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한민족이 백의민족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한민족은 역사 이래 흰옷을 즐겨 입었다’는 백의민족 신화는 어느 정도 진실일까. 오늘날 많은 한국인은 한민족이 흰옷을 숭상하고, 즐겨 입었다는 점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정말로 흰옷을 좋아하고 흰옷만 고집했는지를 냉정히 따져본 적은 거의 없다.최공호 박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백의민족에 대한 관념은 최남선의 <불함문화론>을 포함한 일제 강점기의 여러 학자에 의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이처럼 일제강점기 ‘백의민족’ 개념이 부각된 것은 당시 야나기 무네요시가 한국 미술에 대해 ‘색채 결핍론’과 ‘비애미’를 들고나온 데 대한 반론의 성격도 적지 않았다.하지만 정말로 흰옷 착용이 한민족을 다른 민족과 구별하는 특질이었을까. 역사 기록을 살펴보면 “한국인이 흰옷을 즐겨 입었다”는 기록은 삼국시대 이후 빈번하게 발견된다. <삼국지> 위지동이전 ‘부여’에 “부여인은 흰색 옷을 숭상해 흰옷에 소매가 넓은 포와 바지를 입는다”는 기록이 있다. <수서(隋書)>에는 “신라의 복색은 흰색”이라는 묘사가 나온다. 이후 1487년 조선에 명나라 사신으로 온 동월의 저술인 조선부에 이르기까지 흰옷은 외국인의 시선에 한민족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포착됐다.이 같은 기록에도 불구하고 한민족이 백색 패션을 선호해서 의도적으로 추구했는지는 또 다른 문제다. 우선 고구려 고분벽화 등 현재까지 전하는 전근대 시기 시각자료에선 흰옷에 대한 숭상을 확인하기 어렵다.더 주목할 만한 것은 조선시대의 적지 않은 문헌에서 “한민족이 흰옷을 피하려고 했다”는 기록을 전하는 점이다. 19세기 충청 지방의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식민지에서 태어나면 차별…본국 출산 강행

    19세기 말 영국에선 원정 출산이 성행했다.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건설한 영국이었지만 각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은 부모의 출신 성분에 상관없이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식민지에서 관료로 봉직한 ‘있는 집’ 부인들은 애를 낳기 위해 오랜 뱃길과 불편한 철로를 마다하지 않고 애를 낳으러 아시아와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영국으로 발걸음을 옮겼다.특히 영국의 대표 식민지인 인도에 파견 근무하는 고위공직자들의 부인은 지체가 높을수록 아기 출산 시기에 맞춰 본국인 영국으로 돌아가 가까운 친척이나 자신의 성 혹은 영지에서 출산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는 장차 태어날 아기의 출생지가 인도가 아니라 영국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이는 모두 자식을 ‘2등 국민’으로 만들지 않기 위한 조치였다.유대인의 경우 더 심각해서 당시 영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유대인은 부모가 영국에 뿌리를 내리고 살고 있더라도 외국인으로 간주돼 땅을 구입할 수도 없었고 식민지 교역에서 배제됐다. 뿐만 아니라 영국 상인에 비해 두 배의 세금을 내야 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의 유대 상인들은 임신한 부인을 영국으로 원정 출산 보내 영국 시민권을 얻도록 했다고도 전해진다.하지만 모든 식민지 거주 영국인이 본국으로 원정 출산을 갈 수는 없는 일이었다. 때론 식민지 출생이란 차별을 떨치기 위해 더욱 적극적으로 본국의 제국주의, 식민주의 정책을 찬양하고 이를 전파하기 위해 매진하는 인물도 등장했다.대표적 인물이 19세기 말 20세기 초 영국의 작가 러디어드 키플링(1865~1936)이다. 1907년 노벨문학상을 받기도 했던 키플링은 우리에겐 <정글북>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19세기 경제성장률 유럽에서 가장 높아

    철도 발달에 따른 수혜에서 보헤미아 지역은 빠지지 않는다. 페트르 초르네예와 지르지 포코르니 등 체코 학자들에 따르면 19세기 중엽 이미 보헤미아 지역은 중부 유럽에서 가장 발전된 산업지대가 됐다. 국내외 철도 네트워크를 통한 경제 통합의 효과가 적지 않았던 것이다. 비트코비체 철강사나 필젠에 있던 스코다작업소, 브라우하우스 같은 기업들은 전 유럽에 명성을 떨쳤다. 프라하뿐만 아니라 오스트라바, 클라드노(휘텐베르크와 콜베르크바우사의 거점)를 비롯해 기계공업의 중심지였던 브륀, 유리공업에서 강점을 보였던 북부 보헤미아, 직물산업의 중심지였던 동북부 보헤미아 지역 등 보헤미아 전 지역이 비교적 골고루 산업화의 수혜를 입었다.그 결과 합스부르크제국 내 체코인들의 영역은 전체 토지의 26.4%에 불과했지만 제국 전체 인구의 35%를 체코인이 차지할 정도로 보헤미아 지역의 경제 발전 수준도 나쁘지 않았다. 보헤미아의 인구 밀도 역시 1854년 ㎢당 84명에서 1880년에는 104명으로 늘었다. 1910년에는 ㎢당 128명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는 1910년 현재 오스트리아 지역 인구밀도인 ㎢당 95명을 뛰어넘을 정도로, 도시화가 진행된 징표로 해석됐다. 체코지역에서 인구 1만 명 이상 도시는 1880년 38개에서 1910년 77개로 늘었다. 같은 기간 체코 도시인 숫자는 80만 명에서 190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19세기 후반 지역 간 통합이 강화되면서 상품 가격이 지역별로 큰 차이가 없어졌고, 이자율과 임금 수준도 평준화돼갔다. 당시 인도 곡물가의 지역별 편차가 오스트리아-헝가리보다 컸고, 국가 내 이자율 격차는 미국이나 일본이 오스트리아-헝가리보다 심했다는 국제비교도 곁들여졌다.앨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19세기 유럽 최대 지배가문…1차 세계대전 때 해체

    합스부르크 가문은 19세기까지 유럽 최대 지배가문이었다. 1848년 프란츠 요제프 황제가 재위했을 때 그는 오스트리아 영지(저지와 상부 오스트리아 공작령과 스티리아 공작령, 카르니오라와 카린티아, 티롤 백작령, 포랄베르크, 고리치아, 그라디스카, 이스트리아 변경백령과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시)와 헝가리 국왕령(헝가리 왕국, 트란실바니아 대공국,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헝가리 군사 접경구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보헤미아 왕령(보헤미아 왕국, 모라비아 변경백령, 상부 및 저지 실레지아 공작령)과 갈리시아 왕국, 크라쿠프 대공령, 부코비나 공작령, 달마티아 왕령, 잘츠부르크 공작령도 그의 땅이었다. 여기에 비록 종이 위의 명목상 영지이긴 하지만 상부 및 저지 루사티아와 로렌, 키부르크도 법적으로는 합스부르크의 영지였다. 1291년 이후 실재하지 않았던 예루살렘 왕국도 이론적으로는 그의 지배지에 포함됐다.과거 스페인 펠리페 2세 시대에 비해 제국의 규모가 줄어든 19세기에도 합스부르크가(家)의 위세는 대단했다. 가문은 375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25만7478㎢의 영지를 보유하면서 유럽에서 러시아 다음으로 넓은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다. 합스부르크제국 내 인종도 550만 명의 독일인과 500만 명의 마자르족, 400만 명의 이탈리아인, 300만 명의 체코인, 250만 명의 루데네인, 200만 명의 루마니아인, 200만 명에 가까운 폴란드인으로 구성됐다. 150만 명 규모의 슬로바키아인과 비슷한 규모의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 100만 명이 조금 넘는 수준의 슬로베니아인과 75만 명의 유대인, 50만여 명의 집시와 기타 아르메니아인, 불가리아인, 그리스인도 제국의 신민이었다.하지만 제1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영국 모방해 산업화…전쟁보상금 덕에 창업 열풍

    독일의 약진 원인으론 여러 가지가 꼽힌다. 첫 번째가 ‘후발자의 이점’이다. 일찍이 알렉산더 거셴크론이 독일과 러시아의 산업화 사례를 관찰한 뒤 설파한 것이 ‘후진성 가설’이다. 후진 사회들은 역설적으로 ‘대도약’이 가능했다는 것인데, 앞선 사회의 경험에서 배우거나 선발 사회가 개척한 기술과 지식을 공짜로 또는 값싸게 획득할 수 있어 빠르고 효율적인 산업화로 이어질 수 있었다는 논리다. 독일은 영국 공장을 모방해 자본과 노력, 시간을 줄일 수 있었던 데다 신기술도 자유롭게 적용했다.독일 은행들이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뿐 아니라 기업 설립과 운영, 감독, 혁신의 촉진에까지 밀접하게 관여한 것도 특징이다. 소위 ‘D-은행들’로 불린 다름슈타트방크, 디스콘토게젤샤프트, 도이체방크, 드레스트너방크가 1870~1913년 보유한 자산의 가격은 6억마르크에서 175억마르크로 급증했다. 이는 독일 은행들이 보유한 산업자본 주식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보불 전쟁 후 독일에 유입된 막대한 전쟁보상금 덕에 창업과 투기 열풍이 분 것도 한몫했다. 배상금으로 철도 같은 기반시설 투자가 늘었고, 새로운 제철기술을 활용한 철도를 이용해 시장에 제품을 대량으로 공급하는 게 가능해졌다. 실제 당대인들은 이때를 ‘창업시대’로 부르기도 했다. 여기에 독일 특유의 카르텔(기업 연합) 구조가 효율적으로 작동한 측면도 있다.2차 산업혁명 시기 독일을 대표하는 기업가들의 사례도 이 같은 독일적 발전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소위 ‘대포왕’이라고 불린 알프레드 크루프가 대표적인 경우다.크루프 가문은 16세기부터 에센지역의 유력 가문으로 그의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독일 경제 급부상하며 독일어가 학문 공용어 역할

    산업혁명은 영국에서 시작됐지만 철강·전기·화학 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이뤄진 ‘2차 산업혁명’은 독일이 주도했다. 19세기 후반부터 제1차 세계대전까지 독일 산업의 발전상은 놀라웠다.프로이센이 유럽의 주요 경쟁국들보다 빠르게 성장하게 된 것은 1850~1860년대 이후의 일이다. 1830년대만 해도 프랑스의 국민총생산(GNP)은 1960년 미국 달러로 환산할 때 86억달러로 프로이센(72억달러)을 앞섰지만, 1880년이 되면 프랑스 174억달러, 프로이센 200억달러로 역전된다. 1913년이 되면 프로이센의 GNP는 498억달러로 프랑스(274억달러)의 두 배 규모가 된다. 유럽 전체 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830년에는 프랑스가 21%로 프로이센(5%)의 네 배를 넘었지만 1880년이 되면 프로이센은 20%로 프랑스(13%)를 크게 앞선다. 1913년엔 프로이센이 40%로 프랑스(12%)의 네 배 수준이 돼 처지가 180도 바뀐다. 1860년 비등했던 에너지 소비량도 1913년이 되면 프로이센이 프랑스의 세 배에 달한다.산업별로 살펴봐도 독일의 성장은 가파르다. 19세기 초 프로이센의 연간 철강 생산량은 5만t으로 영국, 프랑스, 러시아뿐 아니라 합스부르크제국에도 못 미쳤다. 하지만 ‘2차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산업지형도는 급격히 변화한다.1871년 프로이센 주도로 독일이 통일된 이후 독일의 철강 생산량은 1890년대만 해도 연간 410만t으로 영국(800만t)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1900년이 되면 630만t으로 영국(500만t)을 추월하게 된다. 1910년대가 되면 독일(1360만t)이 오히려 영국(650만t)의 두 배를 넘는 철을 생산하게 된다.전기, 광학, 화학 같은 20세기적 산업 분야를 개척한 것도 독일이었다. 대표적 전기 관련 기업인 지멘스와 AEG는 19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중상주의 독일, 노동운동이 정당 설립 형태로 진화

    독일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달리 노동운동이 초기부터 정당 설립 형태로 진화한 나라다. 독일에서 노동운동이 정치운동으로 손쉽게 바뀔 수 있었던 이유로는 독일이 중상주의와 위로부터의 개혁으로 요약되는 계몽주의적 절대주의 전통이 강했던 점이 꼽힌다. ‘국가가 각종 사회문제를 해결해줘야 한다’는 국가 중심적 문화가 강했다는 설명이다. 영국이 나폴레옹의 경멸적 표현처럼 ‘소매상인들의 국가’였던 반면, 독일의 부르주아지는 정부의 보조와 규제, 관세 조치로 보호받으며 비약적으로 성장했다. 독일 부르주아는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보다 국가를 지배하는 봉건 엘리트에 종속됐다. 마르크스는 이를 두고 “독일의 사업가 계급은 역사적 사명이 없는 부르주아지”라고 비꼬기도 했다.여기에 노동자 계급이 정치적 목소리를 높이는 데 대해 독일 부르주아지들이 매우 소극적이고 모호한 태도를 보인 점도 노동정당의 출현을 방조했다. 당시 독일 부르주아들은 노동자 계급이 급속하게 팽창해 정치적 해방을 맞이하는 것을 두려워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프로이센 특유의 납세액에 따른 차등선거제도인 ‘3계급 선거권’을 폐지하고자 했다. 즉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닌’ 모호한 양면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여기에 부르주아 명사들의 지도하에 노동자들을 통제할 수 있으리라는 어설픈 낙관론도 퍼져 있었다.독일 통일 과정에서 불거졌던 대독일주의와 소독일주의의 대립, 민족주의의 부상도 노동자의 정치적 등장을 촉진시켰다. 1858년 새로운 황태자가 프로이센 황제로 즉위하면서 2~3년간 비교적 자유주의적 정책으로 전환됐던 ‘신시대’라

  • 김동욱 기자의 세계사 속 경제사

    아편은 서구제국의 고수익 사업…중국 4000만명 중독

    ‘아편(opium)’은 메소포타미아가 원산지로, 중국에선 아랍어 ‘아프염(af-yum)’이나 ‘아푸용(a-fu-yong)’을 음역해 ‘아편’ 또는 ‘아부용’이라고 표기했다.아편은 영국이 인도를 식민지로 삼은 뒤 동인도회사를 매개로 주요 교역 품목이 됐다. 애초에 포르투갈인들이 인도 중부에서 생산되던 아편을 인도 고아를 통해 마카오로 운반해 팔았다. 영국은 이 같은 아편의 생산과 수출 시스템을 체계화하고 확대했다. 중국의 차와 비단, 도자기를 원했지만 중국 시장을 뚫을 힘이 없었던 영국 상인들은 아편을 무기로 중국 시장의 관문을 강제로 열었다.영국이 중국에 아편을 판 방식은 노골적이면서도 교묘했다. 인도를 식민 지배하던 영국은 인도에서 대량으로 아편을 재배한 뒤 검은색 축구공만 한 크기로 만들어 ‘약’이라고 쓰인 나무 상자에 넣어 중국으로 밀수했다. 동인도회사가 아편을 볼링공 모양으로 만들어서 대량으로 공급한 것이다. 중국에서 아편은 약품으로만 유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중국의 아편 수입량을 보면 1770년대 연평균 200상자였던 것이 1780년대엔 연평균 1000상자로 증가했다. 1800~1809년 3871상자이던 아편 거래가 1811년에는 5000상자를 넘었다. 이는 또다시 1820~1829년에 1만311상자로 늘었고, 1830~1839년에는 2만2941상자로 급증했다. 1838년 한 해에만 4만 상자 이상이 쏟아져 들어왔다.19세기 첫 30년 만에 거래량이 여덟 배 늘어난 아편은 당시 세계에서 단일 상품으로는 최고의 교역 물품이었고, 영국이 중국으로 흘러들어갔던 은을 회수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중국의 은 보유액은 1793년 7000만 냥에서 1820년 1000만 냥으로 급감했다. 1814~1850년 사이에 청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