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증편향을 극복하는 방법은 없을까. 수학적 사고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수학에는 명제라는 개념이 있다. 명제는 참과 거짓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문장을 뜻한다. ‘p이면 q이다’ 형식의 조건 명제가 대표적이다. 예를 들어 ‘시험 점수가 50점 이하라면(p) F학점을 받는다(q)’와 같은 것이다. 이를 ‘p→q’로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
확증편향은 때때로 명제가 참일 때 역과 이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데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시험 점수가 50점을 넘었는데(~p) F학점을 받은(q) 학생이 있다고 해보자. 이 학생은 50점을 넘었으니(~p) 당연히 F학점을 받지 않아야 한다(~q)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50점을 넘었더라도 출석이나 다른 요인에 의해 F학점을 받을 가능성은 있다.
이렇게 수학적 사고를 통해 논리적 오류를 피하려는 습관은 확증편향에서 벗어나는 데 도움이 된다. 평소 다른 사람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자신의 생각에 반대되는 증거를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
조승민 생글기자(세종국제고 1학년)
![[생글기자 코너] '상품 외 감귤' 단속, 시장 실패 보완할 수 있다](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11.3.jpg)
![[생글기자 코너] 나라 미래 어둡게 하는 과학기술 두뇌 유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10.3.jpg)
![[생글기자 코너] 화폐 불신이 불러온 '에브리싱 랠리'](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12.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