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경제 번영은 상호작용의 산물…자유무역은 윈윈게임”

    (43) 진화론적 자유주의 창시자 데이비드 흄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엔 이윤 추구에 초점이 맞춰진 경제체제가 확산됐다. 인간관계도 화폐를 매개로 한 계약을 통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 같은 상업사회 확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힘을 얻고 있었다. 이런 시기에 시장사회는 인류의 번영을 기약하는 체제라고 주장하면서 자유주의를 옹호한 인물이 영국의 도덕철학자 데이비드 흄이다. 학구적이었던 그를 늘 괴롭혔던 것은 '인류 번영에 적합한 ...

  • 경제 기타

    <7> 전업 블로거, 네트워크 효과가 관건!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은 연말마다 '올해의 인물'을 선정해 발표한다. 전 인류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거나 위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을 기리기 위해서다. 2006년의 경우 'You', 바로 '당신'이 올해의 인물로 선정됐다. 여기서 'You'란 특정인이 아닌 자신이 만든 콘텐츠를 인터넷에 올리고, 이를 사람들과 공유한 전 세계의 보통사람들을 의미한다. 타임은 선정 배경에 대해 평범한 당신들 덕분에 디지털 민주화의 발판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즉 ...

  • 경제 기타

    시진핑의 중국, 시장경제에 한 발 더 다가가다

    중국이 시진핑 국가 주석 임기 동안 시장경제에 더 많은 역할을 부여하기로 했다. 농민들에게 토지 매각 시 이익을 좀 더 많이 배분하는 내용의 토지개혁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중국 공산당은 12일 향후 10년간의 경제·사회 정책 방향을 정하는 중국 공산당 제18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3중전회)를 끝낸 뒤 발표한 '몇 가지 중대한 문제의 전면적 개혁 심화에 관한 중국 공산당 중앙의 결정'에서 이같이 밝혔다. 관영 신화통신이 공개...

  • 경제 기타

    대형마트 20년…소비·유통 혁명 이끌었다

    “국내 최초의 할인점 이마트. 신세계가 새로운 형태의 점포를 선보입니다.” 1993년 11월12일 이마트 창동점이 개업할 당시 광고 전단에 들어 있던 문장이다. 이마트를 비롯해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는 지금 우리에겐 너무나 익숙하다. 웬만한 가정은 채소 생선 고기 등 대부분의 먹거리를 대형마트에서 구입한다. 옷과 가전제품도 대형마트에서 살 수 있다. 하지만 대형마트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20년 전 이맘때 문을 연 이마트 창동점이 국...

  • 경제 기타

    '새 옷' 갈아 입은 생글 홈페이지…너무 멋져요!

    한국경제신문이 만드는 고교생 논술신문 '생글생글'이 홈페이지를 새롭게 단장하고 오픈했습니다. 이번 개편으로 생글 독자여러분은 '보다 빠르게, 보다 편리하게, 보다 풍부하게' 생글생글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먼저 생글 홈페이지 주소가 기존 것(www.sgsgi.com)에서 새 것(sgsg.hankyung.com)으로 바뀌었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서 생글생글을 입력하면 바로 새 주소가 뜨게 되며, 직접 입력 시에도 sgsg.h...

  • 경제 기타

    제 21회 테샛 응시 감사드립니다 ^^

    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대입 수시 2차 전형이 모두 마무리됐습니다. 이제 수능 성적 발표와 함께 정시 전형 등 중요한 고비가 남았습니다. 고3 여러분에게 좋은 결과가 있기를 기원합니다. 지난 17일 올해 마지막인 제21회 테샛 정기 시험이 치러졌습니다. 이번 시험에는 전례없이 많은 응시자가 몰려 전국 31개 고사장이 응시생들의 열기로 가득찼습니다. 11월 열린 테샛시험 중 가장 많은 인원이 참가하는 성황을 보였습니다. 개인과 동아리 단...

  • 경제 기타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이룬 대한민국

    [다산 칼럼]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이룬 대한민국 반세기 만에 일군 기록적 민족중흥 일각의 국가정통성 부정 안타까워 비판·저항만으론 富國 못 만들어 1960~70년대엔 행사 때마다 애국가 제창과 함께 국민교육헌장이라는 것을 외워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도 중년 이상의 많은 국민들이 국민교육헌장을 잘 기억하고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로 시작되는 첫 문장은 하도 많이 외워서 평생...

  • 경제 기타

    선정적인 복장…보고만 있어야 하나? 등

    선정적인 복장…보고만 있어야 하나? 길을 걷다보면 차마 눈을 뜨고 보기 힘든 광경을 많이 보게 된다. 그것은 바로 지나치게 선정적인 복장이다. 여기서 말하는 선정적인 복장이라는 것은 다른 의복보다 길이가 짧고 폭이 좁으며 신체를 많이 노출시키는 옷을 의미한다. 이러한 일종의 '유행'은 어디서 시작된 것일까? 자신의 몸매를 뽐내기 위해 방송인이나 모델들이 선정적인 옷을 입기 시작했다. 그들의 모습은 미디어를 통해 많은 사람에게 보여지는 것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