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흔들리는 홍콩의 금융 허브…中 눈치보는 글로벌 기업
홍콩이 정치적 격랑에 휘말리면서 금융 허브로서의 위치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홍콩은 1997년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에도 ‘아시아의 금융 허브’ 지위를 유지해왔다. 중국 경제의 급성장 덕분에 홍콩이 글로벌 기업에 갖는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기 때문이다. 최근 분위기가 달라졌다. 홍콩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중국 공산당 지도부와 민주화를 요구하는 홍콩 시민 간 대립이 날로 격화되고 있...
-
경제 기타
(36)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이공계 연구원
메이저리그 브루클린 다저스의 시즌 개막전이 열린 1947년 4월15일, 2만7000여명의 관중이 몰려든 에베츠 필드는 벅찬 설렘과 긴장감이 공존하고 있었다. 이날은 메이저리그 최초의 흑인 선수인 재키 로빈슨(Jackie Robinson)의 메이저리그 데뷔전이었기 때문이다. ‘야구장에 발을 들여 놓는 순간, 죽음을 각오해야 할 것’이라는 살해위협에도 불구하고 재키 로빈슨은 이날 데뷔전을 시작으로 12개의 홈런과 29개의 도루...
-
경제 기타
광풍이 만든 튤립 버블?…48만弗 백합, 20세기에도 있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장만능의 신자유주의에 기인한다는 주장은 이제 그리 낯설지 않다. 글로벌 금융위기를 촉발시킨 것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였고,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급증은 주택시장의 버블에 기인했다. 주택시장과 같은 자산시장의 버블은 투기적 수요에 의해 발생하며, 투기 열풍은 탐욕을 제어하지 못한 시장의 실패이므로 글로벌 금융위기는 시장에 대한 개입과 제어를 포기한 신자유주의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제어되지 않은 탐욕으로 인해 ...
-
경제 기타
인기스타 앞세우고, 흥겨운 CM송 내세우고, 독점적 경쟁시장에서 왜 광고전쟁을 벌일까?
“주말에 밖에서 식사하지 않을래? 내가 ‘좋은 소식’을 앞두고 있거든.” 광고회사의 잘나가는 중간간부인 닉 마샬(멜 깁슨 분)은 평소 관심있던 커피숍 여직원을 찾아가 이렇게 추근거린다. 훤칠한 외모에 든든한 직장을 앞세워 여자들 후리는 데는 이골이 난 인물. 요즘은 인생이 더 즐거워 보인다. ‘광고회사의 꽃’, 기획부장으로의 승진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운명의 날이 왔지...
-
경제 기타
급격한 환율 하락…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은 옳을까요?
환율 하락이 거침 없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올 들어 원·달러 환율은 네 자릿수자를 위협하며 달러당 1000원 선을 지키는 것조차 힘겨운 상황이다. 이처럼 환율이 자꾸 떨어지는 것은 지속되는 경상수지 흑자에 글로벌 달러 약세추세까지 겹친 탓이다. 지난 5월 경상수지가 93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는 등 경상수지는 2012년 3월 이후 27개월 연속 흑자행진을 지속 중이다. 해외로부터 달러 공급이 넘쳐나니 원화가 강세를 보이는 건 당연하...
-
경제 기타
(24) 일할 능력과 의사가 없는 '비경제활동인구'
지난 회에 ‘실업자’는 일할 능력이 있고 일하려는 의사도 있지만 수입을 벌기 위해 일하는 일자리가 없어야 하는 사람이라고 배웠습니다. 그럼 가사에 전념하는 전업주부도 일할 능력이 있지만 일하려는 의사가 없으므로 실업자가 아닙니다. 고등학생, 대학생, 전업주부처럼 일하려는 의사가 없는 사람들을 ‘비경제활동인구’라고 부릅니다. 정부는 어느 사람이 일하려는 의사가 있는지 아니면 없는지 여부를 어떻게 판단할까...
-
경제 기타
(21) 조선왕조는 세계 최대 곡물저장 국가
현대 국가는 세입과 세출을 일치시키는 재정균형을 목표로 하지만 조선왕조는 수입을 가능하면 많이 남겨 비축하는 것을 이상적이라고 생각하였다. 건국 초기부터 쌀을 비롯한 각종 곡물을 저장해 전쟁과 기근에 대비하였는데, 평상시에도 봄마다 민간에 대여한 후에 가을에 이자를 더하여 환수하였다. 다름 아닌 환곡(還穀)제도다. 대략 30%는 창고에 남겨두고 70%를 민간에 대여하였으며 10%의 이자를 수취하였다. 본래는 이자 수입을 위한 것은 아니었으며 곡...
-
경제 기타
유전자는 녹색황금이다 등
유전자는 녹색황금이다 미국의 세계적인 경제학자이자 문명비평가인 제레리 리프킨은 저서 ‘바이오테크 시대’에서 유전자를 ‘녹색 황금’이라 언급하며 생명공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의 생명체를 구성하는 유전자공학도 발전했다. 우리는 여러 생물의 유전자 지도를 그릴 수 있으며 각 유전자들의 특징을 추출하여 항생제를 만드는 등 여러 방면으로 사용하고 있다. 유전자산업에서 가장 중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