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지나친 생략'의 함정을 조심하라

    ‘순살 아파트’가 한여름 폭염 못지않게 우리 일상을 강타했다. 이름도 생소한 ‘무량판’ 구조 아파트가 문제가 됐다. 무량판(無梁板)은 ‘없을 무(無), 대들보 량(梁)’, 즉 대들보 없이 기둥으로 하중을 견디는 건축물 구조 형식을 말한다. 그런데 그 기둥 안에 보강 철근을 빼먹은 게 확인되면서 입주민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다행히 정부는 발 빠르게 대처했다. 찜통더위에 지쳐 있던 지난 8월 1일 발표한 대책을 언론들이 일제히 전했다. “우선 정부는 전국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를 전수조사해 그 결과를 최대한 빨리 발표할 계획이다.” 생략이 많으면 독자는 궁금해져그런데 일부 언론에서 쓴 이런 표현은 어딘지 이상하다. 그냥 흘려 버리기에는 걸리는 데가 있다. ‘전국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가 말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전국에 민간 아파트가 그것밖에 되지 않을 리가 없으므로 이는 틀린 표현이다. 정확하게 쓰면 ‘2017년 이후 무량판 구조로 지었거나 짓고 있는 전국 민간 아파트 293개 단지’이다. 이를 거두절미하고 ‘민간 아파트 293개’로 표현한 것은 ‘지나친 생략의 함정’에 빠진 결과다. 글쓰기에서 이런 오류는 종종 발생한다. 필자는 내용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에 자칫 자신의 표현이 불충분한지 알지 못한다. 하지만 독자는 드러난 표현만 가지고는 금세 의미를 알아채지 못할 수 있다. 독자 눈높이에 맞는 글을 쓰려면 그런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다음 글도 얼핏 보면 이상 없는 것 같지만, 잘 들여다보면 오류를 안고 있는 게 보인다. “에너지 절약 운동을 활발히 해 온 000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산업포장을 수상했다. 그는 서울시 등 10개 지방자치단체의 조

  • 대입전략

    서울 지역 대학 학생부교과 합격선 '상승'…인문 1.41~4.80, 자연 1.34~4.17 등급

    최근 2개년 통합수능 체제에서 수시 내신 합격선은 상승 추세를 보인다. 올해는 자기소개서가 폐지되고 교내수상 등 비교과 영역이 축소되면서 내신의 영향력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종로학원이 2022~2023학년도 통합수능 2개년 전국 대학의 수시 내신 합격선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부교과 전형은 서울권, 수도권, 지방권 모두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열 학생부교과전형의 서울권 평균 내신 합격선(70% 컷)은 2022학년도 2.45등급에서 2023학년도 2.34등급으로 0.11등급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3.79등급에서 3.66등급으로, 지방권은 4.74등급에서 4.66등급으로 올랐다. 자연계열도 비슷하다. 서울권은 2.22등급에서 2.15등급으로, 수도권은 3.49등급에서 3.45등급으로, 지방권은 4.55등급에서 4.47등급으로 일제히 상승했다. 학생부종합전형은 서울권에서 상승이 도드라졌다. 인문계열은 평균 3.11등급에서 3.00등급으로, 자연 계열은 2.76등급에서 2.64등급으로 합격선이 올랐다. 반면, 수도권과 지방권에선 소폭 하락했다. 내신 합격선의 전반적인 상승 추세는 수시에서 비교과 영역의 축소와 재수생 강세가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상승 추세는 올해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올해부터 수시모집에서 자기소개서가 폐지됐고, 교내 수상, 개인 봉사 활동, 독서 등 비교과 영역이 또 대폭 축소됐다. 내신과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세특)의 기록 사항이 끼치는 영향력은 더 커질 것이다. 올해 본 수능 재수생 비중은 지난해 31.1%를 넘어서 최대 34%대까지 추정된다. 1996학년도 37.3% 이래 2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학생부교과전형, 비교과 변수 가장 적은 유형 학생부교과전형은

  • 영어 이야기

    어떤 일에 제동을 걸 땐 'slam the brakes on'

    South Korea’s Hyundai Motor Co. and Kia Corp. are planning to join BMW, General Motors, Honda Motor, Mercedes-Benz and Stellantis to collectively invest at least $1 billion and build thousand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in the US,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on Wednesday. The move is seen as an effort to ease a shortage of EV charging spots and slam the brakes on Tesla Inc.’s growing dominance in the EV market, driven by its supercharger network, accounting for 60% of the EV charger market in the US. In the absence of a standardized EV charging system, Tesla’s charging network is the industry’s largest and a main pull to EV buyers. The seven-member group is aiming to install around 30,000 fast chargers in urban and highway areas, more than Tesla’s fast charging stations of around 18,000. 현대자동차와 기아차는 BMW, 제너럴모터스, 혼다,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와 함께 공동으로 최소 10억 달러를 투자해 미국에 수천 대의 전기 자동차 충전기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이 수요일 보도했다. 이런 움직임은 전기차 충전소 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초고속 충전기 시설을 중심으로 미국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60%를 점유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키우고 있는 테슬라에 제동을 걸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표준화된 전기차 충전 시스템이 없는 상황에서 테슬라의 충전 네트워크는 업계 최대이며, 전기차 구매자를 끌어들이는 주요 요소다. 7개 회사로 구성된 합작회사는 도시와 고속도로 지역에 3만여 대의 초고속 충전기를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테슬라의 급속 충전소인 1만 8000여 대보다 많다. 해설세계 주요 자동차 회사들은 친환경 차로 각광받고 있는 전기차 생산을 늘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기차 판매는 아직 급속히 늘고 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충전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堀墓鞭屍 (굴묘편시)

    ▶ 한자풀이 堀: 굴 굴 墓: 무덤 묘 鞭: 채찍 편 屍: 주검 시 묘를 파헤쳐 시체에 매질하다 통쾌한 복수나 지나친 행동을 이름 - 오자서(伍子胥)는 춘추시대 정치가로 초나라 사람이다. 그는 초나라 평왕의 태자 건의 태부(太傅: 왕의 고문 격)요 충신이었던 오사(伍奢)의 아들이었다. 건의 소부(少傅)였던 비무기가 오사를 시기해 평왕에게 참소하자, 평왕은 오사와 그의 큰아들 오상(伍尙)을 죽이고 자서까지 죽이려 했으나 재빨리 몸을 피해 오나라로 망명했다. 오자서는 오나라 왕 합려를 도와 강대국을 이룬 뒤 아버지와 형의 복수를 위해 초나라로 쳐들어갔지만 평왕은 이미 죽은 상태였다. 생전에 오자서의 보복을 예견한 평왕이 자신의 무덤을 깊은 연못 속에 만들고 묘를 조성한 일꾼 500명을 모두 죽여 버린 탓에 무덤을 찾는 일도 쉽지 않았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노인의 도움으로 왕의 무덤을 찾은 오자서는 무덤을 파헤치고 시체에 철장(鐵杖) 300을 쳐 분을 풀었다. 오자서의 친구 신포서는 이 소문을 듣고 “그대의 그러한 복수 방법은 지나친 게 아닌가…”라고 책하였다. 에 나오는 얘기다. 굴묘편시(掘墓鞭屍)는 ‘묘를 파헤쳐 시체에 매질하다’는 뜻으로, 통쾌한 복수나 도를 넘는 지나친 행동을 이르는 말이다.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극형을 추시하던 부관참시(剖棺斬屍)도 의미가 비슷하다.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걸었다. 우리나라는 특히 연산군 때 성행했으며 김종직(金宗直), 송흠(宋欽), 한명회(韓明澮), 정여창(鄭汝昌), 남효온(南孝溫), 성현(成俔) 등이 이 형을 받았다. 참고로 역사적으로 대역죄를 범한 자에게 과한 극형은 능지처참(陵

  • 대학 생글이 통신

    조바심 내면 집중력 더 떨어져…자신을 믿어 보자

    여름방학은 학생들에게 큰 기회입니다. 선행, 보완, 심화 등 자신의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스스로 선택하는 만큼 위험 부담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실력 점검과 공부 방법 검토가 필요합니다. 수능을 앞둔 수험생에겐 특히 멘털 관리가 중요합니다. 수능을 앞두고는 온 대한민국이 들썩입니다. 제가 수험생일 때는 코로나19 때문에 난리였고, 그 전에는 지진이 이슈였습니다. 이후에는 수능이 통합형으로 완전히 바뀌어 시끌시끌했습니다. 하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수험생 여러분은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이런 것에 흔들린다면 ‘내가 아직 실력이 쌓이지 않았구나’라고 생각하며 더 공부에 매진해야 합니다. 고3이 아니라면 선행, 보완, 심화 중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공부 방법을 선택하고, 커리큘럼을 고민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모의고사나 학교 시험에서 본인이 자주 틀리는 문제의 난도를 점검해 보세요. ‘하’ 단계의 문제를 자주 틀린다면 선행도 심화도 효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문제점이 무엇인지 더욱 세밀히 분석하고 기초를 튼튼히 다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중’ 단계의 문제를 자주 틀린다면 고민이 조금 필요합니다. 수험생이 아닌 경우 수능에 나오지 않는 과정의 문제를 구태여 반복하거나 심화해 볼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중’ 단계의 문제를 자주 틀린다면 평소 공부를 할 때 자신의 습관을 잘 들여다보기 바랍니다. 집중력이나 태도, 시간의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지요. ‘상’ 단계의 문제를 자주 틀린다면 이는 어떤 문제가 있다기보다 아직 ‘상’ 문제 자체에 익숙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습니다. 난도가 높을수록 조금 더

  • 대입전략

    인문 23.9%, 자연 21.9% 수능 최저기준 요구…내신 합격선 전체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

    학생부종합전형은 서류종합평가로 힉생부 교과 성적과 학생부 비교과 성적이 합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부 대학에서는 대학별고사로 구술면접이나 일반면접을 실시하기도 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는 대학도 일부 있으나 대부분의 대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지 않아 학생부가 우수한 학생에게 상당히 유리한 전형이다. 2024학년도 주요대 학생부종합전형의 최근 2개 연도 합격선과 금년도 변화 사항 등을 분석한다. 2024학년도 모집 요강 기준으로 주요 21개 대 학생부종합전형 인문계열 인원은 총 7670명을 선발한다. 대학, 전형별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상위 3개 대학은 이화여대 563명(미래인재), 고려대 483명(학업우수전형), 서울대 476명(일반전형) 순이다. 가장 적은 인원을 선발하는 3개 대학은 단국대 8명(창업인재), 아주대 20명(첨단융합인재), 세종대 42명(세종창의인재(서류형))이다. 자연계열에서는 총 8793명을 선발한다. 이 중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상위 3개 학교는 서울대 907명(일반전형), 인하대 594(인하미래인재), 고려대 523명(학업우수) 순이다. 가장 적은 인원을 선발하는 3개 대학은 고려대 5명(사이버국방), 단국대 7명(창업인재), 한국외대 8명(면접형), 한국외대 8명(서류형)이다. 이 중 일부 대학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수능 최저기준을 적용해 선발하는 규모는 인문이 전체 7670명 중 1830명(23.9%), 자연이 전체 8793명 중 1929명(21.9%) 이다. 학생부종합전형 특성상 서류종합 평가 성향이 강해 대다수 대학이 수능 최저기준을 반영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능 최저를 반영하는 대학에 지원한된다면 수능 최저기준을 충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주요 21개대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도함수의 활용 - 이계도함수 및 속도와 가속도

    도함수의 활용 단원은 수리논술에서 자주 출제되는 부분이다. 특히 곡선의 오목과 볼록을 판단할 때 사용되는 이계도함수를 비롯한 속도와 가속도에 관한 내용 등이 많이 출제된다. 이들 내용은 미분법 전체를 고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문제 풀이가 매끄럽게 이루어지는 만큼 변별력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곡선의 오목과 볼록에 대한 정의 및 속도와 가속도의 정의를 정확하게 숙지하고, 이들 개념을 문제 해결에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아래 예시 논제를 통해 관련 내용을 살펴보자. 포인트곡선 위 임의의 두 점 P, Q를 이은 곡선 부분이 선분 PQ보다 아래쪽(위쪽)에 있으면 아래로 볼록(위로 볼록)이다. 시각 t에서의 위치를 미분하면 속도이다. 시각 t에서의 속도를 미분하면 가속도이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오남용 늘고 있는 어미 '-다면'

    우리나라는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전체 인구 대비 만 65세 이상의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도 눈앞에 다가왔다. 이에 따라 고령 빈곤이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로 떠올랐다. 덩달아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다. 언론에서도 이와 관련한 보도가 부쩍 늘었다. “이미 중장년층이 된 사람들은 퇴직연금을 운용할 시간이 그리 많지 않아 소극적으로 운용한다면(①) 젊은 세대는 상품 투자나 IRP 계좌 가입 등이 더 활발하다. 퇴직 이후에 본인의 연금 소득이 궁금하다면(②) 금융감독원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는데’로 써야 할 곳도 ‘-다면’으로 써주목해야 할 부분은 2개의 ‘-다면’이다. 똑같은 말인데, 쓰임새는 서로 다르다. ①에선 앞·뒷절이 의미상 대등절로, 앞절과 뒷절에서 각각 실제로 일어난 2개의 정보를 대비하고 있다. 이에 비해 ②에선 앞·뒷절이 ‘조건절-주절’ 구조다. 의미도 앞절에서 어떤 사실을 가정해 조건으로 삼는 뜻을 담았다. 왜 이런 차이가 생겼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②가 원래의 제대로 된 용법이다. ①은 최근 많이 보이는 쓰임새인데, 아직 에는 올라 있지 않다. 온전한 용법으로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고려대 에는 이 용법이 있다. “뒷절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이야기를 도입함을 나타내는 말(-ㄴ다면)”로 풀이했다. 연결어미 ‘-다면’은 우리말에서 어떤 변화 과정을 거쳤기에 이런 차이를 가져왔을까? 그 연원을 추적하다 보면 우리말 어미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 ‘-다면’은 1957년 완간된 (한글학회 간)에서 ‘-다 하면’의 준말(‘제가 힘이 세다면 얼마나 세랴?’)로 나온다. 이는 1987년 (삼성출판사)을 거쳐 1991년 금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