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ELS지수펀드까지…저금리시대 각광받는 ELS
◆ ELS지수펀드 자산운용업계가 ELS에 투자하는 펀드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1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ELS 발행 규모는 2010년 25조원에서 지난해 말 45조7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올 들어 8월 말까지 발행액은 39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발행액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된다. - 9월12일 한국경제신문 ☞ ELS가 투자자들 사이에 인기를 모으면서 최근 ELS지수펀드란 상품도 새로 선보였다. ELS가 뭐길래 이렇게 각광받고 있는 ...
-
경제 기타
서울대 신입생 88.7% "사교육 받았다"
올해 서울대에 들어간 새내기 중 사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지난해보다 늘어났다. 또 재학생 중 절반은 진로문제 등을 여러 가지 이유로 휴학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울대 대학생활문화원이 학부 신입생 및 졸업 예정자, 대학원 석·박사 과정 졸업 예정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특성조사 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사교육 경험에 대해 신입생 3369명(응답률 26.8%) 중 88.7%가 ‘있다’고...
-
경제 기타
"고교 경제캠프, 10월18일 동국대서 만납시다"
제10회 한경 테샛 고교생 경제리더스 캠프가 열린다. 가을이 무르익어가는 10월18일(토) 서울 남산 동국대 경영대학 대강의실(L101). 하루짜리 캠프지만 경제 경영에 대한 기본 지식을 모두 익힐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 때문에 지난 9회 동안 경제와 경영학과 진학을 목표로 한 고교생들의 참가 열기가 뜨거웠다. 이번 가을캠프도 10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경제분야에선 명문대 교수들이 등장해 미시·거시경제의 기본 이론과 ...
-
경제 기타
생글논술대회 11월8일…도전하세요^^
제18회 생글논술 경시대회가 오는 11월8일 열린다. 생글논술대회는 봄과 가을 학기에 실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논술대회로 대입 수시논술 시험을 앞두고 실전 경험을 쌓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현재 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마감일은 10월30일이다. 생글 홈페이지(sgsg.hankyung.com)에서 할 수 있다. 2015학년도 대입 논술에서 수능최저학력 기준이 조정되고, 우선선발이 폐지돼 논술과 학생부 성적이 합격의 당락을 결정하는 실질적...
-
경제 기타
1인 400달러→600달러…26년 만에 늘어난 면세 한도, 면세점 더 북적일까
1989년 해외여행이 자유화되기 전, 주변 누군가의 ‘출국’은 그 자체가 드문 일이었다. 해외 출장은 직장 동료들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달러 한 장도 소중하던 시절이기에 해외여행 면세한도는 30만원으로 제한됐다. 2013년 해외여행자는 역대 최고인 1484만6000명. 인구 대비 해외여행자 비율은 2003년 15%에서 2013년에 29.7%로 두 배 증가했다. 1988~2013년까지 26년 사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
경제 기타
실리콘밸리서 아시아로…인터넷 권력, 대이동이 시작됐다
인터넷 힘의 균형이 아시아로 기울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인터넷 세상을 지배했던 실리콘밸리 대신 아시아의 기업들이 부상하고 있어서다. 대표적인 곳이 알리바바다. 상장을 눈앞에 둔 알리바바의 예상 시가총액은 1650억달러(약 170조원)다. 아마존(1496억달러)을 제치고 단숨에 세계 3위에 오른다. 알리바바의 거래가 시작되면 시가총액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인터넷 기업 10개 중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JD닷컴 등 4개가 아시아 기업이 ...
-
경제 기타
(42) '승자의 저주' 경계해야 하는 M&A 전문가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기업들은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바로 ‘이윤 극대화’다.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과정에서 최대한 돈을 많이 남기는 것이 기업의 존재 이유이고, 또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다양한 방안을 구상하고 시행한다. 신규 사업에 뛰어들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때로는 불필요한 사업 부문과 인력을 과감히 정리하여 선...
-
경제 기타
후버가 대공황 부른 자유주의자?…루스벨트 뺨친 개입주의자
아마도 여러분은 학교에서 이렇게 배웠을 것이다. 미국에서 1929년 주식시장이 붕괴하자 당시 대통령 허버트 후버는 자유방임정책을 펼쳐 불황의 골을 깊게 했지만, 후임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뉴딜정책을 써서 대공황으로부터 미국인을 구출했다고. 그러나 이는 전혀 사실과 다르다. 후버는 시장의 자동조절 기능을 믿는 고전적 자유주의자가 아니었다. 후버의 ‘회고록’에 따르면 1929년 주식시장이 붕괴하자 연방정부 안에 두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