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이야기
-
영어 이야기
같은 업종 경쟁자는 counterpart로 표현
The imminent goal for Naver Cloud is to become the largest provider of cloud services in South Korea. Naver Cloud is South Korea’s top homegrown cloud services provider. While it prides itself on being as competitive as its US counterparts such as Amazon Web Services (AWS), MS Azure, and Google Cloud, AWS is still the industry leader in the country.“The technology and service level of Naver Cloud are now close to those of AWS,” the CEO of Naver Cloud Park Won-ki said. “Going forward, we will rank at least fourth or third place in the global cloud market.”Park pointed to the lack of brand power as the biggest challenge. “Just like shoppers prefer foreign fashion labels over good clothes made at the Namdaemun or Dongdaemun wholesale markets, the same mentality applies to cloud services,” he said. “We just need to advance our technology and finetune the service.”네이버클라우드의 당면한 목표는 한국 시장에서 최대 규모의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되는 것이다. 이 회사는 클라우드 부문에서 한국 토종 기업으로서는 1위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미국 기업 아마존웹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클라우드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경쟁하고 있다고 자부하지만 국내 시장 1위는 여전히 AWS가 지키고 있다.박원기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의 기술과 서비스는 AWS와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다”며 “향후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3~4위까지는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부족한 브랜드 파워를 네이버클라우드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았다. 박 대표는 “국내 남대문이나 동대문에서 좋은 옷을 만들어도 소비자는 외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처럼 클라우드 서비스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이어 “기술과 서비스 수준을 높이면서 계속 노력하
-
영어 이야기
노력으로 성과를 얻을 때 표현은 carve out
Artificial intelligence(AI)-driven translation has been dominated by big tech. Alphabet Inc.’s Google LLC is the global leader while Naver Corp. is the dominant player in South Korea based on Naver Papago, a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cloud service. These services translate everything from research materials to day-to-day conversations.But that doesn't prevent startups from carving out a place of their own in the machine translation industry. They can often tackle business verticals, niche marketplaces where suppliers serve a specific business audience in a specialized industry, better than conglomerates.One such firm is Flitto. With the food and beverage industry on its radar, the startup recently introduced a QR code-based multilingual menu translation service. The service works on restaurant menus and brochures at tourist information centers. It is compatible with QR codes available at major shopping malls such as The Hyundai Seoul i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인공지능(AI) 번역 분야는 초대형 테크 기업들이 지배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국내에서는 네이버(파파고)가 각각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들은 자료 조사, 외국인과의 대화 등 일상적인 번역까지 해결해준다.그렇다고 컴퓨터 번역산업에서 스타트업이 설 땅이 없는 것은 아니다. 빅테크가 해결하기 어려운 버티컬(전문) 영역은 스타트업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곳이다.플리토가 이런 기업이다. 이 회사는 식음료 사업자들을 위해 QR코드 기반의 메뉴판 번역 서비스를 선보였다.식당의 음식 메뉴판이나 관광센터의 안내 책자 등을 번역해주는 기능이다.더현대 서울 같은 대형 쇼핑몰에서도 QR코드를 이용해 영어, 중국어, 일본어로 번역문을 제공한다. 해설틈새 번역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스타트업들의 활약을 전하는 기사의 일부입
-
영어 이야기
'make the cut'은 기준선을 통과한다는 뜻
Deep learning-based Software as a Service (SaaS) provider Z.Ai Inc. won the September pitch competition hosted by Seoul-based startup accelerator D.Camp on Thursday.The Banks Foundation for Young Entrepreneurs operates two incubator hubs known as D.Camp and Front1. The former was established in 2013 and the latter in 2020.A total of five startups made the cut to pitch to venture capital firms and individual investors at the monthly pitching event dubbed D.Day. All five startups were founded less than two years ago and are in Seed or Pre-A funding rounds. Z.Ai provides its artificial intelligence Z.Ai as a SaaS, to assist entrepreneurs in the fashion, content, and retail sectors that wish to collect customer data and analyze the patterns. The end goal is to help the users curate their products based on customer preferences and needs.딥러닝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회사 자이가 스타트업 지원센터인 디캠프의 9월 디데이 행사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은 스타트업 지원 허브 역할을 하는 디캠프와 프론트원을 운영하고 있다. 디캠프는 2013년, 프론트원은 2020년 설립됐다.이번 디데이에는 예선을 통과한 5개의 스타트업이 벤처투자사와 개인투자자들 앞에서 사업 계획을 설명했다. 5개 회사 모두 창업한 지 2년이 지나지 않았고, 시드 투자 또는 프리A 투자 단계에 있는 기업들이다.지아이는 딥러닝 인공지능 ‘Z.Ai’를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해 패션, 콘텐츠, 유통 업종의 기업이 소비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매 형태를 분석하는 것을 도와준다. 해설프로골프 경기는 대개 나흘에 걸쳐 열립니다. 목요일과 금요일 치러지는 1~2라운드는 예선에 해당하고, 일정 성적 이상의 상위권 선수들만 주말 열리는 3~4라운드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이죠. 2라운드까지의 성적을 더
-
영어 이야기
말을 타기 좋게 'leg up' 해주는 의미는?
‘Weaker won offers no leg up for Korean exporters’The steeper-than-expected decline in the won’s value is posing a grave threat to South Korean companies already struggling with rising inflation and higher interest rates.A softening won used to support Korean exporters such as Samsung Electronics Co., SK Hynix Inc. and Hyundai Motor Co. by making their products cheaper overseas. It also boosts the converted value of their overseas sales, contributing to first-half profits of major Korean exporters.But such benefits are now being outweighed by a surge in import costs accelerated by the cheaper local currency. Korean companies depend on imports of minerals and other raw materials to produce batteries, steel products and microchips.The won is the worst - performing currency among emerging Asian economies this year. It has shed 16% of its value against the greenback so far this year, hitting its weakest level in over 13 and a half years.‘한국 수출기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원화 약세’예상보다 더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는 원화 가치가 가뜩이나 인플레이션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 수출기업들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같은 한국 수출회사들은 제품 가격이 내려가는 효과가 생겨 경쟁력이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요 수출기업의 올해 상반기 해외 매출이 늘어난 것도 이런 영향이 컸다.하지만 이런 효과는 원화 가치 하락에 따른 수입비용 급등으로 상쇄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배터리나 철강제품, 반도체칩 등의 생산에 들어가는 광물과 원자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올 들어 원화는 아시아 주요 통화 가운데 가치가 가장 많이 떨어졌다. 연초 이후 원화 가치는 달러 대비 16% 하락해 13년 반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해설
-
영어 이야기
'a stitch in time saves nine'은 유비무환의 의미죠
The currency authorities have been relatively inactive in the market, saying the dollar is strong globally. The won is expected to grow more volatile especially as the Fed is forecast to ramp up the target federal fund rate by at least 75 bps on Wednesday to a range of 3.00-3.25%, which is higher than the Bank of Korea’s benchmark interest rate of 2.50%.The South Korean central bank, which has said it would allow such interest rate discounts, may spur speculative currency trading unless the authority takes appropriate measures to stabilize the won.The BOK, along with the finance ministry and other authorities, needs to consider various steps including slower overseas investments by pension funds in addition to skilled intervention.A stitch in time saves nine. A repeated failure in currency stabilization may cause authorities to lose the market's confidence, making the won a target of global speculators.통화당국은 달러 강세가 세계적인 현장이라며 비교적 소극적으로 음직여왔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대폭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렇게 되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연 2.5%를 넘어서게 된다. 따라서 원화의 변동성은 더 커질 것이다.한국은행이 한·미 금리 차를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하게 밝힌 마당에 외환당국마저 원화가치 안정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투기적 거래는 더욱 극성을 부릴 것이다. 한국은행과 재무당국은 등은 연기금의 해외투자 속도 조절과 같은 노련한 개입을 포함해 다양한 대응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외환당국이 번번이 관리에 실패해 원화가 국제 투기 세력의 타깃이 됨은 물론 시장의 신뢰까지 잃게 된다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막는 사태를 초래할 수 있다. 해설오늘 예문은 최근 심해지는 달러 강세, 원화 약세 현상을
-
영어 이야기
반짝스타는 'one-hit-wonder'라고 표현해요
Chang revealed the Krafton leadership’s fundamental belief is that there is room for further growth, judging by the company’s ability and the overall growth potential of the gaming industry.“More than 90% of our investment goes to developing games and 100% of our revenue comes from distributing games,” said the founder. “If we are diligent about creating good games, then we are bound to make a hit product once in a while.”Even though the gaming industry is similar to that of film in that it is dependent on box office or App Store hits, the consumption spans differ greatly. Chang stressed that although PUBG : Battlegrounds has been out for six years, it is still popular among players.This is how he explains the industry: “Game as a Service (GaaS) has now established itself as a solid business.Instead of ending as a one-hit-wonder in a given period, the hit games continue to build up the company.” 해설이번 예문은 ‘배틀그라운드’로 유명한 게임회사 크래프톤의 창업자 장병규 의장의 인터뷰 기사 중 일부입니다.오늘 살펴볼 표현은 문장 마지막에 나오는 ‘one-hit-wonder’입니다. 한 번만 히트를 치고 사람들의 기억에서 사라지는 ‘반짝 스타’를 뜻하는 말입니다. 주로 음악계에서 많이 사용하죠. 여기서 wonder는 ‘혜성같이 나타나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이’라는 의미입니다.대중음악 초창기 미국에서는 가수들의 음반이 주로 한두 곡만 실린 싱글 형태로 유통됐습니다. 여기서 히트곡이 나오면 여러 곡을 한 음반에 담은 앨범 형식으로 내는 것이 일반적이었죠. 싱글 히트곡 또는 히트 앨범 하나만 내고 더 이상 주목받는 후속곡이나 앨범을 내지 못하고 사라진 음악인을 one-hit-wonder라고 부릅니다.자고 일어나니 갑자기 유명인사가 됐다는 말이 있지
-
영어 이야기
뜻밖의 일을 경험할 땐 감탄사 'lo and behold'
Kim Hee-su and three other friends from Yonsei University founded the company, Tailor Town which recommends up to 12 items to men in their 30s and 40s each month.“I was always into shopping online as I found it hard to find clothes that fit my petite frame off-line,” The 23-year-old co-founder said during her pitch. “Lo and behold, however, I realized the market for men in their 30s and up is even more underserved.”The startup’s algorithm categorizes its users into five different sizes and stylists constantly update the recommendations. Every month, a user will receive up to 12 different outfits depending on the season, previous purchase patterns, and their indicated preferences at the time of joining the platform.They can also buy directly on the website or the app, from more than 100 domestic contemporary labels. The company plans to expand its services to golf wear, fashion accessories, and beauty - for the same demographic.김희수 씨와 3명의 연세대 친구들이 창업한 테일러타운은 30대와 40대 남성에게 매달 최대 12가지의 패션 아이템을 추천해준다."제 작은 체형에 맞는 옷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찾기가 힘들어 주로 온라인 쇼핑몰을 돌아다녔어요." 올해 스물세 살인 김씨는 기업설명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런데 세상에 놀랍게도 30대 이상 남성을 위한 온라인 의류 서비스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걸 깨달았죠."테일러타운의 알고리즘은 사용자를 다섯 가지의 사이즈와 스타일로 즉시 분류한 뒤 최신 추천 아이템을 제시해준다. 사용자는 매월 계절에 따라 최대 12가지 의류를 추천받을 수 있고, 과거 구매 패턴과 서비스 가입 당시 제시한 취향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사용자들은 웹사이트 또는 앱을 통해 100개 이상의 국내 의류 브랜드를 직접 구매할 수도 있다. 테일러
-
영어 이야기
'대세를 거스르다'는 표현은 buck the trend
Foreign stock buying on weaker won : Bucking the trend?When a country’s currency weakens, foreign investors flee the local markets as a softer foreign-exchange rate usually means fragile economic fundamentals.However, foreigners’ trading pattern in South Korea’s stock market over the past couple of months tells a different story.According to the Korea Exchange on Thursday, foreign investors have bought a net 5.07 trillion won ($3.8 billion) worth of shares on the main Kospi bourse since the start of July.It is the first time since the final two months of 2021 that foreigners posted net purchases for two consecutive months.The strong foreign buying comes as the Korean won has weakened to the lowest level since the 2008-09 global financial crisis. The local currency hit an intraday low of 1,345 against the greenback on Thursday, weakening from 1,298 in early July. Given the softening won, foreigners’ heavy buying of Korean stocks defies conventional wisdom.원화 약세에도 주식을 사들이는 외국인들 : 추세를 거스르나?한 나라의 통화가 약세를 보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그 나라의 시장을 떠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통화 약세는 국가 경제의 기초체력이 약해지고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최근 수개월간 한국 주식시장에서 외국인들의 매매 행태는 이와 다르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7월부터 유가증권시장에서 5조700억원(약 38억달러)어치의 주식을 사들였다.외국인이 2개월 연속으로 유가증권시장에서 주식을 순매수한 것은 2021년 11~12월 후 처음이다.외국인 투자자들은 원화가치가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진 상황에서 한국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 지난 7월 초 달러당 1298원이었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 목요일 장중 1345원까지 치솟았다. 이처럼 원화가 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