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브 코딩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운영하는 또 다른 기업인 xAI가 지난 2월에 개최한 한 행사. 새 인공지능(AI) 모델 ‘그록(Grok)3’를 공개한 이 자리에선 흥미로운 시연이 등장했다. 인간이 “테트리스와 비주얼드 게임을 합친, 미친 듯이 좋은 게임을 만들어줘”라고 주문하자 그록3는 몇 분의 ‘고민’을 거쳐 파이선 코드를 작성했다. 알록달록한 블록이 착착 쌓이는 간단한 게임이 뚝딱 완성됐다. 머스크는 “이제 누구나 손쉽게 혁신적 게임을 만들 수 있다”고 전했다. “느낌 가는 대로 AI에게 말만 해”이런 장면은 코딩에 낯선 문과생에겐 놀라울 수 있지만, 사실 xAI만의 특출난 장기는 아니다. 코딩을 몰라도 누구나 컴퓨터프로그램과 스마트폰 앱을 개발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사람이 말로 설명하면 AI가 코드를 대신 작성해주는 ‘바이브 코딩’이 요즘 테크업계의 뜨거운 화두다.

미국 실리콘밸리를 대표하는 빅테크도 이 시장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오픈AI는 ‘코덱스’, 앤스로픽은 ‘클로드 코드’, 마이크로소프트는 ‘깃허브 코파일럿’, 구글은 ‘제미나이 CLI’라는 이름의 AI 코딩 도구를 잇달아 내놨다.
테크업계는 바이브 코딩이 개발자의 생산성을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단순 작업에 들이는 시간을 아껴 창의적 구상에 몰두할 수 있어서다. 하지만 바이브 코딩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개발자의 대처 능력이 떨어질 것이란 지적도 있다. 업데이트를 거칠수록 코드가 복잡해지게 마련인데, AI가 만든 구조를 사람이 파악하지 못하면 사후 관리가 힘들기 때문이다. “개발자 창의성 향상” vs “일자리 위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