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신경학자 메리앤 울프는 사람의 뇌는 독서를 할 때 글자를 인식하고 의미와 문맥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상상력과 감정까지 동원한다고 설명한다.
![[생글기자 코너] 디지털 시대, 뇌를 위한 최고의 선물 '독서'](https://img.hankyung.com/photo/202504/AA.40274730.1.jpg)
주요 원인으로는 스마트폰과 디지털 매체 과도한 사용(36.5%)을 꼽은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독서 부족(29.2%)이 그 뒤를 이었다. 디지털 기기에 익숙한 학생들이 점점 긴 글을 읽고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다.
문해력 저하를 해결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독서를 습관화하는 것이다. 세계적 인지신경학자인 메리앤 울프는 사람의 뇌는 독서를 할 때 글자를 인식하고 의미와 문맥을 이해할 뿐 아니라 상상력과 감정까지 동원한다고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뇌의 여러 영역이 함께 작동하며 새로운 신경 회로가 형성되고 기존 회로가 강화된다.
미국 에머리 대학교 연구팀이 소설을 읽은 사람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분석한 결과 언어 감수성을 담당하는 좌측 두정엽과 신체감각에 관련된 체성 감각 피질이 활성화다. 독서가 공감 능력과 상상력, 신체적 능력까지 확장해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변화는 독서 후 최소 5일 이상 지속됐다.
독서는 디지털 시대에 뇌를 위한 가장 좋은 훈련이다. 처음부터 어려운 책을 읽기보다는 자기 수준에 맞는 책을 천천히 읽고 인상적인 부분을 기록하며 독서의 폭과 깊이를 확장해나가는 것이 좋다. 꾸준한 독서를 통해 문해력을 높이고 사고력과 감수성까지 키워보자.
조승민 생글기자(세종국제고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