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23> 어문 규정 (문장부호)

    이번 시간에는 문장부호에 대해 배워 보자. 문장부호는 일반적으로 출제되는 문제 유형은 아니지만, 한 번 꼼꼼하게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바른 국어 생활을 위해서라도 이번 기회에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적은 노력을 투자하고도 확실하게 점수를 획득할 수 있는 유형은 드물다. 문장부호는 그 귀중한 유형들 중 하나다. 지면관계상 모든 용법을 다 싣지 않고,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잘못 사용하기 쉬운 것들만 싣도록 하겠...

  • 경제 기타

    경제와 민주화는 어울리지 않는다 등

    경제와 민주화는 어울리지 않는다 경제민주화, 최근 들어 하루도 빠짐없이 신문 지면에 오르내리는 말이지만 동시에 너무나 혼란스러운 '정치 구호'이다.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듯이 이 말은 지난해 대통령 선거 때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정치권이 만든 말이었다. 그렇게 이 말은 애당초 정치 구호로 나올 때부터 문제를 안고 있었다. 경제민주화란 말은 겉만 보면 경제와 민주화를 합친 것인데, 참으로 어울리지 않는 두 단어의 조합이다. 경제란 기...

  • 경제 기타

    초과이익공유제는 비현실적이다 등

    초과이익공유제는 비현실적이다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초과이익공유제'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뜨거운 이슈가 되었다. 초과이익공유제는 대기업이 해마다 설정한 목표 이익치를 초과하는 이익이 발생했을 때 협력 중소기업에 초과이윤의 일부를 나누어 주는 제도이다. 현재 기업에서 목표를 초과 달성하면 주주에게 배당금을 늘리고 임직원에게 상여금을 주는 등 여러 가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데, 이를 중소기업에도 확대하자는 정책이다. 먼저 대기업과 중소기업...

  • 생글 논술경시대회 수상을 축하 드립니다^^

    제15회 생글논술경시대회를 주최한 한경에듀는 이번 대회에 참가한 6000여명의 고교생 중 글쓰기 능력이 우수한 수상자를 확정해 발표했다. 수상자는 출제위원 6명 전원이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가운데 1~3차 심사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 부문별 대상과 최우수상 수상작은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실력이 뛰어났다. 시상식은 오는 26일 오후 2시 한국경제신문사 3층에서 열릴 예정이다. 제15회 생글논술대회 부문별 수상자 명단 (가나다순) [개인 ...

  • 경제·금융 상식 퀴즈

    6월 17일자

    1. 근로자를 고용한 사용자가 받는 노동 관련 규제 정도를 노동시장의 OOO이라고 표현한다. 근로계약, 근로시간, 임금 등에서 규제를 덜 받으면 '노동 OOO이 높다'고 한다. 무엇일까? ①개방성 ②신축성 ③유연성 ④확실성 2.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을 말한다. 기업 영업활동에 따른 현금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증시에서 회사의 수익성을 뜻하는 중요 지표로 활용하는 이것은? ①PER ②EBITDA ③ROA ④PBR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270)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www.sgsgi.com)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269회 스도쿠여행 정답: ⓐ-2 ⓑ-8 ⓒ-3 ⓓ-9 ⓔ-1 ⓕ-5 ⓖ-1 ⓗ-4 ⓘ-6 ★ 268회 당첨자: 정진극 이미주 임경수

  • 학습 길잡이 기타

    (3) 아는 것을 안다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라 - 논어

    ▶ 공자가 모르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우기는 제자 자로를 깨우치기 위해 했던 말이에요. 자신의 무지와 부족한 실력을 인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누구나 인정과 부정 사이에서 고민을 하죠. 흔히 인정은 겸손한 자세로 배움의 출발선에 서게 하고, 부정은 핑계를 대고 상대를 깎아내리게 한다고 해요. 이 두 삶의 태도는 처음에는 별반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 실력 차이가 극명하게 벌어져요. 고수(高手)란 단어는 자...

  • 커버스토리

    '국가의 뿌리' 역사교육이 흔들린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조선상고사'에서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이렇게 강조했다. 명저 '역사란 무엇인가'를 쓴 카(E.H. Carr)는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라고 정의했다. 제대로 된 역사를 배우고 익히지 않으면 개인이든 국가든 발전할 수 없고, 국가정체성 또한 바르게 세울 수 없다는 꾸짖음이다. 대한민국 역사 교육의 현실은 어떨까. 형식과 내용면에서 모두 엉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