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제5회 경제퀴즈 배틀 28일개막…"테샛 열공해서 퀴즈 王 도전해볼까"

    고교생 및 대학생 경제 퀴즈왕을 가리는 '제5회 경제퀴즈 배틀'이 오는 28일부터 시작된다. 한국경제신문과 한경닷컴이 주최하고 지식경제부,중소기업청이 후원하는 '제5회 경제퀴즈 배틀'은 고등부와 대학부로 나뉘어 경제 지식을 겨뤄 최종 입상자를 선발하는 대회다. 이 대회는 온 · 오프라인 예선을 통과한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종 결선(본선)을 치르며 마지막까지 살아남은 자가 퀴즈왕을 차지하는 서바이벌 방식의 '경제퀴즈 골든벨' 프로그램으로 ...

  • TESAT 공부하기 기타

    기펜재·대체재·공공재의 개념을 이해하는가?

    문제 1 다음 자료를 읽고 해석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등유는 98%,도시가스는 43%나 가격이 올랐지만 전기요금은 12% 상승에 그쳤다. 이는 소비 패턴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이 기간 등유 소비가 67% 줄어든 반면 전기 소비는 42% 증가한 것이다. 국내 전기요금은 생산원가의 평균 93.7%에 불과하다. 특히 농업용은 36.5%,심야 전력은 73.9%에 그친다. 전체 전력 사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

  • 올해大入, 논술이 축소된다고?… 엇! '속'을 들여다 보니 그게 아닌데…

    반영비율 줄어도 논술의 실질 영향력은 더 커질듯 미등록 충원기간 설정으로 실질모집 인원 변함없어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지난 15일 '대입전형 간소화'와 '논술전형 모집인원 및 반영비율 축소'를 골자로 한 올해 대학 입시 주요 수정 사항을 발표했다. 겉으로 드러난 발표 내용만으로는 많은 변화가 있는 것 같지만 실질적으로 지난해와 큰 차이점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수도권 대학들 복잡한 전형 약 35% 축소 우선 '대입전형 간소화'는 동...

  • 경제 기타

    이익공유제 옳은가요.

    찬 “대기업이 마음만 먹으면 협력업체와 성과 나눌 수 있어” 반 “기업내 노사 성과배분개념을 기업간에 적용해선 안돼” 이익공유제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익공유제란 대기업이 초과 이익을 냈을 경우 그 이익을 협력 중소기업과 나누자는 것이다. 정운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이 처음으로 아이디어를 낸 개념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동반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정 위원장의 주장이다. 정 위원장은 "우리나라에서 지역과...

  • 학습 길잡이 기타

    2011 서울대 정시모집 논술고사 문제풀이 (下)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 ⊙ 설명하고, 견주고, 비판하고, 종합하는 사고 과정 보여줘야 서울대 정시논술고사 문항3의 주제는 예술이다. '좋은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단순한 논제다. 제시문은 모두 우리 고전인데, 하나는 학생들에게 익숙한 김만중의 <구운몽>이고, 다른 하나는 유득공의 평전인 <유우춘전>이다. 조건은 "제시문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음악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포함시킬 것"이다. 논제의 분량은 1600±1...

  • 학습 길잡이 기타

    (52) “결론에 부합하는 제시문 요약을 시도할 것”

    ⊙ 공통점 찾기문제의 풀이 문제는 283호에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대답을 드리다 보니 어느새 연재가 많이 지나갔군요. 이번 호부터 좀 더 속도를 올려서 공통점 찾기 유형부터 해결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호에 (가)와 (나)를 관통하는 하나의 단어로 통념(通念)이 있다고 말씀드렸지요. 물론 이 단어가 생각나지 않더라도 상관은 없습니다. 상식이라든지, '널리 알려져 있는 지식' 정도만 하셔도 훌륭합니다. 대신 이제 술어를 정해야겠...

  • 학습 길잡이 기타

    "김종필씨" 에 담긴 우리말 사연

    "현 정권의 개혁 대상이 돼야 마땅할 김종필 씨가 개혁 선봉에 서야 할 국무총리가 돼 있는 현실에서 어떻게 개혁을 운운할 수 있느냐." "어떻게 정부의 국무총리를 '씨'라고 부를 수 있느냐. 용어 선택에 주의해 달라." 1998년 8월26일 국정의 시시비비를 따져야 할 국회 본회의장에서 난데없이 호칭 문제로 여야 의원 간 공방이 이어졌다. 당시는 호남지역을 정치 기반으로 하는 국민회의와 충청권에 기반을 둔 자민련이 연합해 15대 대통령 선...

  • 학습 길잡이 기타

    168. 띄어쓰기 : '관형사+명사' 꼴

    '온종일' 과 '온 세상'의 차이 가)그는 엄동설한 속에서 온종일을 밖으로 쏘다녔다. 나)할머니는 친손자가 태어나자 온 세상을 얻은 듯 기뻐하셨다. 두 문장에 보이는 '온종일'과 '온 세상'은 모두 '관형사+명사'의 구조로 이뤄진 말이다. 하지만 띄어쓰기는 서로 달리 하고 있다. 그 차이는 '온종일'은 단어이고 '온 세상'은 단어가 아니라 구이기 때문이다. '온'은 관형사로서 '전부의' '모두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온 집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