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⑩ 로널드 레이건의 공산주의 몰락 예견 <下>
Free people,worthy of freedom and determined not only to remain so but to help others gain their freedom as well. ☞ 지난호에서 계속 We cannot ignore the fact that even without our encouragement there has been and will continue to be repeated explosion aga...
-
학습 길잡이 기타
<17> 사슴을 사슴이라고 말하면 죽임을 당한다.
指 鹿 爲 馬 가리킬 지 사슴 록 할 위 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함. 간사한 꾀로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름 진(秦)나라 2세 황제 때 승상 조고(趙高)가 권세를 마음대로 휘두르고 싶었지만 여러 신하들이 듣지 않을까 두려웠다. 그래서 계략을 세워 사슴을 황제에게 바치며 말했다. "말입니다." 황제가 웃으며 말했다. "승상이 잘못 아셨소. 어찌 사슴을 말이라 하시오?" 황제가 좌우신하를 둘러보니,대...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8>
적분검사법 (lntegral Test)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글씨 쓸 땐 끼적끼적,가려울 땐 끌쩍끌쩍
1930년대 '시인부락' 동인으로 함께 활동한 서정주와 김동리는 연배도 비슷해 자주 술자리를 가졌다. 하루는 술이 거나해진 김동리가 "어젯밤 잠이 안 와서 지었다"면서 자작시 한 편을 읊었다. 끄트머리에 가서 '벙어리도 꽃이 피면 우는 것을…'이라는 대목에 이르자 서정주가 탄성을 지르며 말했다. "내 이제야말로 자네를 시인으로 인정하겠네." 말 못하는 벙어리도 꽃이 피면 운다는 표현에서 내심 탁월한 서정미를 느낀 것이다. 그러자 김동리...
-
학습 길잡이 기타
99. 띄어쓰기 공략법 : 접두사와 관형사의 구별
'한걸음'과 '한 걸음'은 다르다 ① 그는 15년 동안 만화 편집 및 기획 분야에서 한 우물만 파 온 사람이다. ② 합격했다는 소식을 듣고 집까지 한걸음에 달려갔다. 띄어 쓰기를 까다롭게 하는 것 중 하나가 형태는 같으면서도 때론 관형사로, 때로는 접두사로 달리 쓰이는 경우다. 관형사라면 당연히 뒤에 오는 말과 띄어 써야 하고 접두사라면 붙여 써야 하므로 이를 구별해야 한다. 그것은 '의미'의 차이로 가능하다. '한'이 관형사로 쓰일...
-
학습 길잡이 기타
38. 성석제「내 인생의 마지막 4.5초」
합리적인 지배의 메커니즘 ⊙ 정치 권력의 실천 방식 정치 권력이 행사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다. 그 하나는 경찰,군대,관공서와 같이 공적 권력을 물리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억압적 국가기구이며,다른 하나는 교육이나 종교,정치,언론과 같이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은밀히 주입시켜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권위에 복종하게 하는 이데올로기 국가기구다. 얼마 전 교육의 문제를 논의할 때도 언급한 적이 있듯이 이러한 구분은 후기 맑시스트로 알려진...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30> - Be All Ears!
지난 연재에서 여러 번 소개하고 독자들이 이제는 충분히 습득하였을 것으로 믿는 문장의 기본 문형 및 구문을 결정하였다면,다음 차례는 세부적 표현들을 하나씩 채워나가야 한다. 하지만 막상 영어 표현을 채워나가려고 하면 개별 단어를 사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떻게 사용하나 막막해 할 때가 많다. 그 이유는 개별 단어들을 합해 단일 표현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데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 영작문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 '...
-
학습 길잡이 기타
⑨ 로널드 레이건의 공산주의 몰락 예견 <上>
“day by day democracy is proving itself to be a not at all fragile flower.” ⊙ 배경 이 연설은 40대 미 대통령인 로널드 레이건이 런던 웨스트민스터 의회에서 행한 연설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소련의 경제 상황을 근거로 소련의 몰락을 예측했지만 당시 그의 말을 받아들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하부구조와 상부구조의 모순에서 혁명적 위기가 도래한다는 마르크스의 말을 빗대 소련 체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