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남대문시장 600년…대한민국 역사가 숨어있다
“고양이 뿔 빼고 다 있다.” “벌거벗고 와도 시장을 나설 땐 다 갖추고 나간다.” 없는 게 없다는 남대문 시장을 가리키는 얘기들이다. ‘골라~ 골라~’ 가락으로 유명한 남대문시장이 개장 600주년을 맞았다. 대지면적 2만여평, 점포 1만여개. 의류 외 1700여종에 달하는 물품을 파는 남대문시장은 명실상부한 전국 최고·최대 시장이다. 남대문시장은 ‘양키시...
-
경제 기타
"건강하고 돈 많은 노인들이 몰려온다 " 대세가 된 '실버경제'…新소비층이 뜬다
“역사상 가장 건강하고 돈 많은 노인들이 몰려온다.” 전 세계에 고령화 바람이 불면서 ‘실버 경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유엔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는 2050년 20억명을 넘어서 현재의 두 배에 이를 전망이다. 이때가 되면 65세 이상 인구 수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5세 이하 어린이 인구를 넘어선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60세 이상 노년층이 된 베이비부머 세대는 ...
-
경제 기타
(47) '계량금융시장 분석가'와 구조적 실업
올여름 세계적인 금융의 전설 중 한 명이자 ‘퀀트 킹(quant king)’이라 불리우는 제임스 사이먼스 회장이 방한한 바 있다. 세계적인 금융전문가인 사이먼스 회장의 방한은 관련 분야 종사자 사이에서는 좋은 강연 기회를 제공해 준 반면, 일반인들에게는 퀀트라는 가장 전문적인 직업의 세계를 소개하는 계기가 되었다. ‘퀀트(Quant)’는 한 마디로 계량금융시장 분석가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퀀...
-
경제 기타
국채 매입 대신 은행권 허용…전쟁비용이 중앙銀 탄생시켜
제대로 된 역사연구는 단순한 역사적 사건의 나열을 넘어서야 한다. 경제이론과 정합되면서 동시에 주요 인물들의 행동의 배후에 있는 동기와 이론이 드러나야 한다. 그래야 우리는 역사적 사건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로스버드의 ‘은행업의 미스터리’는 뛰어난 역사연구서이다. 그의 저술에 기대어 현대적 중앙은행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잉글랜드은행(Bank of England)이 중앙은행으로 기...
-
경제 기타
음악 무료듣기'밀크'에 제동거는 것은 옳을까요?
삼성전자의 무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밀크’가 출항과 동시에 위기에 처했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음저협)가 밀크의 무료서비스에 제동을 걸고 나섰기 때문이다. 음저협은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자들이 무료로 음악을 듣게 되면 ‘음악=공짜’라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질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음저협은 삼성전자가 소리바다를 통해 음저협과 합의한 음악 저작물 사용계약에 대해 해지 통보를 하는 초강수를 두고 있다....
-
경제 기타
돈이 돌고 도는 이야기 '금융'
돈, 즉 화폐는 사람들이 물물교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경제는 화페를 이용하여 거래를 하고 있다는 뜻에서 화폐 경제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경제에서 돈이 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교한의 매개체입니다. 오늘날 돈 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금융입니다. 무엇을 금융이라고 할까요? 왜 금융을 알아야 할까요? 원활한 화폐 유통의 중요성 돈이 교환의 매개체 역할을 충실하게 하려면 시장에서 원활하게 ...
-
경제 기타
(32) 토지조사사업은 토지를 수탈하였는가?
조선총독부는 1910년부터 1918년까지 2040만원의 거금을 투입하여 토지조사사업을 실시하였다. 사업은 매우 방대하여 전국의 모든 토지에 대해 소유권을 조사하여 국유인지 민유인지, 그리고 민유이면 누구의 소유인지를 판정하였으며, 지세를 부과하기 위한 기준으로 결부제를 폐지하고 과세 지가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삼각법에 의해 전국의 토지를 측량하여 지적도를 만들고 토지대장을 비롯한 각종 장부를 작성하였다. 이때 작성된 지적도와 토지대장은 식민지 ...
-
경제 기타
전염병과 싸워온 인류, 에볼라도 이겨낼 것 등
전염병과 싸워온 인류, 에볼라도 이겨낼 것 1905년 발생한 러·일전쟁은 의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전쟁으로 인한 피해자보다 전쟁 속에서 발생한 질병으로 죽은 사망자가 더 많다는 통계 자료가 처음으로 나왔던 것이다. 이는 단순한 통계 자료가 아니라, 전염병(감염증 중 전염력이 강해서 쉽게 감염되는 질병)에 의한 인류의 피해 정도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게 해주었다. 공식적으로 기록된 한국 최초의 전염병은 백제 온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