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2000년대 들어 그린벨트는 수차례에 걸쳐 해제됐다. 서울과 가까운 곳에 아파트를 많이 공급해야 서울로 몰리는 주택 수요를 분산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그 결과 그린벨트를 걷어낸 자리에 경기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와 위례신도시, 광교신도시 등이 들어섰다.
서울에 지정된 그린벨트는 149.09㎢로 전체 면적의 24.6%를 차지한다. 강북권은 대부분 경사가 심한 산지여서 결국 강남권 그린벨트가 신규 택지 후보지로 결정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훼손이 심한 그린벨트가 적지 않아 이런 지역을 주거지로 개발하면 주택공급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그린벨트 해제를 둘러싸고 찬반이 갈리지만 보존 가치가 없는 곳은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시민단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수도권 과밀을 부추기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서울 지역 그린벨트 해제는 서울시가 협조해야 가능하다. 서울시는 고(故) 박원순 시장 재임 기간에는 절대 불가 방침을 고수했다. 미래세대에 물려줄 최후의 보루로 남겨둬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후임자인 오세훈 시장 역시 그린벨트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여왔다. 하지만 청년층, 신혼부부, 무주택자를 위한 아파트를 대폭 늘리려면 결국 그린벨트 해제를 통한 신규 택지 확보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 공감대가 정부와 서울시 사이에 형성됐다는 분석이다.“환경 최후의 보루” vs. “사유재산권 침해”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게임 칩의 대변신…'AI 시대의 석유'로](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08821.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민간회사 무디스·S&P·피치가 쥐락펴락](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230665.3.jpg)
![[임현우 기자의 키워드 시사경제] 애플·메타 잡아라…'삼성·구글 연합군' 참전](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0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