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주동적 조치'는 북한 특유의 표현이죠

    북에서는 의외로 '-적'을 많이 쓴다. 우리 눈으로 보면 어색한 게 꽤 있다. 가령 '(이웃과) 친선적으로 지내다' 같은 표현이 그런 것이다. 우리는 그냥 '친하게(사이좋게) 지내다'라고 한다.해방 이후 남북한에서 지속적으로 우리말 순화운동을 해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등 상당한 성과도 올렸다. 북에서는 남에서보다 더 강도 높게 순화작업을 펼쳤다. 하지만 성과의 한편으로 특이한 측면도 엿보인다. 한자어 접미사 ‘-적’을 자주 쓰는 것도 그중 하나다. ‘판문점 선언문’에도 ‘OO적’이란 말이 모두 32곳에 나온다. 특히 남에서는 잘 쓰지 않는 ‘전환적 국면’ ‘실천적 대책’ ‘주동적 조치’ 같은 표현이 눈에 띈다.남쪽에선 어색한 접미사 ‘-적’ 용법‘-적(的)’은 문법적으로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런 성격을 띠는/그에 관계된/그 상태로 된’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다. 글쓰기와 관련해 남에서도 이 ‘-적’을 놓고 많은 검토와 논란이 있었다. 일찍이 한글학자 최현배 선생은 순화 차원에서 대체어로 고유어 ‘-스런’(‘-스럽다’에서 파생된 접사)을 제시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 때 저술한 국어문법 대작 <우리말본>에서 그는 ‘과학적, 일반적, 역사적’ 같은 말을 ‘과학스런, 일반스런, 역사스런’ 식으로 바꿔 썼다. 하지만 ‘-적’과 ‘-스런’이 늘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은 아니라 이런 시도는 실패했다.우리말에서 ‘-적’과 ‘-스럽다/-답다/-롭다’는 용법이 겹치기도 하지만 상당 부분 서로 배타적이라 이들을 구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판문점 선언문'에서 보이는 북한말투

    '판문점 선언' 전문(前文)에는 '평화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과감하게 일어나가며…'란 대목이 나온다. 골자만 추리면 '시대를 일어나가다'이다. 이 부분은 금세 그리고 명료하게 이해되지 않는다.4월27일 남북한 분단의 현장에서 울려 퍼진 ‘판문점 선언’의 여운이 이어지고 있다. ‘열려라! 우리말’에서 주목하는 부분은 그 정치적 의미에 있지 않다. 선언문 곳곳에서 발견되는 ‘북한말투’가 관심사다. 정확한 연유는 모르겠으나 남북한 간 선언문을 조율하면서 그리됐을 것으로 짐작된다. 그래도 이런 경우 자구 하나라도 꼼꼼히 따지는 것이 상례일진대 북한말투가 걸러지지 않은 채 우리에게 공개된 것은 좀 의아스러운 일이다.‘일어나가며’는 ‘일궈 나가며’란 뜻남북이 갈라진 지 70년이 흐르면서 말글이 많이 달라졌다는 얘기는 새삼스러운 것이 아니다. 물론 북한말투라고 해도 뜻만 통하면 되지 무에 그리 중요하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선언문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뜻이 잘 통하지 않는 데가 여러 곳 있다. 같은 우리말을 쓰면서도 표현이 어색한 것도 어찌할 수가 없다. 선언문에 투영된 북한말투를 통해 남과 북의 어법 차이를 살펴보자.전문(前文)에는 ‘평화번영의 새로운 시대를 과감하게 일어나가며…’란 대목이 나온다. 골자만 추리면 ‘시대를 일어나가다’이다. 이 부분은 금세 그리고 명료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남에서 쓰지 않는 표현이기 때문이다.우선 ‘일어나가며’가 가능하기 위해선 기본형 ‘일어나가다’ 또는 ‘일다’가 있어야 한다. 일단 ‘일어나가다’란 단어는 남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