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중국산 초저가 UHD TV· 스마트폰 AP…진격의 'IT 차이나'…위협받는 'IT 코리아'

    중국 최대 전자상가인 광둥성 선전시 화창베이(華强北) 거리. 휴대폰 가게의 진열대가 낯설다. 화웨이 샤오미 메이주 오포 비보…. 점령군은 중국산 스마트폰 브랜드였다. 삼성전자 애플 소니 등은 뒷방 신세. 선전에 사는 리민 씨는 “화웨이 신제품인 ‘어센드메이트7’의 셀카 기능이 아주 뛰어나다”며 “중국 브랜드도 좋은데 뭐하러 비싼 외제 스마트폰을 쓰겠냐”고 말했다. 맞은...

  • 경제 기타

    (44) 디자인 경영으로 가치창출하는 '디자인 컨설턴트'

    '영국'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가운데 하나는 회색빛의 런던 도심을 멋스러운 트랜치 코트를 입고 걸어가는 중년 남성의 모습일 것이다. 이때 이 남성이 입고 있는 코트를 우리는 의례 '버버리' 코트일거라고 상상한다.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영국에서 생활하는 가난한 유학생일지라도 귀국 전에 버버리 코트 한 벌은 꼭 장만해서 돌아온다고 하니, 버버리가 영국의 고풍스러운 이미지를 상징하는 브랜드임에는 틀림없다. '버버리(burberry)'는 영국의 명품 ...

  • 경제 기타

    뉴딜정책이 구세주?…산업·노동 카르텔로 경기회복 늦춰

    통화 증가로 70%가량이 회복됐으며 재정정책으로는 14%밖에 회복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이런 통화 증가도 중앙은행이 의도한 것은 아니었다. 1933년 이후 통화가 증가한 것은 금과 태환되는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금이 미국으로 유입됐고 유럽의 정치적 불안으로 미국으로 도피성 자금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이런 통화 증가가 이자율을 낮춰 투자를 촉진시켰던 것이다. 나아가 뉴딜정책이 경기 회복을 지연시켰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뉴딜정책은 ...

  • 경제 기타

    풀무원이 입증해 보인 '중기적합업종' 허점

    만화로 읽는 경제이야기 풀무원이라는 기업이 있습니다. 매출액이 1조6000억원에 달하는 대기업입니다. 이런 큰 기업도 과거엔 보잘것없었습니다. 작은 ‘풀무원 농장’이 모태였습니다. 이 농장은 1984년 풀무원식품이 됐습니다. 무엇을 팔아 대기업이 됐을까요? 콩나물, 두부입니다. 두부는 빨리 쉬는 대표적인 식품이었습니다. 이런 단점 때문에 많이 만들어 팔기가 어려웠죠. 풀무원은 진공포장으로 빨리 쉬는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

  • 경제 기타

    인간의 소소한 '부정행위' 어떻게 작동하고 어떻게 통제할까

    1970년대 어느 날 케네디예술센터가 운영하는 선물 매장에 도둑이 들었다. 연 매출액 40만달러의 절반에 이르는 15만달러를 훔친 도둑은 알고 보니 그곳에서 일하는 직원이었고, 한두 명이 아닌 자원봉사를 하던 수십 명의 선한 노인들이 매일 조금씩 돈과 물건을 훔쳤던 것이다. 거의 50년 전 사건이라 CCTV는 언감생심, 이 매장은 금전등록기 대신 물건을 팔고 받은 돈을 보관하는 현금 상자들만 있어 관리도 소홀했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지만 예술...

  • 경제 기타

    증시 가격제한폭 확대 필요할까요?

    찬성하는 쪽에서는 가격제한폭이 당초 증시 안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오히려 증시 불안을 부추긴다고 주장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가격제한이 있으면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실제는 주가가 가격제한폭에 도달할 경우 높은 변동성이 며칠간 지속되면서 오히려 변동성이 확산되는 사례가 많았다”고 지적한다. 특정 종목의 주가가 며칠간 계속해 상한가나 하한가를 유지할 경우 반대매매도 힘들 뿐더러 변동성만 더 키우는 사례가 많...

  • 경제 기타

    국가간 화폐 사이의 교환 비율 '환율'

    민국이는 미국으로 여행을 떠나는 삼촌이 한국 돈과 미국 돈을 바꾸는 모습을 보기 위해서 은행에 따라갔습니다. 삼촌이 우리나라 돈을 주자 은행원이 삼촌에게 미국 돈을 내주었습니다. 은행원은 삼촌에게 미국 달러를 얼마나 주는 것일까요? 은행원 마음일까요? 아니면 삼촌이 우기는 대로일까요? 화폐는 교환의 매개수단 돈은 조금 어려운 말로 화폐라고 합니다. 화폐는 다음과 같이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첫째 교환의 매개수단입니다. 우리는...

  • 경제 기타

    (29) 대한제국은 근대국가였는가?

    대한제국(1897~1910)은 근대국가였는가? 이 질문은 근대국가(modern state)의 기준이 없다면 제대로 답할 수가 없다. 서구에서는 16세기부터 영주들이 서로 경쟁하던 분권적인 정치체제가 퇴조하고 강력해진 국왕이 전국을 통치하는 절대주의 체제로 변화했다. 이것을 근거로 중앙집권적 정치체제를 근대국가 성립의 기준으로 삼으면 중국은 이미 기원전 3세기 진시황 때부터 근대국가였다(F 후쿠야마 『정치질서의 기원』). 좀 더 엄격하게 영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