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권력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
마키아벨리는 권력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기보다는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라"고 충고하였다.
사랑을 받아서 만만하고 우스워질 바에야,세상을 공포로 벌벌 떨게 하는 것이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애정이나 호감은 정말 별 쓸모가 없는 것일까?
사랑을 받는다는 것 자체도 권력이 될 수 있다.
단순히 '더 사랑하는 자가 죄인'이라는 연인간 애정 전선의 역학 관계를 말함이 아니다.
세상을 매료하고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은 권력을 쥐는 한 방편이 될 수 있으며,이미 다른 수단으로 권력을 획득한 자도 이를 무시하다가는 권좌에서 밀려나고 만다.
'군주론'에서 권력은 무엇이며 그 성격이 어떠하다는 것을 논했던 마키아벨리 외에도 권력의 속성에 관해 진지하게 탐구한 사람은 많다.
하지만 그들이 모두 마키아벨리처럼 가공할 만한 두려움이 냉혹한 절대 권력의 표징(表徵)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지는 않았다.
특히 하버드대 케네디행정대학원 석좌교수인 조지프 나이(Joseph S Nye)는 마키아벨리와 뚜렷한 대비를 보인다.
조지프 나이는 '소프트 파워(Soft Power)'라는 저서를 통해 권력을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는데 그가 이끌어낸 이야기는 마키아벨리와는 사뭇 다르다.
권력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능력,또는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쳐 어떤 일이 이뤄지게 만드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권력을 행사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는 것이 '소프트 파워'라는 책의 출발점이다.
조지프 나이는 권력을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국한하는 것은 편협한 사고라는 주장을 펼친다.
그는 마키아벨리가 예찬하는 군사력과 경제력을 하드 파워(Hard Power) 또는 경성권력(硬性權力)이라고 정의하고,이와 상반되는 소프트 파워(Soft Power) 내지는 연성권력(軟性權力)이 확고히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소프트 파워를 쉽게 번역하자면 '매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타인 혹은 타국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이 곧 소프트 파워이다.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를 쉽게 구별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얼마나 다양한가를 생각하면 도움이 된다.
타인에게 영향을 미쳐 원하는 결과를 얻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위협으로 타인을 강제할 수도 있고 보상으로 유인할 수도 있다.
아니면 사람들을 유혹하여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다른 이들도 열심히 추구하게끔 만들 수 있다.
사람들을 꾀어내는 후자의 방법이 바로 소프트 파워를 행사하는 방법이다.
혹자는 조지프 나이가 학자라서 이러한 말랑말랑한 주장을 펼치는 것이 아니냐면서 사랑 받느니 차라리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 버리라는 마키아벨리를 역성들 수도 있다.
하지만 조지프 나이는 국제정치학자로서의 이력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국무부 차관보,국가정보위원회 의장,국방부 차관을 지내면서 실무 경험 또한 풍부하게 쌓은 사람이다.
그가 오래도록 몸담고 있는 하버드 행정대학원이 실무와 학문의 연계를 추구하는 현실적 학풍을 자랑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소프트 파워'는 조지프 나이가 현실과 부딪히고 그 다채로운 양상을 관찰하면서 권력의 속성을 탐구한 결과이므로 백면 서생의 낭만적 이론에 불과하다는 비판은 타당하지 않다.
이는 '소프트 파워'의 목차 편제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는데,조지프 나이는 책의 1장에서는 권력의 속성을 논하며 소프트 파워를 정의하지만,2장부터는 현실의 이야기로 글을 이끌어간다.
제2장에서 미국 소프트 파워의 원천과 반미주의를 논하고 있으며,제3장에서는 소련과 유럽,아시아 각국의 소프트 파워에 관해서 평가한다.
그리고 그 다음의 장에서는 소프트 파워의 행사 방법과 소프트 파워의 자원,그리고 소프트 파워와 정책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철저히 현실지향적인 책이며 앞으로의 해결 과제와 바람직한 정책을 모색하는 실천적 성격을 띠고 있다.
소프트 파워는 공유할 수 있는 가치와 정당성으로 세상을 끌어 당긴다.
국제정치에서 소프트 파워를 만들어내는 자원은 주로 어떤 기구나 국가가 대내적 관행과 제반 정책을 통해 만들어낸 본보기와 자체적인 내부 문화,다른 기구 또는 국가와의 관계를 이끌어가는 방식 등을 통해 표출시키는 가치 체계이다.
사람들과 조직으로 하여금 올바른 가치의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매력을 느끼게 만드는 것이 소프트 파워의 진면목이다.
또한 소프트 파워는 하드 파워에 좌우되지 않는다.
이에 관한 예시로 조지프 나이는 스탈린의 조롱을 인용하였다.
스탈린은 "교황 휘하에는 몇 개의 사단이 있는가?"라고 비웃었으나,바티칸은 소련의 군사력에 못지 않은 막강한 소프트 파워를 행사하였다.
이처럼 소프트 파워의 독자적 성격과 그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문제는 소프트 파워가 하드 파워보다 정부 귀속성(歸屬性)이 약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회의론자들은 각국 정부가 자국이 지닌 매력을 제대로 통제할 수 없다는 이유 때문에 국제 정세 속에서의 소프트 파워를 믿지 못하겠노라고 한다.
하지만 '말랑말랑해서 손에 쉽게 쥐어지지 않는' 힘인 소프트 파워를 그러한 성격 때문에 부정하기만 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조지프 나이는 미국이 일방주의적 정책을 내세우다가 소프트 파워를 잃고 반미주의로 인해서 많은 것을 잃어야 했음을 따끔하게 지적한다.
'소프트 파워'는 미국이 얼마나 많은 적을 제거하느냐(하드 파워의 발현)가 아니라,얼마나 많은 동맹을 얻느냐(소프트 파워의 발현)에 외교안보정책의 핵심이 있다는 주장을 전개한다.
비단 미국 정부만이 아니라 어느 누구도 소프트 파워를 무시할 수 없다.
최근 유명한 연예 프로그램에 안철수 교수가 출연해서 시청률이 껑충 뛴 적이 있다.
시청자 게시판에는 안 교수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며 그를 국가 CEO,즉 대통령으로 추대하자는 의견도 많았다.
그들이 열광하는 것은 금권과 무력이 아니라 한 인간의 매력과 그의 도덕적 가치관이다.
이처럼 소프트 파워는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다.
국가적으로도 우리나라는 한류 열풍에 웃고,혐한(嫌韓) 감정에 고민한다.
소프트 파워가 어떻게 획득되고 발현되는지는 좀 더 연구가 되어야 하지만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 그 자체만은 부정할 수 없다.
조지프 나이의 저서 '소프트 파워'는 연구 방법의 엄정함이나 논리적 정교함은 떨어진다는 평가도 간혹 받지만,권력을 바라보는 관점의 참신성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회자될 가치가 있는 책이다.
조지프 나이는 '스마트 파워'라는 책을 후속서로 출판하여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의 결합을 논하기도 하였는데,권력에 대한 마키아벨리식 편견을 걷어냈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충분한 의미가 있다.
권력에 관한 진실이 무엇일지 다 같이 고민하자는 의미로 다음과 같은 명언과 함께 글을 맺기로 한다.
"힘(Power)은 날씨와 같다. 모두 그에 의존하고 또 화제거리로 삼고 있지만,정작 그 실체를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 기출 제시문 동국대 2005학년도 정시 논술
한 나라의 소프트 파워는 주로 세 가지 형태의 자원에 좌우된다.
즉 그 나라 문화,정치적 가치관,그리고 대외정책이 그것이다. (…중략…)
어느 나라의 문화가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또 제반 정책을 통해 다른 나라들이 공유하는 가치와 이익을 증진시킨다면,그 나라가 바람직한 성과를 얻을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그런 문화가 만들어내는 매력과 의무간의 연관성 때문이다.
편협한 가치와 지역에 한정된 문화는 소프트 파워를 생성하기 어렵다.
미국은 문화적 보편성 때문에 많은 이익을 본다.
독일 언론인 요세프 요페(Josef Joffe)는 미국의 소프트 파워가 경제적,군사적 자산보다 훨씬 더 크다고 주장했다.
"저급이건 고급이건 미국의 문화는 로마제국 시대에 마지막으로 보았던 것처럼 맹렬한 기세로 퍼져나가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문화는 로마제국 시대의 문화와는 다른 면을 갖고 있다. 로마와 소련의 문화적 영향력이 군사적 영역을 한치도 벗어나지 못한 반면,미국의 소프트 파워는 해가 지지 않는 거대한 제국을 지배하고 있다."
홍보람 S · 논술 선임연구원 nikehbr@nonsul.com
사랑을 받아서 만만하고 우스워질 바에야,세상을 공포로 벌벌 떨게 하는 것이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데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애정이나 호감은 정말 별 쓸모가 없는 것일까?
사랑을 받는다는 것 자체도 권력이 될 수 있다.
단순히 '더 사랑하는 자가 죄인'이라는 연인간 애정 전선의 역학 관계를 말함이 아니다.
세상을 매료하고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일은 권력을 쥐는 한 방편이 될 수 있으며,이미 다른 수단으로 권력을 획득한 자도 이를 무시하다가는 권좌에서 밀려나고 만다.
'군주론'에서 권력은 무엇이며 그 성격이 어떠하다는 것을 논했던 마키아벨리 외에도 권력의 속성에 관해 진지하게 탐구한 사람은 많다.
하지만 그들이 모두 마키아벨리처럼 가공할 만한 두려움이 냉혹한 절대 권력의 표징(表徵)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지는 않았다.
특히 하버드대 케네디행정대학원 석좌교수인 조지프 나이(Joseph S Nye)는 마키아벨리와 뚜렷한 대비를 보인다.
조지프 나이는 '소프트 파워(Soft Power)'라는 저서를 통해 권력을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는데 그가 이끌어낸 이야기는 마키아벨리와는 사뭇 다르다.
권력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능력,또는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쳐 어떤 일이 이뤄지게 만드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권력을 행사하는 방법은 다양하다는 것이 '소프트 파워'라는 책의 출발점이다.
조지프 나이는 권력을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국한하는 것은 편협한 사고라는 주장을 펼친다.
그는 마키아벨리가 예찬하는 군사력과 경제력을 하드 파워(Hard Power) 또는 경성권력(硬性權力)이라고 정의하고,이와 상반되는 소프트 파워(Soft Power) 내지는 연성권력(軟性權力)이 확고히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소프트 파워를 쉽게 번역하자면 '매력'이라고 할 수 있는데,타인 혹은 타국의 마음을 사로잡는 힘이 곧 소프트 파워이다.
하드 파워와 소프트 파워를 쉽게 구별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얼마나 다양한가를 생각하면 도움이 된다.
타인에게 영향을 미쳐 원하는 결과를 얻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위협으로 타인을 강제할 수도 있고 보상으로 유인할 수도 있다.
아니면 사람들을 유혹하여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다른 이들도 열심히 추구하게끔 만들 수 있다.
사람들을 꾀어내는 후자의 방법이 바로 소프트 파워를 행사하는 방법이다.
혹자는 조지프 나이가 학자라서 이러한 말랑말랑한 주장을 펼치는 것이 아니냐면서 사랑 받느니 차라리 두려움의 대상이 되어 버리라는 마키아벨리를 역성들 수도 있다.
하지만 조지프 나이는 국제정치학자로서의 이력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국무부 차관보,국가정보위원회 의장,국방부 차관을 지내면서 실무 경험 또한 풍부하게 쌓은 사람이다.
그가 오래도록 몸담고 있는 하버드 행정대학원이 실무와 학문의 연계를 추구하는 현실적 학풍을 자랑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소프트 파워'는 조지프 나이가 현실과 부딪히고 그 다채로운 양상을 관찰하면서 권력의 속성을 탐구한 결과이므로 백면 서생의 낭만적 이론에 불과하다는 비판은 타당하지 않다.
이는 '소프트 파워'의 목차 편제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는데,조지프 나이는 책의 1장에서는 권력의 속성을 논하며 소프트 파워를 정의하지만,2장부터는 현실의 이야기로 글을 이끌어간다.
제2장에서 미국 소프트 파워의 원천과 반미주의를 논하고 있으며,제3장에서는 소련과 유럽,아시아 각국의 소프트 파워에 관해서 평가한다.
그리고 그 다음의 장에서는 소프트 파워의 행사 방법과 소프트 파워의 자원,그리고 소프트 파워와 정책의 연관성을 탐구한다.
철저히 현실지향적인 책이며 앞으로의 해결 과제와 바람직한 정책을 모색하는 실천적 성격을 띠고 있다.
소프트 파워는 공유할 수 있는 가치와 정당성으로 세상을 끌어 당긴다.
국제정치에서 소프트 파워를 만들어내는 자원은 주로 어떤 기구나 국가가 대내적 관행과 제반 정책을 통해 만들어낸 본보기와 자체적인 내부 문화,다른 기구 또는 국가와의 관계를 이끌어가는 방식 등을 통해 표출시키는 가치 체계이다.
사람들과 조직으로 하여금 올바른 가치의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는 책임감에 매력을 느끼게 만드는 것이 소프트 파워의 진면목이다.
또한 소프트 파워는 하드 파워에 좌우되지 않는다.
이에 관한 예시로 조지프 나이는 스탈린의 조롱을 인용하였다.
스탈린은 "교황 휘하에는 몇 개의 사단이 있는가?"라고 비웃었으나,바티칸은 소련의 군사력에 못지 않은 막강한 소프트 파워를 행사하였다.
이처럼 소프트 파워의 독자적 성격과 그 영향력은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문제는 소프트 파워가 하드 파워보다 정부 귀속성(歸屬性)이 약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회의론자들은 각국 정부가 자국이 지닌 매력을 제대로 통제할 수 없다는 이유 때문에 국제 정세 속에서의 소프트 파워를 믿지 못하겠노라고 한다.
하지만 '말랑말랑해서 손에 쉽게 쥐어지지 않는' 힘인 소프트 파워를 그러한 성격 때문에 부정하기만 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조지프 나이는 미국이 일방주의적 정책을 내세우다가 소프트 파워를 잃고 반미주의로 인해서 많은 것을 잃어야 했음을 따끔하게 지적한다.
'소프트 파워'는 미국이 얼마나 많은 적을 제거하느냐(하드 파워의 발현)가 아니라,얼마나 많은 동맹을 얻느냐(소프트 파워의 발현)에 외교안보정책의 핵심이 있다는 주장을 전개한다.
비단 미국 정부만이 아니라 어느 누구도 소프트 파워를 무시할 수 없다.
최근 유명한 연예 프로그램에 안철수 교수가 출연해서 시청률이 껑충 뛴 적이 있다.
시청자 게시판에는 안 교수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며 그를 국가 CEO,즉 대통령으로 추대하자는 의견도 많았다.
그들이 열광하는 것은 금권과 무력이 아니라 한 인간의 매력과 그의 도덕적 가치관이다.
이처럼 소프트 파워는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다.
국가적으로도 우리나라는 한류 열풍에 웃고,혐한(嫌韓) 감정에 고민한다.
소프트 파워가 어떻게 획득되고 발현되는지는 좀 더 연구가 되어야 하지만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 그 자체만은 부정할 수 없다.
조지프 나이의 저서 '소프트 파워'는 연구 방법의 엄정함이나 논리적 정교함은 떨어진다는 평가도 간혹 받지만,권력을 바라보는 관점의 참신성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회자될 가치가 있는 책이다.
조지프 나이는 '스마트 파워'라는 책을 후속서로 출판하여 소프트 파워와 하드 파워의 결합을 논하기도 하였는데,권력에 대한 마키아벨리식 편견을 걷어냈다는 점에서 그의 연구는 충분한 의미가 있다.
권력에 관한 진실이 무엇일지 다 같이 고민하자는 의미로 다음과 같은 명언과 함께 글을 맺기로 한다.
"힘(Power)은 날씨와 같다. 모두 그에 의존하고 또 화제거리로 삼고 있지만,정작 그 실체를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 기출 제시문 동국대 2005학년도 정시 논술
한 나라의 소프트 파워는 주로 세 가지 형태의 자원에 좌우된다.
즉 그 나라 문화,정치적 가치관,그리고 대외정책이 그것이다. (…중략…)
어느 나라의 문화가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또 제반 정책을 통해 다른 나라들이 공유하는 가치와 이익을 증진시킨다면,그 나라가 바람직한 성과를 얻을 가능성은 커지게 된다.
그런 문화가 만들어내는 매력과 의무간의 연관성 때문이다.
편협한 가치와 지역에 한정된 문화는 소프트 파워를 생성하기 어렵다.
미국은 문화적 보편성 때문에 많은 이익을 본다.
독일 언론인 요세프 요페(Josef Joffe)는 미국의 소프트 파워가 경제적,군사적 자산보다 훨씬 더 크다고 주장했다.
"저급이건 고급이건 미국의 문화는 로마제국 시대에 마지막으로 보았던 것처럼 맹렬한 기세로 퍼져나가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문화는 로마제국 시대의 문화와는 다른 면을 갖고 있다. 로마와 소련의 문화적 영향력이 군사적 영역을 한치도 벗어나지 못한 반면,미국의 소프트 파워는 해가 지지 않는 거대한 제국을 지배하고 있다."
홍보람 S · 논술 선임연구원 nikehbr@nons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