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여러 방식으로 상품과 서비스에 차별점을 두면서 가격차별을 한다. 저가 항공은 예약 취소 시 전액 환불을 해주지 않는 등 제한을 두는 것이 서비스 차별화의 사례다.
[생글기자 코너] 기업과 소비자에게 모두 도움되는 가격차별
극장에는 아침 시간 입장권을 싸게 파는 조조할인이 있다. 같은 영화, 같은 좌석도 요일과 시간에 따라 가격이 다르다. 이를 ‘가격차별’이라고 한다. 가격차별이란 동일한 상품을 수요자에 따라 가격을 달리리해 판매하는 것을 말한다.

이 같은 가격차별이 발생하는 것은 같은 상품이라도 소비자마다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느 여객기에 좌석이 100석 있고, 어느 노선의 좌석 가격이 모두 5만원이라고 하자. 이 노선의 가치를 5만 원 이상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테고, 5만 원 미만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만약 5만 원 이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50명이라면 250만 원의 매출을 올릴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좌석의 가격을 2만5000원에 판매한다면 좌석을 추가로 판매해 매출을 늘릴 수 있다.

이런 가격차별은 극장과 항공기 등에서 특히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기업의 수익성 극대화 전략이지만, 소비자에게도 도움이 된다. 항공권 가격을 낮게 평가하는 일부 소비자도 저렴한 가격에 항공기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같은 물건이나 서비스를 다른 가격에 판매한다면 형평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같은 상품을 비싸게 구매한 사실을 알게 된 고객은 환불이나 차액 반환을 요청할지도 모른다. 그래서 기업들은 여러 방식으로 상품과 서비스에 차별점을 두면서 가격차별을 한다. 저가 항공은 예약 취소 시 전액 환불을 해주지 않는 등 제한을 두는 것이 서비스 차별화의 사례다.

전지민 생글기자(대전관저고 2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