착용한 A상병은 폭격으로 폐허가 된 시가지에 진입해 부서진 건물 잔해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갑자기 K11 의 야시장비에 희미한 열상이 잡히자 A상병은 돌무더기 뒤편에 있는 몇명의 사람들과 그들이 보유한 화기 형상을 확인한다.

A상병은 이를 즉시 분대장에게 알리고 지휘소와 교신한 후 전투 준비에 들어간다. 교전허가가 떨어지자 A상병은 같은 K11 사수인 B상병과 함께 공중폭발 모드로 동시사격을 실시하고 분대원들과 집중사격을 퍼부어 적을 초토화하고 부대로 복귀한다.



미래 보병전투에서 최고의 개인화기로 부상하고 있는 K11 복합형소총이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최근 전력화됐다.

K11은 구경 5.56㎜ 기존 소총과 구경 20㎜ 공중폭발탄 발사기 두 가지 총열을 하나의 방아쇠로 선택 · 운용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이중총열구조 소총이다. 국방과학연구소를 통해 K-11 복합소총을 알아보자.

⊙'무적' K11 소총

K11은 국내 IT 기술 및 소재 기술의 역량을 총 동원하며 8년에 걸친 연구 · 개발(R&D)의 결과로 탄생했다. IT 기술을 통한 전체 시스템 설계, 전자보드 및 광학계 설계, 효과적 소프트웨어(SW)프로그래밍 기술이 기반이 됐다. 특히 저전력 회로설계, 소형화된 고신뢰성 전자보드, 소형 광학설계기술, 비접촉 에너지 및 신호 전송기술이 집약된 사격통제시스템과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기술이 융합된 20㎜탄의 신관 설계 기술 등은 독보적이다.

이 때문에 미국보다 더 싸고 소형화된 복합형 소총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게 국방과학연구소의 설명이다.

K11에 장착된 사격통제장치(조준경)는 열상 검출기에 의해 야간에 표적 인원에 대한 탐지를 할 수 있다. 또 레이저 거리 측정과 탄도 계산을 통해 조준점을 자동으로 유도해주기 때문에 주야간이나 눈 비 바람이 부는 환경에서도 적을 탐지해 사격이 가능하다.

또 20㎜탄의 경우 충격에 의한 폭발,강화유리창이 있는 건물 내부로 탄이 유리창을 뚫고 들어가서 터지는 충격 후 지연폭발,숨어있는 적의 상공에서 탄을 정확히 폭발시켜 파편으로 적을 제압함으로써 밀집병력이나 은폐 · 엄폐된 표적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공중폭발 모드가 동일한 하나의 탄종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명실공히 보병의 전투능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다.

⊙ 개발자가 직접 표적이 되기도

그런데 생글 독자들은 이런 의문이 들 것이다. '우리나라보다 군사무기의 모든 분야에 있어 압도적인 미국은 왜 개발을 못했을까'라는 상식적인 의문이다.

사실 미국은 무기체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번쯤 들어봤을 XM29 라는 소총을 우리보다 앞서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개인 화기로 쓰기에는 너무 고사양의 목표를 갖고 개발을 하면서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개발 과정 중 목표 성능에 따른 중량,가격,탄위력 등 많은 부분에서 기술적 목표 성능 달성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인이 갖고 다니기 힘들 정도의 중량과 큰 사이즈,그리고 K11의 배가 넘는 가격으로 인해 개발에 실패하면서 이중총열 화기 개발을 중단했다고 한다. 미국은 그러나 최근 우리의 K11 복합형소총 개발에 자극을 받아 25㎜급 공중폭발탄만을 운용하는 단일총열 소총인 XM25를 연구 · 개발 중이다.

K11의 성능을 구현하기까지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국과연은 탄도를 계산하고 수 밀리초 안에 탄에 비행정보를 넣어 정밀하게 적의 상공에서 폭발하게 하는 무기체계는 유도무기나 가능한 일로 생각했다.

전차나 장갑차 야포 등에서 적용되고 있는 거리측정,주야탐지,탄도계산 기능을 소형화 · 경량화가 생명인 소총에 구현하는 일은 모험이자 도전의 연속이었다.

그러나 각 분야 개발자들이 모여 밤을 새워 매달리며 한해 한해가 지나면서 초소형 회전 수 측정센서,울트라 커패시터를 응용한 저전력 사격통제장치 회로,경량 고강도 총열 및 총몸,복합구조형 탄체 등 개발이 차근차근 진행됐다. 개발 과정에서 주야간 인원탐지가 몇백 m까지 가능한지 테스트하기 위해 개발자가 직접 총구 앞에서 표적이 돼 서 보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또 총기의 저온 운용테스트를 위해 50도 이하의 저온챔버 내로 개발자가 들어가 여러 운용성을 테스트하기도 했다.

⊙ 분대전투력 크게 향상…수십년간 외화벌이 기대

새로운 개념의 소총체계를 국내가 독자 개발함에 따라 우리 군의 전력향상을 물론 적잖은 경제적 효과가 기대된다. 소총 분야에서는 세계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정밀 공중폭발탄의 개념은 차기 중기관총 연구 등 여러가지 파급효과가 예상된다.

또 정밀 공중폭발 기술은 해외수출을 통해 국가 경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국방 분야에 다소 폐쇄적인 나라도 전체 방위 시스템의 근간을 흔들지 않는 소총과 같은 경우 훨씬 수출 협상이 쉽다. 또 점차 늘어가는 국지전,시가전, 대테러전 환경하에서 다양한 전술구사를 가능하게 하는 첨단병기인 K11은 효용가치가 매우 크다.

미국은 K11이 개발되자 국방부 해외장비구매단을 국방과학연구소에 파견해 제품을 직접 확인했다. 국내 정세가 불안한 아프리카,중남미,오세아니아를 비롯해 동남아시아 일부 국가에서도 K11의 전술적 효용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공식 혹은 비공식적으로 K11 구매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 국내 원전기술 수출로 쾌거를 이룬 UAE의 경우 고위층이 K11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어 중동지역 수출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또 단순히 소총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탄약 공급권까지 얻을 수 있어 한번 수출이 될 경우 수십년간 지속적인 외화 획득이 가능할 것으로 국방과학연구소는 보고 있다.

최의중 국방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현재 야전에서 사용하는 40㎜ 기존 유탄은 사거리가 짧고 지면에서 폭파돼 엄폐 및 은폐 표적에 대해 효과가 극히 저조했다"며 "K11의 폭발탄은 정밀도와 표적에 대한 살상력을 수배 이상 증대시킬 수 있어 분대전투력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성 한국경제신문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