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세 이상~19세 미만 미성년자에 대한 범행은 피해자가 성년이 된 날로부터 10년의 공소시효가 적용된다. 13~18세에 피해를 당한 경우 피해자가 29세가 되면 가해자를 처벌하기 어려워진다
기록적 폭염이 이어지면서 농산물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배추, 상추, 열무 등 밥상에 자주 오르는 채소 가격이 한 달 만에 크게 뛰었다. 폭염과 집중호우가 반복되면서 노지 채소 생산에 차질이 생겼고, 이것이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채소 가격 변화는 일반 가정의 식생활과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친다. 배추김치 대신 양배추절임이나 무절임을 해 먹는 집이 늘었고, 시금치 대신 케일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증가했다. 대체재 관계에서 나타나는 전형적 현상이다. 어느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이를 대신할 수 있는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할 때 두 재화를 대체재라고 한다.
가격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자는 꼭 필요한 채소만 구매하거나 구매량을 줄이고 있다. 특히 중간 소득층 이하 가계에서는 채소 구입비가 식료품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다른 품목의 소비 지출을 줄이기도 한다. 이는 채소 가격 상승이 전체 소비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식당 등 채소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곳에서는 구매 시점을 조절하거나 대용량 구매로 단가를 낮추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또 식단에서 채소 비중을 줄이고 다른 식품군 섭취를 늘리려는 가정도 있다.
농산물 가격이 뛸 때 정부는 비축 물량을 방출하거나 수입량을 확대한다. 그러나 앞으로 채소 가격 상승은 기후변화에 따른 구조적 현상으로 굳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한 대책이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