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단위기호 바로쓰기-5km와 5Km, 5KM
1999년 9월 미국에서는 새 천년을 앞둔 흥분 속에 또 다른 긴장과 설렘이 교차하고 있었다.

항공우주국(NASA)이 1억2500만달러를 들여 쏘아올린 '화성 기후 탐사선'이 286일간의 항해 끝에 마침내 화성에 도달하는 순간이었다.

하지만 불행히도 이 탐사선은 화성 궤도에 진입하려는 순간 사라지고 말았다.

사고 원인은 어처구니없게도 '계량단위'에 있었다.

제작을 맡은 록히드마틴사는 미국에서 흔히 쓰는 야드와 파운드 단위로 탐사선 제원정보를 작성했으나 NASA 측이 이를 법정계량 단위인 미터법으로 읽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예정보다 낮은 궤도로 진입한 탐사선은 대기권의 마찰열을 견디지 못해 결국 폭발하고 말았다. 도량형단위 통일의 중요성을 얘기할 때 자주 인용되는 일화다.

미터법이란 길이와 너비 따위는 미터(m)를,부피는 리터(L)를,무게는 킬로그램(㎏)을 기본 단위로 하는 십진법을 사용한 도량형법을 말한다.

18세기 말엽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법으로 제정됐으며,1875년 각나라 사이에 미터 협약을 맺어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 계량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미터법을 채택했다.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나라에서의 미터법은 학교 교육을 통해 비교적 무리 없이 실생활에서 사용됐다.

그러나 동시에 자(1자=30㎝)나 근(斤 · 1근=600g),돈(1돈=3.75g),평(坪 · 1평=3.3㎡) 따위의 전통적인 척관법 단위도 함께 쓰여 왔다.

특히 부동산이나 고기,귀금속 따위에 통용되는 말로는 오랫동안 전통적인 단위가 압도적으로 많이 쓰였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평이나 돈,근 등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비법정단위에 대한 단속과 처벌 방침을 정하고 지속적인 계도활동을 벌여왔다.

그 덕분에 요즘 이들 분야에서도 미터법 단위 사용이 늘긴 했지만 한편으론 간과된 부분도 있다.

미크론(μ)과 마이크로미터(㎛)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도 그 중 하나다.

미크론은 '100만분의 1m'를 나타내는 길이의 단위인데,1967년에 국제도량형 총회에서 폐지된 용어다.

지금은 미터법 단위인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한다.

이때 마이크로(μ)는 '10의 -6승' 즉 '100만분의 1'을 뜻하는 접두어로,미터나 그램,리터 따위의 계량단위기호 앞에 붙는 말이다.

예전에 쓰던 미크론은 마이크로와 기호는 같지만 미크론은 길이를 나타내는 말이고 마이크로는 승수를 나타내는 접두어란 차이가 있다.

국제적으로 공인된 접두어에는 데시(d:10분의 1),센티(c:100분의 1),밀리(m:1000분의 1),마이크로(μ:100만분의 1),나노(n:10억분의 1),피코(p:1조분의 1),펨토(f:1000조분의 1) 등이 있다.

이들은 '나누기'의 의미를 나타내는 말이다.

이에 비해 '곱하기'를 나타내는 접두어로는 데카(da:10배),헥토(h:100배),킬로(k:1000배),메가(M:100만배),기가(G:10억배),테라(T:1조배),페타(P:1000조배) 따위가 있다. 이들은 모두 '◆분의 1' 또는 '×배'를 나타내는 접두어이므로 계량단위와 구별해야 한다.

또 하나 주의할 것은 단위기호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엄격히 구별해 적는다는 점이다.

원래 단위기호나 접두어는 소문자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암페어(A)나 파스칼(Pa),와트(W) 등처럼 단위명칭이 고유명사(인명)에서 온 경우에만 대문자를 허용한다.

볼트(V),지멘스(S),헤르츠(㎐) 등도 마찬가지 이유로 대문자로 쓰는 것이다.

메가나 기가,테라,페타 같은 접두어가 대문자인 까닭은 소문자로 된 접두어나 단위기호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즉 m는 나누기를 나타내는 접두어 '밀리'나 길이의 단위인 '미터',g는 무게 단위인 '그램',t는 역시 무게를 나타내는 단위기호인 '톤',p는 나누기를 나타내는 접두어 '피코'에 해당하므로 이들 기호와 구별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대문자로 정해진 것이다.

이런 원칙을 무시하고 가령 거리를 나타내는 표지판에 '5KM'라고 적혀 있다면 이는 '5킬로미터(5㎞)'가 아니라 '5켈빈메가'란 뜻도 모를 기호로 읽히게 된다. (기호 K는 '켈빈'으로 전력 단위이다.

영국의 물리학자인 켈빈이 제안했다) 전력을 표시할 때 '100㎽'를 무심코 '100㎿'라고 적었다면 어떻게 될까.

㎽는 밀리와트이고 ㎿는 메가와트다.

메가는 밀리의 10억배이므로 그 차이는 엄청나다.

dB는 소리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데시벨'이다. 이를 자칫 DB라고 쓴다면 우스운 꼴이 날 것이다.

DB는 데이터베이스(data base)를 나타내는 약어(略語)이기 때문이다.

또 하나 유념해야 할 것은 단위기호는 활자체(직립체)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가령 리터를 나타내는 단위기호는 L 또는 l인데(원래는 소문자 l이지만 숫자 1과 혼동할 수 있어 예외적으로 대문자 L도 인정했다),이를 필기체(이탤릭체)인 ℓ로 적는 것도 잘못이란 뜻이다.

따라서 ㎘ 식으로 적는 것은 국가표준기본법상의 단위기호가 아니다.

kL로 적어야 올바른 표기다.

단위기호도 엄연히 사전에 올라 있는 표제어이다.

전문용어로 시작했지만 일상에서도 광범위하게 쓰이기 때문에 단어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는 뜻이다.

거리를 나타내는 ㎞를 Km,또는 KM 식으로 쓴다면 이는 명백한 오류임을 깨달아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기자 hymt4@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