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 기타

    해파리 떼의 출몰…바다가 죽어간다?

    해양 온난화·오염 영향으로 어족 자원 고갈 아침저녁으로 선선함을 넘어서 이제 쌀쌀하기까지 하다. 여름이 물러가고 이제 본격적인 가을이 시작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유난히 더웠던 지난 여름 해수욕을 위해 해변을 찾은 사람도 많았을 것이다. 예전과는 다르게 바다에 둥둥 떠다니는 생물이 많아진 것이 눈에 띈다고 여기저기서 말들이 많았다. 그 생물은 다름 아닌 해파리다. 해파리에는 독성이 있어 피서객들은 해수욕장에 갔다가 해파리 독침에 쏘...

  • 경제 기타

    학생들에게 동아리 활동은 최고의 휴식

    난타 동아리,뮤지컬 동아리,북한 새터민 교육 봉사 동아리…. 요즘 고등학생들 사이에서는 공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하는 것이 대세다. 특히 외고나 특목고에서는 모의 법정 같은 일반 고등학교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동아리들도 경험할 수 있다. 청심국제고등학교에는 3학년에 재학 중인 최효정 학생을 단장으로 'CheeRitz'라는 치어 동아리가 있다. 처음에는 팀원이 여학생 8명밖에 안 되는 작은 동아리였지만,지금은 남녀 합해 2...

  • 경제 기타

    유명무실한 입시 설명, 고3들 원성 높아

    고3학생들이 실망한 표정으로 손에는 A대학 로고가 들어간 '양말'을 하나씩 든 채 교실로 돌아온다. 소규모 방문 입시설명회를 다녀온 학생들이다. 소규모 방문 입시설명회란 주로 야간자율학습시간을 빌려 고3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입시설명회를 일컫는다. 해당 대학교 측 관계자 혹은 해당 고등학교 출신 대학생이 대학의 특징적인 입시요건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리 공지하고 큰 규모로 하는 입시설명회와 달리 해당 대학교 중심...

  • 경제 기타

    '양심 버리기' 이제 그만…쓰레기 줍는 학생됩시다!

    아무런 양심의 가책없이 쓰레기를 버리는 학생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학교 앞 문구점이나 분식점에서 토스트, 떡볶이, 과자 등을 사 먹은 후 과자봉지, 꼬치, 종이컵 등을 길바닥에 아무렇게나 버리는 것을 누구나 한 번쯤 보았을 것이다. 학생들의 얼굴 표정은 약간의 망설임과 미안함 없이 당연하다는 모습이다. 김봄이 학생(시지고 3)은 "요즘 학생들이 쓰레기를 쓰레기통에 버리지 않는 것을 보면 우리나라 또한 선진국처럼 쓰레기통을 많이 ...

  • 경제 기타

    포털 지식교류서비스에 불만 목소리 높아

    국내 유명 포털 사이트 대부분이 지식 교류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가 올린 질문이나 궁금한 내용에 대해 다른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답을 달면서 지식을 주고받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하지만 지식 교류 서비스의 점수제 운영, 답변 내용, 운영진의 관리 소홀에 대한 불만이 많아지고 있다. 질문을 하거나 해결된 질문들을 검색하면 지식 교류 서비스 답변의 대부분은 광고로 채워져 있다. '지식 답변 알바'는 등장한 지 오래고,'지...

  • 경제 기타

    학생들 외면 받는 인문대학 대안은?

    "고등학생들이 어느 학과에 진학해야 돈을 잘 버느냐고 물을 때마다 마음이 무거워진다. 학문의 전당이 되어야 할 대학이 직업훈련소가 되어 버린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 인명여고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한 교사는 대학이 경제논리에 지나치게 휩쓸리는 것은 아닌지 염려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러한 경제 논리의 적용 때문인지 문사철(文史哲)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인문학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대학이 학생들의 수요가 적은...

  • 경제 기타

    경시대회, 학습자료부터 제공해야

    지난달 19일 '제4회 전국 고교생 생활법 경시대회' 시상식이 정부 과천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 대회는 법무부가 주최하는 행사로 청소년들의 합리적 사고와 법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해 2005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대회에 입상한 학생은 특기자 전형으로 대학입시에서 혜택을 받는다. 그러나 대회 참가자는 매년 3000명 내외에 불과하고 그나마 특목고 또는 지방의 비평준화 학교 재학생이 대부분이다. 대회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고,우...

  • 경제 기타

    민영미디어렙 도입 문제로 시끄러운데…

    찬 "광고시장 성장 막는 독점체제는 풀어야" 반 "자본과 정치권력에 의한 방송 장악 우려" 방송광고 판매를 대행하는 민영미디어렙(Media Representative) 도입 문제를 놓고 찬반 논란이 뜨겁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지상파 방송광고 판매대행을 독점하면서 방송광고 가치 저평가와 연계판매 등 문제가 노출됐다"며 내년 12월 민영미디어렙을 도입해 경쟁체제를 도입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