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패럴림픽은 "함께 열리다"는 뜻이죠

    패럴림픽은 '옆의, 나란히'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패러(para-)'와 올림픽이 결합한 말이다. '올림픽과 나란히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장외 주인공을 꼽으라면 한글과 우리말을 들을 만하다. 올림픽 휘장과 메달을 비롯해 대회장 곳곳에 한글 자음 ㅍ과 ㅊ을 형상화한 문양을 새기거나 내걸어 한글의 아름다움을 한껏 알렸다. ‘손모아장갑’도 눈에 띄었다. 무심코 써온 ‘벙어리장갑’을 순화한 대체어로 화제를 불러모았다. 패럴림픽이란 용어도 우리에게 ‘말의 진화’란 관점에서 생각할 거리를 남겼다.장애·비장애 가르지 않는 세상 염원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인권인식이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크게 바뀌었다. 그 전에는 장애자로 많이 불렸다. 서울올림픽 당시만 해도 공식적인 표기는 장애자올림픽이었다. 장애자란 말 자체에 비하하는 의미가 담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우리 사회에서는 언제부턴가 이 말을 다소 낮춰 부르는 말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때가 서울올림픽을 전후한 즈음이었다. 이후 1989년 장애자복지법을 전면 개정한 장애인복지법이 나오면서 ‘장애인’이 우리 사회에 공식용어로 등장했다.이번 대회에선 한걸음 더 나아가 패럴림픽이 자리 잡았다. 패럴림픽은 ‘옆의, 나란히’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패러(para-)’와 올림픽이 결합한 말이다. ‘올림픽과 나란히 열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네이버 두산백과). 애초 하반신 마비를 뜻하는 패러플리지아(paraplegia)와 올림픽의 합성어였으나 점차 다른 장애가 있는 선수들도 참가함에 따라 의미가 바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후'와 '후'는 의미가 달라요

    말을 할 때 정교한 구별이 필요하다. 속담에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는 말은 괜히 생긴 게 아니다. 우리말의 발전, 나아가 논리적·합리적 사고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임하게 됐다. 언론들은 지난 3월3일자에서 이 소식을 전했다. 한은 역사에서 총재가 연임한 경우가 드물어 이 뉴스는 더욱 화제가 됐다. 김유택 전 총재(1951년 12월18일~1956년 12월12일)와 김성환 전 총재(1970년 5월2일~1978년 5월1일)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사례라고 한다. 이것을 짧게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이후 세 번째다”라고 말할 수 있다.‘이전/이후’는 기준 시점 포함해언론사에 따라 이를 조금 달리 표현한 곳도 있었다. “이 총재 연임은 김유택, 김성환 전 총재 이후 처음이다.” 이는 맞는 것일까? 어찌 보면 두 사람이 연임한 뒤로는 처음이니 맞는 말인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동일한 문장에서 ‘처음’과 ‘세 번째’는 분명히 다르다. 둘 중 하나는 틀린 표현이지만 현실언어에서 우리는 이를 구별하지 않고 두루뭉술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이전(以前)/이후(以後)’와 ‘전/후’는 엄연히 다른 말이다. 가령 “그는 2010년 이후 새벽 운동을 시작했다”라고 하면 2010년부터라는 뜻일까? 아니면 2011년부터를 뜻하는 것일까? 이전/이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해’ 말하는 것이다. 그러니 당연히 2010년부터 했다는 뜻이다. 이에 비해 ‘전/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지 않는다. ‘2010년 후’라고 하면 2011년부터를 가리킨다.별것 아닌 것 같지만 이 개념에 대한 이해는 글쓰기에서 매우 중요하다. 합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남에선 '깃발', 북에선 '기발'로 쓰죠

    우리 맞춤법은 형태주의를 기반으로 해 표음주의를 절충했다. 한글 맞춤법은 총칙 제1항에서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했다.지난호에선 ‘한라산-한나산’의 사례를 통해 우리말 적기 방식인 표음주의와 형태주의의 차이를 살펴봤다. 표음주의란 단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는 뜻이다. 형태주의란 소리와 상관없이 같은 단어는 언제나 같은 형태로 적는다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말을 적는 규칙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일까? 형태주의일까? 한글이 소리글자(표음문자)이니 맞춤법도 표음주의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다.한글맞춤법은 형태·표음주의 절충우리 맞춤법은 형태주의를 기반으로 해 표음주의를 절충했다. 한글 맞춤법은 총칙 제1항에서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규정했다. 이때 ‘어법에 맞도록 함’이란 단어 기본형을 밝혀 적는다는 뜻이고, 그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했다. 그 바탕에서 표준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도록 한 게 현행 맞춤법의 원리다.표기를 자주 틀리는 말 중 하나인 ‘얽히고설키다’를 통해 구체적인 방식을 알아보자. 이 말을 ‘얽히고?히다’ ‘얼키고설키다’ 식으로 잘못 쓰기도 한다. 두 단어인 줄 알고 띄어 쓰는 경우도 흔하다. 우선 ‘얽히고’는 ‘얽다’를 어원으로 한 피동형(얽히다)임을 누구나 안다. 그래서 발음은 [얼키고]로 나지만 적을 때는 원형을 살려 ‘얽히고’로 한 것이다(형태주의). 이에 비해 뒤따르는 ‘설키다’는 어원을 찾을 수 없다. 우리말에 ‘?다’ 또는 ‘설키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한라산'과 '한나산'… 남북은 왜 달리 쓸까요?

    우리가 아는 '한라산(漢拏山)'은 북에선 '한나산'이라고 한다. 한자 拏는 '붙잡을 나'자로, '나포(拿捕: 붙잡아 가둠)' 할 때 쓰인 글자다. 拿는 拏의 속자(俗字: 획을 간단히 해 더 널리 쓰이는 글자)다.평창동계올림픽은 선수들의 열전 못지않게 북한의 음악공연도 화제였다. 삼지연관현악단은 강릉과 서울에서 두 차례 공연을 통해 ‘노래련곡(연곡)’ ‘락엽(낙엽)’ 등 다양한 노래를 선보였다. 비록 공연의 정치적 의미와 논란에 가려 부각되진 않았지만 거기엔 간과해선 안 될 게 하나 있었다. 달라진 남북한 말과 글의 일부가 다시 한 번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기회가 됐다는 점이다. 특히 북한의 가곡으로 알려진 ‘백두와 한나는 내 조국’은 주목할 만하다. 애초 이 노래를 몰랐던 사람일지라도 문맥으로 보아 ‘한나’가 ‘한라산’을 뜻하는 것임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었을 것이다.한나산은 본음, 한라산은 속음우리가 아는 ‘한라산(漢拏山)’은 북에선 ‘한나산’이라고 한다. 한자 拏는 ‘붙잡을 나’자로, ‘나포(拿捕: 붙잡아 가둠)’ 할 때 쓰인 글자다. 拿는 拏의 속자(俗字: 획을 간단히 해 더 널리 쓰이는 글자)다. ‘한나산’이 변해 지금의 ‘한라산’이 된 것이다. 이런 것을 속음(俗音)이라고 한다. 속음이란 한자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부 단어에서 굳어져 쓰이는 음을 말한다. ‘六月’이나 ‘十月’을 육월, 십월이라 하지 않고 유월, 시월로 읽고 적는 게 대표적인 사례다.우리말에는 이처럼 한자어 발음이 변해 굳은 게 꽤 있다. 그중에서도 희로애락(喜怒哀樂, 희노애락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덕담'은 웃어른이 건넬 때 쓰는 말이에요

    "복 많이 받으세요"는 새해 덕담으로 무난하게 쓸 수 있는 말. "한 해 동안 보살펴주셔서 고마웠습니다"라는 과거시제보다 '~ 고맙습니다'가 나은 표현입니다.2001년은 우리나라 경제가 암울했던 외환위기의 긴 터널을 간신히 빠져나온 시기였다. 그해 말 비씨카드사는 정체돼 있던 카드사업을 돌파할 새 광고를 준비했다. 한 해를 새롭게 맞는 시기에 맞춰 국민에게 꿈과 용기를 불어넣어줄 메시지를 담았다. 지금도 많은 이들이 기억하고 있는 “여러분, 부~자 되세요”란 광고 문구가 그렇게 탄생했다. 이 ‘새해 덕담’은 엄혹한 시절을 지나온 국민 가슴에 공감을 자아내며 일약 ‘국민 덕담’으로 떠올라 오랫동안 인기를 누렸다.“오래 사세요”는 자칫 거부감 줄 수도나흘 앞으로 설이 다가왔다. 설은 음력으로 정월 초하룻날을 가리키는 말이다. 요즘은 설을 단지 명절로 쇠는 분위기가 강하지만 전통적인 의식에선 여전히 새해를 시작하는 첫날이다. 정초에는 덕담을 준비한다. 최남선의 ‘조선상식-풍속 편’(1948)에 따르면 새해 덕담은 과거형의 말을 통해 그렇게 이뤄지기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한국세시풍속사전). 이를테면 “올해엔 돈 많이 벌었다지요?” “올해는 장가갔다지?” 하는 형식이다. 우리 속담에도 ‘말이 씨가 된다(늘 말하던 것이 마침내 사실대로 됐을 때를 이르는 말)’고 했는데 그것과 같은 표현이다. 덕담에 주술적 힘을 담아 바라는 바를 전한 것이다. 하지만 요즘 이런 덕담은 찾아보기 힘들다. 풍속도, 말법도 세월 따라 바뀌는 것이라 예전에 그런 게 있었다고 해서 얽매일 필요는 없다.새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부음보다 부고가 옳은 표현이죠

    우리 전통적인 장례 절차에 '호상'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 호상은 '초상 치르는 데에 관한 온갖 일을 책임지고 맡아 보살피는 사람'을 말한다.조선시대 가장 유명한 이는 누구였을까? 정대일이란 사람이 있었다. 조금 과장하면 조선팔도에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다. 실존 인물은 아니다. 가공의 인물이었다. 그런 사람이 어떻게 누구나 아는 유명인이 될 수 있었을까? 후대로 오면서 부풀려졌겠지만 그럴만한 사연이 있다. 그 이름이 부고(訃告)에 자주 등장했기 때문이었다. ‘護喪(호상) 丁大一(정대일)’로 쓰였다.상주 대신해 장례 절차 진행신문들은 지난 주초 ‘제약 1세대’로 알려진 정형식 일양약품 창업주의 별세 소식을 크게 전했다. 이와 함께 일양약품의 부고 광고를 게재했다. 이 부고는 요즘 보기 드물게 토씨 정도만 빼고 죄다 한자로 작성됐다는 점이 특이했다. 한자 의식이 점차 흐려져 가는 때라 이를 제대로 읽은 이들은 그리 많지 않았을 것 같다. 그중 하나로 쓰인 ‘護喪’도 눈에 띄었다. 이 말을 아는 사람은 또 얼마나 될까?우리 전통적인 장례 절차에 ‘호상’의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 호상은 ‘초상 치르는 데에 관한 온갖 일을 책임지고 맡아 보살피는 사람’을 말한다. 요즘은 시절이 달라져 부모가 돌아가시면 자식이 직접 주변에 부고를 알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지만 이런 건 예전엔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부모가 돌아가면 자식은 졸지에 ‘죄인’이 돼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오로지 곡(哭)을 하고 문상객을 받는 일만 할 수 있을 뿐이었다.그래서 양반가에서 상을 치를 때 반드시 있어야 하는 역할이 호상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켕긴다'는 마음을 다잡을 때도 쓰죠

    화살을 쏠 때 시위에 화살을 걸어 힘껏 당기는데, 이걸 '켕긴다'고 한다. '켕기다'는 본래 '단단하고 팽팽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연줄을 힘껏 당겨 단단히 켕기는 것이다.한 해를 시작하는 즈음엔 누구나 마음가짐을 새롭게 다진다. 그럴 때 사회 지도층 인사들이 화두로 즐겨 올리는 말이 ‘해현경장(解弦更張)’이다. 낡은 줄을 걷어내고 새 줄을 팽팽하게 맨다는 뜻이다. 사사로이는 초심을 잃지 않고 각오를 단단히 할 때 꺼내드는 말이다. 정치적·사회적으로는 묵은 제도를 개혁해 새롭게 한다는 의미로 쓴다. 중국 한나라 때 유학자인 동중서가 널리 인재를 등용하려는 무제(武帝)에게 올린 글에서 유래했다.시위 한껏 켕기는 마음가짐이 말은 느슨해진 마음을 다잡는다는 그 의미도 새겨야 하지만 우리말과 관련해서도 살펴볼 게 꽤 있다. 현(弦)은 본래 활시위를 말한다. 시위란 활대에 걸어서 켕기는 줄이다. 화살을 쏠 때 시위에 화살을 걸어 힘껏 당기는데, 이걸 ‘켕긴다’고 한다. ‘켕기다’는 본래 ‘단단하고 팽팽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연줄을 힘껏 당겨 단단히 켕기는 것이다. 잔뜩 긴장을 하면 목줄기가 뻣뻣하게 켕기기도 한다. 여기서 쓰임새가 넓어져 ‘마음속으로 찜찜한 게 탈이 날까 봐 불안스럽다’란 뜻으로도 쓰이게 됐다. ‘거짓말한 게 켕겨서 마음이 편치 않다’고 할 때의 그 ‘켕기다’다. 지금은 이 말을 이렇게 더 많이 쓴다.상현달(上弦-), 하현달(下弦-) 할 때도 이 ‘현’이 쓰였다. 순우리말로는 모두 반달이다. 이에 비해 쟁반같이 둥근, 꽉 찬 달은 온달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 보름달이다. 달은 그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잘생기다'는 형용사 같지만 동사예요

    '잘생기다'가 동사라고 해서 '잘생겨지는 중이다' '잘생겨라' 같은 표현이 허용되는 것은 아니다. '잘생기다'는 형태상 동사에 해당하지만 전형적인 동사의 특징을 갖추지는 않았다.지난 4일 국립국어원이 올해 3분기 표준국어대사전 정보수정 사항을 공개했다. 그중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것은 단연 ‘잘생기다’였다. 품사를 형용사에서 동사로 바꿨다. 누리꾼들은 대부분 고개를 갸웃했다. ‘잘생기다’에 동작성이 있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아닌가? 이게 의문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오래전부터 ‘잘생기다’를 동사로 분류해 왔다.의미는 품사 가르는 기준 안 돼국어에서 품사를 분류하는 기준은 단어 의미와 형태, 기능이다. 이때 의미는 그리 중요하게 보지 않는다. 의미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도 해 객관적으로 품사를 가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구조주의 언어학에서는 그보다 형태와 기능을 중심으로 살핀다.‘잘생기다’를 형용사로 생각하는 사람은 그 의미가 동작이 아니라 상태를 나타낸다고 여기기 때문일 것이다. 즉 동작성이 있으면 동사,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면 형용사라고 구별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구별은 안정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보자. ‘늙다’는 동사일까 형용사일까? 대부분은 ‘늙다’가 동작성보다 상태의 의미를 더 많이 갖고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니 형용사로 보면 될까? 그렇지 않다. 이 말은 동사다. “너, 그렇게 고민 많이 하면 빨리 늙는다” 같은 데서 보듯이 동사의 대표적 활용 지표인 ‘-는다’가 가능하다.‘잘생기다’도 마찬가지다. 의미상으로는 상태를 나타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