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고 한다'이 말은 입말에서 흔히 쓰지만, 언론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기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특히 한 기사 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자칫 취재가 부실한 듯한 느낌을 준다. 이 말이 언론의 기피어가 된 까닭은 그 때문이다.
미드저니
미드저니
“그는 화재 현장 내부로 진입하지 않고 불을 끄는 부서인 안전센터에 배치됐지만, 구조대원 근무를 강하게 희망했다고 한다.” “A군의 부모는 지난 25일 경찰 조사 도중 배 의원의 보좌진에게 ‘미안하다’고 사과를 했다고 한다.” “오찬에는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 한오섭 정무수석, 이도운 홍보수석 등 대통령실 참모진도 함께했다고 한다.” 최근 비중 있게 다뤄진 사건을 전한 언론들의 뉴스 문장 일부다.남의 것 인용하는 표현…신뢰 떨어져이들 문장에 공통적으로 나오는 서술부 ‘~다고 한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널리즘 언어에서 그리 잘 쓰이지 않는, 일종의 기피어 중 하나기 때문이다. 이 말은 뉴스 문장에서 왜 환영받지 못하게 됐을까? 이 문장의 서술어는 ‘한다’이다. 그 앞에 온 ‘~다고’는 어미 ‘~다’에 인용을 나타내는 격조사 ‘~고’가 결합한 말이다. 즉 서술하는 내용을 간접적으로 인용해 나타내는 형태다. 문법적으로는 이상이 없다. 이 말은 입말에서 흔히 쓰지만, 언론에서는 잘 쓰지 않는다. ‘기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특히 한 기사 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면 자칫 취재가 부실한 듯한 느낌을 준다. 이 말이 언론의 기피어가 된 까닭은 그 때문이다.

취재 과정에서 확인한 것은 그대로 전달하면 된다. 취재원을 주체로 잡아 “A는 ~라고 말했다”라고 쓰는 게 전형적 문형이다. 기사 문장은 기본적으로 대부분이 전달문이다. ‘~라고(다고) 말했다’가 직접 또는 간접인용을 나타내는 형식이다. 이것을 “A는 ~라고 말했다고 한다”라고 쓰는 것은 남의 말을 다시 간접적으로 인용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즉 전하거나 전해 들은 얘기라는 것을 드러낼 뿐이다. 그래서 ‘~라고 한다’ ‘~다고 한다’ 식 표현이 많을수록 그 글은 독자의 신뢰를 얻기 힘들다. 구체적이고 분명한 투로 쓰는 게 요체다.

‘~라고 한다’가 줄어 ‘~란다’가 된다. 다른 사람에게 들은 어떤 사실을 상대에게 옮겨 전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는 ‘해라체’이며, 주로 구어체에서 쓰인다. 비슷한 꼴로 ‘~다고 한다’는 ‘~단다’로 줄고, ‘~자고 한다’는 ‘~잔다’로 준다. 이들은 모두 비교적 친근한 느낌을 주는, 구어체 어법이다. 입말에서 흔히 쓰는 표현이지만, 이를 글로 옮길 때는 신중해야 한다. 뉴스언어에서는 주로 ‘~로 알려졌다’ ‘~로 전해졌다’ ‘~에 따르면 ~이다(~라는 것이다)’ 같은 형식을 사용한다. 이것이 문어체다. 입말에선 잘 안 쓰고 글말에서 많이 보인다.“좋은 것 같다” 말고 “좋다”고 말해야얼마 전 중대재해처벌법 확대 적용 유예가 국회에서 무산됐다. 이를 전한 다음 기사 문장을 통해 ‘~다고 한다’의 용법을 확인해보자. “야당의 중대재해법 밀어붙이기가 전적으로 5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을 위한 결정이었는지는 의문이다. 1일 국회 본회의 전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는 90분간 격론이 오갔다고 한다.” 이 문장 서술부 ‘~다고 한다’에서 이 글이 취재를 직접 한 게 아니라 남의 말을 인용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하지만 이런 표현은 너무 교과서적이라 오히려 글의 흐름을 흐트러뜨릴 수 있다. 전달하는 내용이 이미 드러난 것이고, 반복적으로 보도돼 사실로 확인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널리 알려진 내용이니 굳이 인용 표현을 쓸 필요 없이 ‘격론이 오갔다’라고 쓰는 게 간결한 표현이다.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홍성호 이투데이 기사심사위원·前 한국경제신문 기사심사부장
같은 관점에서 ‘~것 같다’도 언론보도에서 잘 쓰지 않는 말이다. “관심 가져주시면 고마울 것 같고요~.” 한 라디오 방송 음악 프로에서 흘러나오는 진행자 말이다. 고마우면 고마운 거지 ‘고마울 것 같다’고 하는 건 우리말답지 않다. 이런 투의 말이 주위에서 흔하다. ‘좋은 거 같아요, 예쁜 거 같아요, 아픈 거 같아요, 맛있는 거 같아요.’ 거기다 강세 부사 ‘너무’까지 곁들여 ‘너무 좋은 것 같다’ 식으로 말한다. 그렇게나 좋은데, 뒤에 ‘같다’를 붙이니 의미상 잘 호응하지 않는다. 느낌을 나타내는 감정어는 ‘같다’와 잘 어울리지 않는다. 이런 표현은 일상의 구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하물며 저널리즘 언어에서는 특히 조심해야 할 ‘제약’ 사항이다. 뉴스 언어는 간결하고 세련되게 쓰는 것이 특성이다. 그래야 문장에 힘이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