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공모전 참여는 나를 보여주는 활동으로써 자기소개부터 면접, 포트폴리오까지 대입 핵심 요소를 한꺼번에 강화하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공모전 참여는 나를 보여주는 활동으로써 자기소개부터 면접, 포트폴리오까지 대입 핵심 요소를 한꺼번에 강화하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대학 생글이 통신] 공모전 참여로 대입 경쟁력 높여 보세요](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1993134.1.jpg)
프로젝트는 팀원 구성에서 시작됩니다. 앞서 말한 ‘마음이 맞는 친구’란 단순히 친한 친구가 아니라 작은 과제라도 함께 해보며 성실한 태도와 책임감을 확인한 사람을 말합니다.
다음은 목표 설정입니다. 저희 팀은 방학 중 출품작 다섯 편을 완성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일정에 맞춰 참여할 공모전을 정했습니다. 공모전 등 대외 활동 일정은 위비티, 씽굿 등의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이라면 여러 대회에 나가기보다 규모 있는 대회 하나를 완성도 있게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 단 한 편이라도 결과물을 만들어보는 것은 충분히 의미 있는 일입니다. 어쨌든 목표가 명확해야 준비 과정에서 흔들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모전 프로젝트는 대입 과정에서 실질적 경쟁력을 제공하는 요소가 됩니다. 첫째, 생활기록부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지 어느 공모전에 참여했다 혹은 수상했다가 아니라 문제 인식부터 기획, 실행, 결과에 이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면 본인의 역량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문제를 인식하고 기획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차별화할 수 있을지 고민한 내용을 담는다면 더 좋은 글이 됩니다.
둘째, 면접에서 답변할 소재가 풍부해집니다. 대입 면접에선 ‘어떤 경험을 거쳐 무엇을 배웠는지’를 많이 묻습니다. 공모전 경험은 팀원 간 갈등 및 문제 해결 과정 등에 관한 구체적 이야깃거리를 제공해줍니다.
셋째, 수상 여부와 상관없이 한 가지 프로젝트를 끝까지 완수한 경험 자체가 차별화된 강점이 됩니다. 특히 점수대가 비슷한 지원자 사이에서 확실한 차별점이 될 수 있습니다. 넷째, 포트폴리오가 필요한 전공에서는 결과물 자체가 곧 작품이 돼 대입 전형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공모전 참여는 나를 보여주는 활동으로써 자기소개부터 면접, 포트폴리오까지 대입 핵심 요소를 한꺼번에 강화하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본인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는 분야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해본다면 더 큰 기회를 열어가는 발판이 될 것입니다.
유진 성균관대 영상학과 24학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