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동적 조치'는 북한 특유의 표현이죠](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AA.16722110.1.jpg)
해방 이후 남북한에서 지속적으로 우리말 순화운동을 해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등 상당한 성과도 올렸다. 북에서는 남에서보다 더 강도 높게 순화작업을 펼쳤다. 하지만 성과의 한편으로 특이한 측면도 엿보인다. 한자어 접미사 ‘-적’을 자주 쓰는 것도 그중 하나다. ‘판문점 선언문’에도 ‘OO적’이란 말이 모두 32곳에 나온다. 특히 남에서는 잘 쓰지 않는 ‘전환적 국면’ ‘실천적 대책’ ‘주동적 조치’ 같은 표현이 눈에 띈다.
남쪽에선 어색한 접미사 ‘-적’ 용법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동적 조치'는 북한 특유의 표현이죠](https://img.hankyung.com/photo/201805/AA.14849148.1.jpg)
우리말에서 ‘-적’과 ‘-스럽다/-답다/-롭다’는 용법이 겹치기도 하지만 상당 부분 서로 배타적이라 이들을 구별해 써야 한다. 섞바꿔 쓰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북에서는 의외로 ‘-적’을 많이 쓴다. 우리 눈으로 보면 어색한 게 꽤 있다. 가령 ‘(이웃과) 친선적으로 지내다’ 같은 표현이 그런 것이다. 우리는 그냥 ‘친하게(사이좋게) 지내다’라고 한다. 북에서 쓰는 ‘보람적 일터’ ‘유감적 사건’ ‘위험적 행동’ 같은 표현도 남에선 자연스럽지 않다. 모두 ‘-스럽다’를 써야 할 곳이다.
판문점 선언문에 담긴 ‘민족적 화해’ ‘관계 개선과 발전의 전환적 국면’도 낯설다. ‘민족(의) 화해’에는 ‘-적’이 들어갈 이유가 없어 보인다. 민족이면 민족이지 ‘민족적’은 무슨 뜻인지 모를 표현이다. ‘…전환적 국면’은 남에선 ‘관계를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새로운 국면’ 정도가 될 듯하다.
복수형 접사 ‘-들’ 남발도 특이해
‘실천적 대책’도 어색하다. ‘대책’은 당연히 ‘실천’을 전제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남에서는 이런 표현을 잘 안 쓴다. 굳이 쓰려면 ‘-적’ 없이 ‘실천 대책’이라 하는 게 우리 어법이다. 보통은 ‘구체적 대책’ 식으로 표현한다. ‘주동적인 조치’도 북한식 표현이다. ‘주동적’은 북에서 체제 특성으로 인해 강조되는 대표적 단어 중 하나다. 우리 사전엔 ‘어떤 일에 주장이 돼 행동하는 것’으로 간략히 나온다. 일상적으로 잘 쓰이지 않는다. 북에선 여기에 ‘주인 된 자격으로 자신이 직접 책임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 등 두 가지 풀이가 덧붙는다. 현실에서도 활발하게 쓰인다. 선언문에 쓰인 ‘주동적 조치’는 의미상 북한의 용법이라는 게 드러난다.
‘이미 채택된 남북 선언들과 모든 합의들을…’을 비롯해 ‘국제경기들’ ‘행위들’ 등에서 보이는 복수형 접미사 ‘-들’의 빈번한 사용도 북한 어법의 특징이다. 우리말에선 추상명사와 물질명사에 ‘들’을 잘 붙이지 않지만 북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가령 ‘물질들’ ‘짐승류들’ 같은 표현을 예사로이 쓴다. 선언문에서도 우리 어법으로는 ‘이미 채택된 남북 선언과 모든 합의를…’이라고 하는 게 자연스러운데 굳이 ‘들’을 붙였다. 다음호에서는 ‘남과 북은 그 어떤 형태의 무력도 서로 사용하지 않을 데 대한…’의 통사 용법 차이를 살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