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내년 정원 108명 늘지만
우주청 제외 땐 사실상 줄어
"공공부문 경쟁력 강화"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공무원 증원 제동…'작은 정부' 본격화
정부가 내년도 공무원 정원을 사실상 감축하면서 ‘작은 정부’ 기조를 본격화한다. 윤석열 정부의 국정 후반기에 중점적으로 추진할 10대 핵심 규제개혁 과제도 확정했다. 비대해진 공공부문 몸집을 줄이고 시장의 자율성은 높여 민간이 주도하는 역동적 경제가 구현되도록 하는 데 총력을 쏟겠다는 방침이다.

8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는 57개 중앙행정기관의 내년도 일반회계 기준 공무원 정원을 35만43명(군 장병 제외)으로 편성했다. 올해(34만9935명)보다 108명 늘어난 수치다. 2023년 1811명, 올해 451명에 이어 내년엔 공무원 정원 증가 폭을 더 줄인다.

올해 신설된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 정원(293명)이 내년 공무원 정원에 포함된 것을 고려하면 사실상 감축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우주청은 기존 부처에서 110명의 인력을 재배치하고, 나머지 183명은 신규 채용하기로 했다.

군 장병을 제외한 일반회계 기준 공무원 정원은 문재인 정부 때인 2018~2022년 연평균 1만1268명씩 증가했다. 하지만 조직이 비대해지면서 정부 효율성은 낮아졌다.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 조사에서 한국의 정부 효율성 부문은 2017년 28위에서 올해 39위로 추락해 종합 순위(20위)를 크게 밑돌았다.

이에 정부는 작은 정부 기조를 본격화해 정부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공무원 정원 축소와 함께 공공부문의 역할도 필수적인 대국민 공공서비스에 집중하고, 민간이 할 수 있는 영역은 과감한 규제개혁으로 민간에 넘기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은 최근 국정 후반기에 역점을 둘 10대 핵심 규제개혁 과제를 확정했다. 대형마트 영업규제 개선, 산업단지 입지규제 해소, 각종 부담금 폐지 및 감면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규제개혁은 장기적인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구조개혁의 일환”이라며 “각계각층과 긴밀히 소통해 구조개혁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강경민/박상용 한국경제신문 기자 NIE 포인트1. 파킨슨의 법칙과 ‘작은 정부론’의 등장 배경을 공부해보자.

2. 최근 우리나라 정부의 효율성이 낮아진 이유를 알아보자.

3.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비상 시기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작은 정부’로 대처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