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경제 기타
TV 간접·가상 광고 허용해야 하나요?
찬 “효과적 마케팅 수단으로 국가브랜드 위상 높일것” 반 “보지않을 권리 빼앗고 시청자 기만하는 광고행위” 지상파 TV에 간접광고와 가상광고를 허용하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간접광고와 가상광고 허용 등을 골자로 한 방송법시행령 개정안을 오는 11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라고 발표하면서 찬반 의견이 맞서고 있는 것이다. 방송사와 광고업계 쪽에서는 "간접광고와 가상광고가 허용되면 침체된 방송광고시장에 활력을 불어 넣을 ...
-
경제 기타
(29) 물가지수
물가지수는 경제의 '건강' 상태를 측정하는 체온계 18세기 초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한 학생은 평소 친분이 있던 성공회(영국의 국교회) 주교 윌리엄 플릿우드(William Fleetwood)를 찾아가 학교의 학비 지원 규정의 부당함을 호소했다. 학생의 사정은 이러했다. 당시 옥스퍼드 대학은 1440년에 만들어진 규정에 따라 한해 수입이 5파운드를 넘으면 학비 지원을 받을 수 없도록 하고 있었다. 이 규정 때문에 장학금을 받을 수 없었던 ...
-
경제 기타
전세계 청소년 환경리더들 대전에 모였다!
지난달 17일부터 23일까지 7일간 UNEP(유엔환경계획)이 주관한 'TUNZA UNEP 세계아동 · 청소년환경회의'가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열렸다. TUNZA는 UNEP 본부가 위치한 케냐 언어인 스와힐리어로 '배려와 애정으로 대하기'라는 뜻이다. 이번 회의에는 전 세계 110여 개국에서 각국을 대표하는 550명의 아동대표와 250명의 청소년대표가 참석했다. 올해는 다른 해와 달리 아동 · 청소년 회의가 동시에 진행돼 역대 최대 규...
-
경제 기타
방과후 학교, 量보다는 質이죠!
서울시의 한 'D' 공립 고등학교. 6시가 넘은 시간 10~11명의 학생이 비문학 수업을 듣고 있다. 정규 수업과 같은 역동적인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서울 지역의 다른 공립 고등학교도 마찬가지다. 한 학생은 학생 대부분이 방과 후 학교보다 학원을 더 선호하는 편이라며,낮은 참여율의 원인을 '학원'으로 꼽았다. 그러나 단지 학원만을 이유로 들기엔 방과 후 학교 참여율이 너무 낮아 보인다. 그렇다면 공립학교의 방과 후 학교 참여율이 낮은...
-
경제 기타
'법사랑 서포터즈', 지킬수록 아름다운 사회 만들기 실천
지난해부터 법무부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법질서 바로 지키기 캠페인이 순조롭게 확산되고 있다. 법무부는 2008년을 법질서 확립의 원년(元年)으로 삼아 국민 생활 속에 법질서 의식을 뿌리내리기 위해 다양한 각도로 꾸준히 노력해왔다. '법사랑 서포터즈'의 활동은 바로 그 노력의 일환이다. 지난해 5월 1기 출범 후,올해 2기를 모집한 법사랑 서포터즈는 10대에서 30대까지 총 583명의 명예 시민기자단으로 구성돼 있다. 전국 각지의 명...
-
교양 기타
“혼돈의 시대…제대로 아는 것이 힘이다”
김형철 <연세대 철학과 교수> 프랜시스 베이컨(1561~1626)은 영국 경험론의 대표적인 철학자이자 정치가,과학자,변호사,저술가이다. 그는 후대에도 회자되는 많은 명언 · 명구들을 남겼다. 철학자와 과학자로서 베이컨이 남긴 으뜸가는 명언은 '아는 것이 힘이다'일 것이다. 이것은 사물을 정확하게 이해하면 세상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그렇다면 사물에 관한 지식을 가진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자연을 움직이는 법칙...
-
커버스토리
화폐 가치가 떨어지면 금값이 뛴다
금(金)은 인류가 생긴 이래 줄곧 가치 있는 금속으로 선호돼왔다. 수천년 전 무덤에서 발견되는 인골 곁에는 항상 금붙이가 따라다닌다. 찬란한 금빛은 고귀한 지위를 상징했으며 마력을 지닌 광물로 일부 민족에서는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져왔다. 금에 대한 인간의 욕심은 중세시대에 연금술을 발달시키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이 연금술은 역설적으로 과학기술의 발전에 엄청난 촉매제로 기능했다. 금은 화폐로도 가장 높은 가치를 간직해왔다. 고대...
-
경제 기타
세계은행 '한국 기업환경 역대 최고'
국가별 기업환경 작년보다 4계단 올라 19위 세계은행(WB)이 9일 발표한 국가별 기업환경 평가에서 한국이 지난해보다 4계단 오른 19위를 기록했다. 2003년 평가가 시작된 이래 최고 성적이다. 이는 지난 8일 세계경제포럼(WEF)이 한국의 올해 국가경쟁력 순위를 지난해보다 6계단 낮은 19위로 발표한 것과 상반된 평가다. 세계은행은 2003년부터 매년 나라별 창업, 건축, 세금납부 절차, 노동환경 등을 조사해 어느 나라가 기업하기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