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전쟁비용 충당위해 만들어진 소득세…거대정부·복지병 낳았다
1912년 미국의 대통령 선거는 현직 대통령인 공화당의 윌리엄 태프트, 공화당에서 탈당해 출마한 전임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 민주당 우드로 윌슨의 3파전이었다. 흥미로운 것은 세 후보 모두 소득세 도입을 주장했다는 점이다. 공화당의 분열로 어부지리로 당선된 윌슨은 사상 최초로 현대적 의미의 소득세를 도입한 대통령이 됐다. 3000달러 이상 소득에는 1%, 2만~50만달러에는 2~7%의 세금을 부과하는 누진적인 소득세였다. 1913년 미국에...
-
경제 기타
대학 가을학기제 도입은 옳을까요
정부가 대학의 1학기를 9월에 시작하는 가을학기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 정부 들어 교육부가 내부적으로 가을학기제 도입을 검토해 왔지만 추진 의사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교육부는 연구단을 꾸려 초안을 만들고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한 토론회, 설문조사 등의 방식으로 공론화를 거쳐 도입 여부와 시기, 방법 등을 결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학제 시스템을 바꾸는 것은 여러 가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둘러싼 여론...
-
경제 기타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국공채'
은행에 예금해서 이자를 버는 방법 외에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방법으로 돈을 버는 방법이 있음을 알았습니다. 이제 다른 방법 하나를 더 소개합니다. 바로 채권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채권이란 무엇일까요? 채권으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요? 돈 빌려준 증서 ‘차용증’ 개인들끼리 돈을 빌릴 때에는 차용증을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얼마를 빌리며 언제 갚을 것이며 이자로 얼마를 주겠노라고 약속하는 증서입니...
-
경제 기타
신석기 혁명, 인간이 농사를 짓다
완연한 겨울입니다. 이런 때일수록 김치는 땅에 묻은 장독에서 꺼낸 것이 제맛이지요. 요즘은 이를 응용한 김치냉장고가 대세지만 말입니다. 장독하면 플라스틱 용기가 난무하는 지금도 우리 한국인의 정서를 대변하는 진흙(또는 질흙)으로 빚은 그릇이지요. ‘질그릇’이라는 표현이 정확한 것이고요. 우리는 이런 장독과 같은 질그릇을 수천년 전부터 사용하였습니다. 언제부터 이 질그릇을 사용하였을까요? 놀랍게도 신석기 시대부터랍니다. 약...
-
경제 기타
북한이 만들어준 '디 인터뷰'의 성공
북한이 만들어준 '디 인터뷰'의 성공 최근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암살을 다룬 소니 픽처스의 영화 ‘디 인터뷰’를 놓고 여러 사건들이 벌어지고 있다. 영화 개봉사인 소니는 GOP(Guardians of Peace : 평화의 수호자들)라는 해커 집단에 의해 개봉 예정 영화와 할리우드 슈퍼스타에게 보내는 메일, 임원들의 연봉 및 회사 기밀정보가 털리는 등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피해가 커지자 미국 ...
-
경제 기타
수능 선택과목, 미래를 위한 선택인가 등
수능 선택과목, 미래를 위한 선택인가 경제, 세계사, 법과 정치. 이번 2015학년도 대학수능시험에서 선택 비중이 가장 낮았던 세 과목이다. 응시율을 보면 더 비참하다. 경제 2.9%, 세계사 8.2%, 법과 정치 9.4%였다. 특히, 경제는 전체 36만5999명의 수험생 중 1만475명만이 선택했다. 최저 응시율 과목을 면치 못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인가. 먼저 대부분 학교가 경제를 수업 과목으로 채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경...
-
경제 기타
세계경제의 또다른 태풍 '그렉시트'…그리스의 탈퇴로 유로존 깨질까?
‘그렉시트’와 유럽 재정위기 조기 총선을 앞둔 그리스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이 되고 있다. 그리스 의회는 지난달 대통령 선출에 실패하면서 의회가 해산되고 오는 25일 조기 총선을 치른다. 총선에서는 유로존 탈퇴를 공약으로 내건 급진좌파연합(시리자)의 승리가 예상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시리자의 집권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그렉시트(Grexit)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5일 보도했...
-
경제 기타
제11회 한경경제리더스캠프 대성황
지난해 12월26~28일 서울 영등포 하이유스호스텔에서 열린 제11회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 참가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캠프에는 제주도를 비롯 전국 주요 고교(일부 중학교) 학생이 참가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