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APEC 정상회의와 연쇄 정상회담은 한국이 미·중 양국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다자 외교를 통해 중견국 및 신흥국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교훈으로 남겼다.
[생글기자 코너] 경주 APEC에서 확인된 중견국 리더십의 중요성
지난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렸다. 2005년 부산 이후 2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였다. APEC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61%, 교역량의 49%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한국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미국과 중국 정상이 방한해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두 나라가 무역 갈등을 겪는 가운데 한국은 안보는 미국에, 경제는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두 나라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하는 어려운 위치에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관세 협상을 타결하고 핵 추진 잠수함 건조에 대해 미국의 승인을 얻어내는 성과가 있었다. 또 한·중 정상회담에서 한국은 북한 비핵화와 남북한 대화 재개를 위한 중국의 적극적 역할을 요구했다. 미·중 정상은 무역전쟁 확전을 자제하고 희토류와 펜타닐 문제 등에 일부 합의를 이뤘다.

외신들은 “한국이 미·중 대립 속에 균형을 잡으며 중견국 리더십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비판적 의견도 있었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합의문이 없는 백지 외교”라고 지적했다. 협상 결과를 놓고 한·미 간 미묘한 온도차도 드러났다.

이번 APEC 정상회의와 연쇄 정상회담은 한국이 미·중 양국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다자 외교를 통해 중견국 및 신흥국과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교훈으로 남겼다. 이런 전략에 구체적 실행 계획이 뒷받침될 때 한국은 복잡한 국제 질서 속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외교적 위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오율아 생글기자(시흥능곡고 1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