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33) 식민지 농업정책과 지주제의 발달

    일본은 식민지 조선을 일본 본토의 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쌀 생산기지로 만들고자 하였다. 일본에서는 1880년대 말부터 산업혁명이 시작돼 도시의 공장 노동자에게 공급할 쌀을 수입하고 있었는데 1차 세계대전으로 쌀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나자 쌀값이 폭등하였다. 급기야 1918년에는 쌀값 인하를 요구하는 ‘쌀소동’이 일본 각지에서 일어나 유혈사태까지 벌어졌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쌀과 같은 자포니카 계통인 조선 쌀이 ...

  • 경제 기타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를 읽고 등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를 읽고 우리가 자주 먹는 패스트푸드가 경제용어에서 사용된다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빅맥지수’가 대표적인 용어다. 하지만 ‘맥도날드화’라는 말도 있다. ‘맥도날드화’란 맥도날드로 대표되는 패스트푸드 시스템의 특성이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현상을 말한다. 효율성, 예측가능성, 계산가능성, 자동화와 통제가 맥도날드화의 특성이라고 ...

  • 경제 기타

    '에볼라'로 돌아보는 전염병과 '재앙 경제학' 등

    '에볼라'로 돌아보는 전염병과 '재앙 경제학' 유럽의 오래된 도시에 가면 곳곳에서 ‘페스트탑’을 볼 수 있다. 페스트(흑사병)이 사라진 것을 자축하는 뜻에서 세운 것이다. 없어졌다고 탑을 세울 정도로 페스트가 잔인했던 것이다. 전염병은 고대부터 인류와 함께 하며 많은 영향을 끼쳤다. ‘21세기 흑사병’이라 불리는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지금,...

  • 경제 기타

    美 중앙은행 '양적완화' 정책 종료 선언…세계경제·금융시장 대변화 예고

    ◆양적 완화(QE) 종료와 세계경제 미국 중앙은행(Fed)은 29일(현지시간) 양적 완화(QE) 프로그램의 종료를 선언하고 다음달부터 국채 및 모기지(주택담보부) 채권을 더는 사들이지 않기로 했다. 하지만 제로 수준(0~0.25%)인 기준금리는 ‘상당 기간’ 이어가기로 했다. Fed는 28일부터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 10월30일 한국경제신문 ☞ 미국 중앙은행(Fed&...

  • 경제 기타

    제10회 한경 테샛 고교생 경제리더스 캠프를 다녀와서

    ■ 경제·경영 분야에 관심있다면 캠프 참여 강추합니다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한 ‘제10회 한경 테샛 경제 리더스 캠프’에 지난 18일 참가했다. 평소 경제에 관심이 많았던 나로서는 경제 관련 캠프에 처음으로 참가한다는 점에서 떨리기도 했고, 기대도 많았다. 캠프 시작 시간인 오전 9시 직전에 동국대 경영대 L101 강의실에 도착했다. 늦지는 않았다. 강의실에 들어선 난 깜짝 놀랐다. 강의실이 경제 마니아들로 꽉...

  • 경제 기타

    생글논술대회 마감 D-3 "접수 서두르세요"

    11월8일 열리는 제18회 생글논술경시대회 접수가 곧 마감된다. 접수 마감이 다가올수록 관심이 높아지고 접수 문의도 많아졌다. 원서 접수 마감일은 10월30일이다. 접수는 생글생글 홈페이지(sgsg.hankyung.com)에서 할 수 있다. 2016학년도 대입계획이 발표되고 서울 주요 10개 대학 논술전형 모집인원이 정원의 약 21.4%가 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여전히 논술에 대한 중요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울 주요 대학은 사실...

  • 경제 기타

    남대문시장 600년…대한민국 역사가 숨어있다

    “고양이 뿔 빼고 다 있다.” “벌거벗고 와도 시장을 나설 땐 다 갖추고 나간다.” 없는 게 없다는 남대문 시장을 가리키는 얘기들이다. ‘골라~ 골라~’ 가락으로 유명한 남대문시장이 개장 600주년을 맞았다. 대지면적 2만여평, 점포 1만여개. 의류 외 1700여종에 달하는 물품을 파는 남대문시장은 명실상부한 전국 최고·최대 시장이다. 남대문시장은 ‘양키시...

  • 경제 기타

    "건강하고 돈 많은 노인들이 몰려온다 " 대세가 된 '실버경제'…新소비층이 뜬다

    “역사상 가장 건강하고 돈 많은 노인들이 몰려온다.” 전 세계에 고령화 바람이 불면서 ‘실버 경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유엔에 따르면 60세 이상 인구는 2050년 20억명을 넘어서 현재의 두 배에 이를 전망이다. 이때가 되면 65세 이상 인구 수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5세 이하 어린이 인구를 넘어선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60세 이상 노년층이 된 베이비부머 세대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