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길잡이 기타
-
학습 길잡이 기타
'구랍' 은 '지난해12월'
"네가 떡국을 먹으면 올해 몇 살이 되는 거지?" 신묘년 새해가 밝았다. 예전에 계절의 변화를 음력으로 따질 때는 한 해가 시작하는 첫 달을 '정월(正月)'이라 불렀다. 새해 첫 달의 첫날은 '정초(正初)'다. '원단(元旦)' '원일(元日)'이라고도 한다. 이런 말들은 양력으로 바뀐 오늘날에도 관습적으로 이어져 양력 1월을 여전히 정월, 그 첫날을 정초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새해 첫날, 즉 1월 1일을 명절로 이르는 말인 '설'은 지...
-
학습 길잡이 기타
160. 된소리적기
콩과 보리도 구별 못하는 사람이 '숙맥 "너 같은 쑥맥한테 그런 일을 시킨 내가 잘못이지." "그는 울쩍한 마음을 달래려고 산보를 나갔다. " 단어 표기에 세심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금세 어디가 틀렸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쑥맥'과 '울쩍'은 각각 '숙맥''울적'이라 적어야 맞는 말이다. 우리말을 적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하나는 '소리 나는 대로 적기'이고 다른 하나는 '형태 밝혀 적기'이다. 이 가운데 ...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92>
로그 나선(Logarithmic Spiral) [2010 서울대학교 정시 자연계 논술고사 문제 중]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호림의 S몰입 수학 <53>
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수능형 문제 53
-
학습 길잡이 기타
<91>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蝸 角 之 爭 달팽이 와 뿔 각 어조사 지 다툴 쟁 달팽이 뿔 위에서의 싸움. 하찮은 일로 벌이는 싸움. 「장자」에 나오는 말이다. 전국시대 위나라 혜왕이 맹약을 깬 제나라 위왕을 죽이려 하자 혜시가 대진인을 천거했다. 대진인이 말했다. "달팽이의 왼쪽 뿔에 촉씨가, 오른 쪽 뿔에는 만씨라는 나라가 있었습니다. 이 두 나라가 전쟁을 벌였는데 시체가 수만구나 되었고,패배하여 도망친 군대를 쫓아갔다가 돌아오는 데만 15일이...
-
학습 길잡이 기타
연세대 2011학년도 논술 입학시험(인문계) 문제풀이<上>
죽음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가 인간은 생명체로서의 본능이 약화된 존재이므로 동물계에서 우리가 알고 있는 다른 모든 종과 대조해볼 때 부인할 수 없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동물 집단과 그 집단 내 의사소통,연대성,공격성에 대해 아무리 연구를 한다고 하더라도 그 특수성이 덜해지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이러한 특수성이란 이 세상에서 자신의 고유한 삶을 넘어서서 생각하거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인간의 타고난 능력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죽...
-
학습 길잡이 기타
(43) "모든 제시문은 문제 조건에 맞게 해석할 것"
지난 시간에 이어 제시문의 형태에 따른 독해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소개했던 'not A but B' 형태의 제시문은 B라는 핵심을 꺼내기 위한 가장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제시문 형태였습니다. ⊙ 동일한 내용이 확장되는 형태의 제시문 가장 기본이 되는 형태는 아무래도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의견만을 강조하는 형태겠지요. 그것이 설명이든 주장이든, 내용의 동일성을 가지고 진행이 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독해가 상당히 쉬...
-
학습 길잡이 기타
'제야의 종소리'와 해맞이
'송구영신(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는 뜻이다. 많은 사람이 새해를 맞으면서 가장 먼저 듣는 것은 서울 보신각에서 울리는 '제야의 종소리'이다. 12월31일 밤 12시 정각 '땡' 소리와 함께 종소리가 울려 퍼진다. 새해를 여는 첫 울림인 '제야의 종소리'는 누구에게나 기대와 소망, 설렘으로 다가온다. 그런데 '새해'와 '제야의 종소리' 사이에는 찬찬히 따져보면 논리적인 모순이 자리 잡고 있다. 우선 우리가 무심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