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하기와 글쓰기

강력한 내수·제조업 투자 유지
"2030년 GDP 9300조원까지 증가"
모디 정부 "3년 내 G3 될 것"
인도가 2030년까지 매년 7% 넘는 고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는 경제 전망을 내놨다. 주요 20개국(G20) 중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통해 3년 내 세계 3위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한다는 전망도 제시했다. 세계경제 둔화로 수출 주도 성장이 어려워졌지만 강력한 내수와 투자가 뒷받침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숫자로 읽는 교육·경제] 질주하는 인도 경제…"7년간 매년 7% 성장"
지난달 30일 <더 타임스 오브 인디아>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인도 재무부는 전날 발표한 ‘월례 경제 리뷰’ 보고서에서 2024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전망치를 7%대로 제시했다. 블룸버그 통신이 조사한 전문가 전망치(6.3%)를 웃도는 수준이다. 인도 재무부는 보고서에서 “인도 경제는 강력한 금융산업과 구조개혁을 발판 삼아 7%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라며 “오직 우려되는 지점은 지정학 리스크와 홍해 지역에서의 공급망 교란 가능성”이라고 짚었다.

이러한 전망이 현실화하면 인도는 2021 회계연도에 이어 4년 연속 7%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하게 된다. 인도 재무부는 자국 경제가 2023 회계연도에 7.3%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G20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2021, 2022 회계연도에는 각각 8.7%, 7.2%였다. 팬데믹 때를 제외하면 지난해 30여 년 만에 최저 성장률(5.2%)을 기록한 중국과 대조되는 흐름이다.

인도 재무부는 현재 3조7000억 달러(약 4945조 원)로 세계 5위인 GDP 규모가 3년 안에 5조 달러(약 6682조5000억 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과 독일을 제치고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대국으로 올라서게 되는 경제 규모다. 2030년에는 GDP가 7조 달러(약 9355조5000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인도 재무부는 지난 10년간 추진된 정부 주도의 구조개혁으로 강력한 내수와 제조업 투자가 유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도 정부는 △교육 △보건 △에너지 안보 △중소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부담 축소 △노동시장에서의 양성 평등화 등을 주요 의제로 경제 기초체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개혁을 추진했다. 2017년에 도입한 상품서비스세(GST)가 대표적 사례다. GST는 연방정부와 29개 주정부에서 서로 다르게 부과하던 각종 부가가치세를 통합한 제도다. 복잡한 과세체계 때문에 외국 기업들이 투자를 망설인다는 비판에 따라 도입했다. 인도 정부는 또 최근 3년 동안 사회간접자본(SOC)에 대한 투자 지출을 매년 30% 넘게 늘렸다.

장서우 한국경제신문 기자NIE 포인트1. 인도의 경제발전 역사를 훑어보자.

2. 계급제 등이 남아 있는 인도에서 구조개혁이 얼마나 성공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3. 인도가 G3로 성장하면 국제관계가 어떻게 변화할지 토론해보자.