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 통화량 지표
                                
                     
                    
                        교환을 위한 매개물로 사용하기 용이한 정도를 유동성(liquidity)이라고 부른다. 유동성이 가장 높은 것은 현금이고, 은행예금 잔고도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이용해 물건을 구매할 수 있으므로 유동성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적금이나 채권의 경우 만기가 있기 때문에 교환의 매개물로 바로 사용하기 어려워 유동성이 낮으며, 오래전에 화폐로 사용하던 쌀 같은 상품화폐의 경우 현대 경제에서는 교환의 매개물로서 기능을 완전히 상실했으므로 유동성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유동성이 가장 높은 것은 현금이다 보니 유동성의 정의는 얼마나 빠르게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통화지표는 한 경제에 유통되는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로, 어느 수준의 유동성까지를 화폐의 범주에 포함하느냐에 따라 여러 가지 통화지표가 나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화지표의 분류는 현금통화, M1, M2, 그리고 Lf로 구분하는 방식이다.
현금통화는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만으로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다. 현금통화는 국가가 공식적으로 지정한 지급결제 수단인 현금만으로 통화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통화지표 중 화폐의 범위를 가장 좁게 해 통화량을 측정한다.
M1은 ‘협의의 통화’라고도 불린다. 현금통화에 당좌예금, 보통예금 같은 은행의 각종 요구불 예금과 이와 유사한 금융상품을 포함한 통화지표다. 요구불예금은 일반적으로 즉각 현금화할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현금과 거의 같다는 점에서 이를 현금통화에 포함해 통화량을 측정한다.
M1에 유동성이 조금 낮은 만기 2년 이내의 적금까지 포함하면 ‘광의의 통화’라 불리는 M2 통화지표가 된다. M2는 현재 많은 나라에서 시중 통화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지표다.
‘금융기관 유동성’이라고 불리는 Lf는 M2에 어음 등과 같이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지는 금융상품까지 포함해 만든 통화지표다. Lf는 M1이나 M2에 비해 유동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M이라는 기호 대신 L을 사용하는 것이다. 아래의 표는 통화지표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한 것이다.
![[경제학 원론 산책] '광의의 통화' M2 기준삼는 나라 많아](https://img.hankyung.com/photo/202403/AA.36267935.1.jpg) 
                    
                        √ 기억해주세요
 
                        
                            ![[경제야 놀자] '좋은 투자' vs '나쁜 투기' 구분할 수 있을까](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58.3.jpg)
![[수능에 나오는 경제·금융] 새 제품·서비스의 등장이 시장지형 바꾸죠](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90.3.jpg)
![[경제학 원론 산책] 금융시장은 자금의 효율적 사용, 위험 분산에 기여](https://img.hankyung.com/photo/202510/AA.42148489.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