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D-24, 정시 집중과 마음의 여유가 중요
수능일이 다가올수록 마음이 싱숭생숭해져 공부가 잘 안 되는 수험생이 많을 겁니다. 저는 정시에 집중했는데도 10월 모의고사가 끝난 뒤부터 공부가 손에 잡히지 않아 힘들었습니다. 정신적으로 많이 흔들렸던 거죠. 하지만 저의 이런 경험을 토대로 조언해보자면 ‘흔들릴 때 흔들리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집중이 안 되는 상황에서 잡생각이 가득한 채로 공부하는 것은 정말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차라리 밖에 나가 산책을 하거나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며 머리를 맑게 하는 게 낫습니다. 수험 생활 내내 저는 졸음을 참기보다 10분 정도 쪽잠을 청했고, 몸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할 것 같으면 바로 학교 보건실로 달려가 쉬었습니다. 효율적인 공부를 위해서는 억지로 버티고 자책하기보다 조금은 쉬어 가는 편이 좋습니다. 저는 이런 약간의 휴식을 통해 적절하게 컨디션을 조절하고 정신력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수능 한 달 전에 ‘수능 30일 벼락치기’를 검색하기도 했고, 재수학원도 알아볼 정도로 마음이 심란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저를 크게 자책하지는 않았습니다. 때로는 흔들리는 것을 인정하고, 그 이후를 생각하는 편이 낫습니다. 불안한 마음을 빠르게 안정시키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야 더 성장할 수 있습니다. ‘나는 왜 수능이 다가올수록 더 처지지?’라고 자책하는 데서 벗어나 ‘내가 지금 마음이 심란하구나. 어떤 부분에서 불안한 거지?’라며 자신을 위안하고 재점검하는 걸 추천합니다. 같은 맥락에서 수험 기간에는 너무 깊은 생각을 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싶습니다. 바람에 갈대가 흔들리는 것처럼 그냥 앞에 놓인 일, 즉 현재만 생각하면서 정시 공부를 하는 것이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미분가능하면 연속'의 잘못된 이해
예시 논제 1번처럼 미분 가능성을 묻는 문제에서 상당수 학생이 연속성을 조사하는 과정을 먼저 기술하고, 이어서 미분 가능성을 조사하는 순서로 답안을 작성한다. 이는 ‘A이면 B이다’를 ‘A가 되려면 먼저 B가 되어야 한다’로 잘못 이해한 경우인데, 논리 관계로 보면 B가 필요조건이므로 B가 되더라도 A와는 관계가 없다. 즉, 연속이지만 미분 가능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미분 가능성을 묻는 논제에서 연속성을 조사하는 과정은 채점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시 논제 1번의 경우 미분계수를 바로 조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포인트미분가능하면 연속이다. (0) ∴ 미분가능하려면 먼저 연속이 되어야 한다. (0) ∴ 연속을 먼저 조사한다. (×) (연속이지만 미분가능하지 않을 수 있음) ⇒ 미분계수를 바로 조사한다. (0) A이면 B이다.(0) ⇒ B는 필요조건 즉, B이지만 A가 아닌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영어 이야기
on the market과 in the market의 차이는?
South Korea’s 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 Co. is seeking to sell off HI Investment & Securities Co. headquarters, sources familiar with the matter said on Thursday. The property, located in Seoul’s financial hub, the Yeouido district, has 19 stories above ground and seven underground with 49,826 square meters of gross floor area. Market insiders speculate the selling price will be in the early 400 billion won range, given the current high interest rate. Mirae Asset bought the office building at 240 billion won in 2011, via Mirae Asset Maps Frontier Private Real Estate Trust No. 29, which manages capital from Korean institutional investors including National Pension Service (NPS). The property’s name was Hana Securities Building at the time. The office was renamed as HI Investment & Securities Building in late 2021. More landmarks buildings in Yeouido are on the market. 미래에셋자산운용이 하이투자증권 본사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고 이 문제에 정통한 소식통이 목요일 밝혔다. 서울의 금융 중심지인 여의도에 위치한 이 건물은 연면적 49,826㎡, 지상 19층, 지하 7층 규모다. 시장에서는 현재 높은 금리를 감안할 때 매각 가격이 4000억 원대 초반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래에셋은 국민연금 등 국내 기관투자자들의 자본을 관리하는 미래에셋맵스프런티어사모부동산신탁 29호를 통해 2011년 2400억 원에 하이투자증권 사옥을 매입했다. 당시 해당 건물의 이름은 하나증권빌딩이었다. 2021년 말 하이투자증권빌딩으로 사옥 명칭이 변경됐다. 이 밖에도 여의도의 더 많은 랜드마크 빌딩들이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다. 해설하이투자증권 본사 사옥을 비롯해 서울 여의도에 있는 여러 건물들이 매물로 나와 있다는 기사의 일부입니다. 예문 아랫부분에 ‘매물로 나온’의 뜻을 지닌 ‘on the market’이라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 좀먹는 군더더기 '~바 있다'
1926년, 일제의 억압에 신음하던 우리 민족은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를 중심으로 ‘가갸날’(한글날의 초기 명칭)을 제정했다. 우리말을 지켜내고 민족정신을 기르기 위해서였다. “우리 조선 문자는 세종대왕 훈민정음 서(序)에도 있는 바와 같이 ‘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사인인이습 편어일용이: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마다 쓰는 데 편하게 할 따름이니라)’라는 한 구절이 우리가 자부하는 바와 같이 명실이 상부하게 세계 문자 중 탁월한 바이 있다.” 조선일보는 이듬해 두 번째 가갸날을 맞아 10월 25일 자에 ‘가갸날을 기념하여’란 제목의 기획 기사를 실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예문에 잇따라 세 번 나오는 ‘~ㄴ 바’의 쓰임새다. 이 말은 우리말에서 어떻게 군더더기 신세가 됐을까. 문장 늘어지고 글 흐름 어색해져‘~ㄴ 바’는 순우리말이다. 예문에서도 확인되듯이 예전엔 지금보다 훨씬 자주 쓰였다. 특히 20세기 초 우리말 문장이 아직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던 때, 예사롭게 쓰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요즘은 그리 활발한 쓰임새를 보이는 것 같지 않다. 아마도 일상의 말이 아닌, 입말보다 글말에서 주로 쓰이기 때문일 것이다. 그나마 비슷하게 쓰이는 ‘것’에 밀려 글말에서도 세력이 많이 약해졌다. 그런 만큼 역설적으로 이 말의 남용은 글의 흐름을 더 어색하게 만든다. ‘~ㄴ 바’는 앞에서 말한 내용 자체나 일 따위를 나타내는 말이다. “각자 맡은 바 책임을 다해라.” “나라의 발전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 “내가 알던 바와는 다르다.” 이런 쓰임새는 비교적 자연스럽다. 다음 문장에선 좀 다르다. “그는 세계대회에 여러 차례 출전한 바 있다.” “000 정부
-
대학 생글이 통신
'완벽히 아는 것' '잘 모르는 것' 구분해보자
자기주도학습에 관심을 가진 학생들은 ‘메타인지 학습법’에 대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겁니다. 메타인지란 자신의 인지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 즉 내가 알고 있는 것과 알지 못하는 것을 구분해내는 능력을 뜻합니다. 이런 능력을 학습에 적용할 때 효율성이 비약적으로 상승할 수 있기에 이를 이용한 공부 방법을 많은 학생이 익히고자 합니다. 저는 메타인지 학습법을 문제 풀이를 통해 체득했습니다. 수험 생활 중 제가 헷갈려하거나 어려워했던 선지들은 ‘나의 약점을 파악할 수 있는 보물’이었습니다. 저의 경우, 항상 문제 풀이를 할 때 실수를 줄이기 위해 선지의 오답 여부를 판단해 표시했고, 애매하거나 어려운 선지는 저만의 표식으로 구분해 분류했습니다. 일차적인 풀이가 끝난 후 채점만 간단하게 하고 나서 해설을 보지 않고 스스로 선지의 답이 도출되는 과정을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과정에서 관련 개념과 이론, 인물을 떠올렸을 때 바로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잘 알고 있는 것은 내가 완벽하게 알고 있는 것, 설명하기 어렵거나 확신이 안 서는 것은 내가 잘 모르는 것으로 구분했습니다. 저는 몰랐던 개념이나 이론은 꼼꼼하게 복습을 한 후, 문제를 처음 본다고 생각하며 전체 선지의 오답 여부를 다시 판단해 답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공부했습니다. 처음에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고 시간 대비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 같아 불안했죠. 그런데 매일 꾸준하게 이런 식으로 공부하며 자신의 학습법에 대한 확신이 들도록 노력했고, 결국 성과를 거뒀습니다. 이제 대부분의 학교는 중간고사를 마쳤을 겁니다. 시험 뒤 메타인지 학습법의 관점에서 돌아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문장 의미를 파악하고, 상위 개념 생각하는 훈련을
조선 왕조의 기본 법전인 에 규정된 신분제는 신분을 양인과 천인으로 나눈 양천제이다. 양인은 … 납세와 군역 등의 의무를 져야 했다. … 양반이 16세기 이후 … 양인은 사회적으로 양반, 중인, 상민으로 분화되었다. 이러한 법적, 사회적 신분제는 갑오개혁으로 철폐되기 이전까지 조선 사회의 근간이 되었다. (중략) 영조 연간에 편찬된 법전인 에서는 노비가 속량할 수 있는 값을 100냥으로 정하는 규정을 둠으로써 속량을 제도화했다. 이는 국가의 재정 운영상 노비제의 유지보다 그들을 양인 납세자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했기 때문이었다. 몰락한 양반들은 노비의 유지가 어려워졌기 때문에 몸값을 받고 속량해 주는 길을 선택했다. (중략) 유학은 군역 면제라는 특권이 있어서 상민층이 원하는 직역이었다. 유학 직역의 획득은 제도적으로 양반이 되는 것을 의미하였으나 … 곧 온전한 양반으로 인정받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중략)조선 후기에는 … 양반의 하한선과 비(非)양반층의 상한선이 근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양반들이 비양반층의 진입을 막는 힘은 여전히 작동하고 있었지만, 비양반층이 양반에 접근하고자 하는 힘은 더 강하게 작동했다. 유학의 증가는 이러한 현상의 단면을 보여 준다. 12. 보기를 읽고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의 규정을 적용받아 속량된 사람들은 납세의 의무를 지게 되었다. ② 반포 이후 갑오개혁까지 조선의 법적 신분제에는 두 개의 신분이 존재했다. ③ 조선 후기 양반 중에는 노비를 양인 신분으로 풀어 주고 금전적 이익을 얻은 이들이 있었다. ④ 조선 후기 ‘유학’의 증가 현상은 의 신분 체계가 작동하지 않는 현상을 보여 주는 것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功虧一簣(공휴일궤)
▶ 한자풀이 功: 공 공 虧: 이지러질 휴 一: 한 일 簣: 삼태기 궤 쌓는 공이 한 삼태기로 이지러지다 거의 성취한 일을 중지해 모든 게 헛됨 - 세상사 시작만큼이나 끝이 중요하다. 곧은 뜻도 끝에서 휘고, 태산만 한 꿈도 끝에서 밤톨만 해지는 일이 허다하다. 십 리 길도 한 걸음이 모자라면 닿지 못하고, 아홉 길 산도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면 완성되지 못한다. 마지막 1% 부족으로 99%가 무용지물이 되는 사례도 수두룩하다. ‘아홉 길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공이 한꺼번에 무너진다(九功虧一).’ 여포 편에 나오는 말로, 공휴일궤(功虧一)는 쌓는 공이 흙 한 삼태기 부족으로 이지러진다는 뜻이다. 거의 성취한 일을 중지해 기존의 공이 허사가 됨을 이르는 말이다. 주(周)나라 무왕이 은(殷)나라 주왕을 무찌르고 새 왕조를 열자, 여(旅)라는 오랑캐 나라에서 ‘오(獒)’라는 진기한 개를 선물로 보냈다. 오는 키가 넉 자나 되는 큰 개로 사람의 말을 잘 알아들어 무왕이 소중히 여기자 동생인 소공 석(奭)이 왕이 혹여 개에 마음이 끌려 정치를 등한시하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에서 이를 일깨워 말했다. “임금 된 사람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잠시라도 게으름을 피우면 안 된다.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방심하면 마침내 큰 덕을 해치게 된다. 예를 들어 흙을 가져다가 산을 만드는데, 이제 조금만 더 쌓으면 아홉 길 높이에 이르게 되었을 때, 이제는 다 되었다 하고 한 삼태기의 흙을 쌓는 데 게을리하게 되면 지금까지 해온 일이 모두 허사가 된다.” ‘아홉 길 산을 쌓는데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 공이 한꺼번에 무너진다’는 공휴일궤는 여기에서 나온 말이다. 조금만 마무리를 잘 하면 목
-
대입전략
수능 100% 선발 360명·수능+면접은 1359명…국어·수학·영어·탐구 25%씩 반영 대학 많아
초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대 및 일반 4년제 대학 초등교육과를 졸업한 후 교육청별로 실시하는 임용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교대 및 초등교육과 합격이 초등 교사가 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교대 및 초등교육과는 전통적으로 인문계 학과 중 상위권 학과로 분류되는 곳이다. 교대는 전국에 10개 대학이, 일반 4년제 대학 초등교육과는 3곳이 있다. 전국 교대 및 초등교육과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해보고, 올해 정시 선발방법을 살펴본다. 국수영탐 고른 학습이 중요, 8곳은 면접도 교대 및 초등교육과 정시 선발은 ‘수능 100’ 선발과 ‘수능+면접’ 방식 등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수능 100%로 선발하는 대학은 정원 내 일반전형 기준으로 춘천교대(150명), 광주교대(108명), 한국교원대(45명), 제주대(41명), 이화여대(16명) 등 5개 대학 360명 규모다. 나머지 8곳에서는 ‘수능+면접’ 방식으로 1359명을 선발한다. 경인교대의 선발 인원이 235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교대 202명, 전주교대 181명, 대구교대 170명 순이다. 대학별로 면접을 최소 9.1%에서 30%까지 반영한다. 각 대학 면접 출제경향은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는 기출문제 또는 선행학습 영향 평가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면접은 인성, 적성, 가치관, 의사소통 능력, 문제해결 능력 등 교사로서 필요한 기본 자질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능 학습에 집중하면서 기출문제로 대비하기를 권한다. 수능 영역별 반영 방법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를 균등하게 각각 25%씩 반영하는 대학이 많다. 경인교대, 진주교대, 공주교대, 광주교대, 부산교대, 전주교대, 청주교대 등 7개 대학이 해당한다. 이화여대 초등교육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